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E 제품에서의 MPV 파일 파싱에 대한 연구

        이태헌 ( Taehun Lee ),신성국 ( Seong-kook Shin ),김희연 ( Heeyeon Kim ),김두일 ( Du-i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응용 환경하에서 트리 기반으로 MPV 파일을 용이하게 파싱(parsing)할 수 있는 MPV 파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논문에 따른 방법은, 엠피브이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자산 및/또는 엘리먼트 및/또는 메타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자산 및/또는 엘리먼트 및/또는 메타데이터간의 상호 관계에 기초하여 엠피브이 파일에 대응되는 트리 구조를 갖는 트리 기반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트리 기반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트리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엠피브 파일에 대한 파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MPV 파일이 복잡한 포맷을 가져도 MPV 파서는 용이하게 MPV 파일을 파싱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졸 청년층 고용의 질 유형에 따른 이직 관련성 연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이한성 ( Hansung Lee ),문혜진 ( Hyejin Moon ),이태헌 ( Taehun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자료를 기반으로 대졸 청년층 임금근로자를 고용의 질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유형과 주요 개인 및 일자리 특성과 취업 준비 특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유형에 따라 이직 의도 및 이직 준비 행동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MS의 설문 구조를 바탕으로 고용의 질 측정 도구를 일부 수정하고, 대졸 청년층의 특성을 반영한 직무 적합 차원을 추가하여 고용의 질을 측정하였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불안정 일자리, 좋지 않은 일자리, 도구적 일자리, 일반적 일자리와 이상적 일자리의 총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고용의 질 유형과 개인 및 일자리 특성 간의 관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남성, 수도권 대학 출신, 기혼일수록 이상적 일자리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고용의 질 유형과 취업 준비 특성 간의 관계에서는 졸업 학점이 높을수록, 인턴 경험이 있는 경우, 자격증 취득 개수가 많을수록 이상적 일자리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직 의도 및 이직 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고용의 질이 높은 집단에 속할수록 이직 의도와 이직 준비 행동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예외적으로, 도구적 일자리와 좋지 않은 일자리는 이직 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도구적 일자리에 속한 청년들은 더 낮은 이직 준비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하위 차원의 질적인 차이를 반영하는 고용의 질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직 의도와 이직 준비 행동을 구분하여 전반적 고용의 질이 낮은 경우에 경제적 보상과 고용안정성이 실질적인 이직 행동과 관련되었음을 밝혔다.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data, this study profiled collegegraduated young workers on different types of employment and found that these profiles were distinguished by major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job preparation characteristics,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reparation behaviors. To measure the employment quality of college graduates, we modified Quality of Employment Index and added an additional dimension of person-job fi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We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five employment quality profiles: unstable job, bad job, instrumental job, ordinary job, and ideal job. In search of associations with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we found that age, gender (male), education (graduation from metropolitan areas), and marriage predicted a higher likelihood of being classified in ideal job. In addition, we found that higher GPA, internship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predicted a higher likelihood of being classified in ideal job. Finally, the overall quality of employment predicted lower turnover inten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Excep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between instrumental job and bad job whereas less turnover preparation behavior was found in instrumental job. This study contributed to improving employment quality measurement by presenting employment quality profiles that consider qualitative differences in sub-dimensions. Furthermore, distