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UH의 지체시간 산정을 위한 수문학적 해석

        이혁규,윤석영,김재한,Lee, Hyeok-Gyu,Yun, Seok-Yeong,Kim, Jae-Han 한국수자원학회 1995 물과 미래(한국수자원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주된 매개변수인 지체시간을 세가지형으로 결정하여, 그 결과들을 수문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지체시간의 산정방법으로서 첫째로 평균유속만을 이용한 것과, 둘째로 유로연장과 평균유속을 조합한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셋째로 유역면적과 Boyd및 Singh의 경험적 계수들로부터 얻어진 지체시간의 상관식을 사용하였다. 각 방법들의 결과분석을 위하여 실제유역의 자료들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소유역의 경우에는 평균유속만의 방법도 가능하나, 유역면적이 커질수록 유출량의 재현성에 있어 정확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번째 방법은 지체시간의 정확도가 떨어져, 면적뿐만 아니라 다른 수문학적 특성인자들도 고려되어야 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용방법들중 두번째 방법이 지체시간 산정에 있어서 우수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로부터 구한 유출량도 타 방법들에 비해 실측치와 가장 근사하게 접근하였다. Three types of methods are used to determine the lag time which is an important parameter in estimating the 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and their results are anlyzed hydrologically in this study. The first method uses only the average velocity and second one uses the combination of the stream length and the average velocity. The third method employ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area and lag time obtained from the empirical coefficients of Boyd and Singh. To verify the applicabilities of such methods to the actual river basin, the obtained lag times were tested by using the observed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method was applicable to small watershed area but not to larger area. The several other hydrologic characteristics beside the watershed area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third method because the accuracy of the lag time was not good. Finally, the second method gave the most similar simulation results and the best agreements to the observed runoff data than any other method.

      • KCI등재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1

        본 논문은 한국의 수업 문화를 바꾸기 위한 한 방법으로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우리의 수업 문화는 고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이로 인해 수업에 대한 소통적이고 생산적인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수업 관찰법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수업 비평은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수업 문화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자는 수업 비평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 비평의 개념, 의의, 방법, 사례 등을 예시하였다. 이 논문은 수업 비평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 앞으로 수업 비평의 구체적 사례 축적과 함께 비평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oost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in order to renovate Korean school culture in which a teacher is too individualistic and isolated from his colleagues. Existing classroom research method and its related theory isn`t effective to create productive and communicative dialogue among teachers. In these situations, the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might be a new approach to renovate the school culture, giving a deep understanding on classroom instruction and a concrete advice for classroom practices. This article illustrates a definition, methods, and a real example of classroom criticism.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이혁규 ( Hyug Kyu Lee ),심영택 ( Young Taek Shim ),김남수 ( Nam Soo Kim ),이현명 ( Hyun M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2

        오늘날 교육자의 교육 실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자기 연구(self-study)가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K교대 교육연구원의 연구팀들이 자기연구에 대한 연구물들을 독해하는 과정에서 어떤 질문을 제기하고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이해를 생성해 가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글이다. 글의 전체 구조는 <만남> - <탐색> -<전망>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만남>에서는 상이한 교수및 연구 경험을 지니고 있는 우리들이 어떻게 자기연구라는 공부와 인연을 맺게 되었는지를 주로 개인적 내러티브 형태로 기술하였다. <탐색>에서는 K교대 교육연구원에서 매주 열리는 공부 모임에서 자기연구(self-study)에 대한 연구물을 읽으면서 함께 경험한 일종의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독해의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망>에서는 자기연구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실천이 심화될 경우 교사 교육자로서의 우리의 실천 및 K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의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에 어떤 새로운 모색이나 변화가 일어날지를 전망해보았다. 교사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위해서 시작한 자기연구는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또 다른 교사로서의 우리의 실천에 대해서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자기연구에 대한 글을 읽는 과정은 다른 사람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촉진하기 이전에 우리 자신의 교육 실천을 돌아보도록 요구받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즉, 자기연구에 대한 글들을 통해서 우리는 교사로서, 예비 교사 교육자로서, 교사 교육자로서, 대학 연구자로 우리 자신과 우리가 변화를 촉진코자 하는 학교 현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다각도로 성찰하게 되었다. One of the most interesting emerging research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is self-study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This study was abou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by research team members in K university of educ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what questions were raised, what was learned, and what was understood. This study consists of ``meeting-inquiring-prospecting``. First, ``meeting`` was about a description with a narrative form of how we who had the widely different experiences of teaching and research were able to engage in self-study. Second, ``inquiring`` was addressing interpreting process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in a study group of K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every week. Last, ``prospecting`` was searching for new ways or changes in our research project,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if our understanding and practice were deepened in self-study. Self-study initiated in the change of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offered us whom we taught in colleges of educatio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ur own practice of teaching. During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of self-study, we realized that we were required reflecting on our educational practices, prior to facilitating changing others` educational practices. In other words, we as teacher, pre-service teacher educator, teacher educator, and educational researcher were necessary to reconsider relationships with schools that we were trying to facilitate their changes and to reeducate ourselves through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 KCI등재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이혁규(Lee, Hyugky)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이 논문은 한국의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에서 실행 연구가 어떻게 시작되어 발전하여 왔는지를 먼저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경향을 개관하고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혔다. 한국에서 실행 연구는 1950년대에 현장 연구라는 이름으로 보급되었으며 기존 현장 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1990년대 이후 실행 연구로 개칭되고 순환적이고 질적인 연구의 성격으로 변화하였다. 유아 교육 분야에서는 1990년대에 실행 연구 전통의 영향을 받아서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 논문을 실행 연구 주제, 실행 연구의 방법, 실행 연구의 개선 대상, 실행 연구의 참여자 형태의 네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전체적으로 볼 때 유아 교육 분야의 실행 연구는 과거 현장연구의 관행을 탈피해서 교육 현장 개선 연구의 최근 경향을 반영하려는 노력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특징을 보면 교수 방법을 개선하려는 기술적 실행 연구(technical action research)가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연구가 지향하는 범위도 교실 실행 연구(classroom action research)의 범위에 머물러 있다. 그리고 단독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 참여자들 간에 협동적인 실행은 잘 관찰되지 않고 있다. 이런 분석에 터하여 실행 연구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pplied four classification standards to examine the research: theme of the silhaeng study, method of silhaeng study, scope of improvement, and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In general, the action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 1990’s, applied circul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ntributing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past hyeonjang researches in Korea an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field. However, technical action research was mainly practiced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methods, and also the range of improvement that the research orientated on only hovered around the category of classroom action research. Furthermore,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 joint researches were being executed in majority but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not observed from the papers. Based on such analysi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improvement, which the action research orients on, conducting a large-scale cooperative research, and executing a dialogical an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has been suggested by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 특성 분석

        이혁규 ( Hyung Kyu Lee ),이선경 ( Sun Kyung Lee ),김향정 ( Hyang Joung Kim ),박형빈 ( Hyoung Bhin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4

        수업 지도안은 교사의 수업 실행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문서이다. 이 논문은 에듀넷에 게재된 수업 지도안을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의 특징을 드러내고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수업 지도안의 형식 분석에서는 수업 상황 정보, 수업 과정 정보, 수업 계열 정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내용분석에서는 학습단계와 학습요소의 용어 및 유형, 교수 학습 활동의 구체적인 단계, 수업 모형의 제시 유무와 유형, 평가 계획의 존재 유무와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한국 수업 지도안의 특징은 형식주의, 공학주의, 객관주의, 교육주의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일반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한국 수업 지도안이 현장 수업 실천에 유용한 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Lesson plan is a very important documents in teacher`s classroom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form and the content of Korean lesson plan. Class context information, class process information, and class sequence information were analysed in the form analysis. The presence and relevance of instruction model and motive stimulus activity, the patterns and efficiency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e patterns and validity of unfolding activity of instruction, and the patterns and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were analysed in the content analysis. By the analysis, the features of Korean lesson plan were formalism, technocratism, objectivism, and educationalism. Korean lesson plan needs to be revised to function more adequately to the new instruction paradigm.

      • KCI등재

        제 7차 교육과정 맥락과 정치 교과서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이혁규 ( Lee Hyeog Gyu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3 시민교육연구 Vol.35 No.2

        One of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r classroom reform dur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textbooks through new textbook policies, including a system of strict standards, and an emphasis on an activity-oriented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and interpret how this new institutional context affects the changes to the high school politics textbook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authors changed from exclusively university-based researchers to a group dominated by highschool teachers. The new textbook policies, which emphasize student-centered textbooks contributed to this change. Second, changes in unit 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texts can also be seen, such as hybridization of genres, more diverse visual data than before, and increases in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ese changes will give positive effects on classroom reform.

      • KCI등재
      • KCI등재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이혁규(Lee Hyugkyu),엄훈(Um Hoon),정정인(Chung Jungin),신지혜(Shin Jihy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 비평의 전제가 되고 있는 ‘수업은 예술’이라는 은유와 그 은유의 대립항을 이루고 있는 ‘수업은 과학’이라는 두 가지 은유에 대하여 그 함의를 수업의 본질과 교육학의 역사에 비추어 고찰하고, 이 두 가지 은유가 수업 비평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수업의 예술성에 대한 본격적인 언급은 듀이에게서 찾을 수 있으나 19세기 말 이후 교육학계를 휩쓴 과학주의의 조류에 휘말려 퇴조하다가 아이즈너 등의 교육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논의되었다. 교육계를 휩쓴 과학주의는 실증주의에 경도된 흐름으로 교육의 과학을 확립하려 노력한 일련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의 흐름 속에서 변화가 모색되게 되었다. 수업의 예술성과 수업의 과학성은 교육학의 역사에서 대립하는 패러다임으로 출발하였으나 최근의 교육 연구 및 현장 교사의 위상 변화에 따라 대립이 지양되고 상호보완하는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수업 비평은 수업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그 의미를 드러내는 과정이므로 수업의 과학성과 수업의 예술성이 상호참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수업 비평이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모두를 감식의 대상으로 삼을 때 수업의 과학성이 지닌 맥락 타당성이 확인되기도 하고 예술적 실천의 과학적 의미가 조명되기도 하면서 수업을 보는 안목의 지평이 확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two opposite pair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history of educational research. Additionally the study considered the two metaphors’ implication in class criticism. The academic consideration on the ‘art’ of teaching can be found in the work of John Dewey, but his concern for the ‘teaching as art’ has been ignored in the floo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at, Elliot W. Eisner and other scholars began to discuss the artistic aspects of education. The tren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had been led by a company of psychologists who had intended to establish the ‘science of education’ by the methodology of physical science. However, recently some qualitative researchers are searching for new trends in educational science. The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have been used as an opposite pair in the opposite paradigms through the last century, but recently they began to consider the pair as complementary in the trend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and the status change of school teachers. The class criticism, which is a process of seeing the class as a whole and finding meaning within it, should make cross-reference to the ‘art’ and the ‘science’ of a teaching. When the class criticism shows off its connoisseurship on the scientific and artistic aspects of a teaching altogether, it can reveal the contextual validity of the educational science and shine a light on the scientific meaning of the artistic practices in a class, and it will lead to the expansion of the horizons of educational connoisseurship.

      • KCI등재

        세 가지 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에 대한 수업 비평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1

        This study has sought to read a 4th grade elementary school`s social studies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has first theoretically explored the textuality of class critique and categories of class critique. Also, this study has engaged in a critical reading of a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efficiency of a class, the teacher as class conductor, and the subject, after completing a process of exploration of what method of reading is advisable in order to richly read the meaning of a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e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class efficiency, this study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lass as discovered by using a checklist. For a reading of a teacher as class conductor, this study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which the practice of class instruction has amidst the life history of the teacher. Also, in terms of reading the subject based meaning of a class, this study has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lass at the level of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content. Such a varied reading is useful for revealing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of a class. Moreover, this kind of an activity of carefully reading the meaning of the practice of class instruction will help increase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of the practitioner of a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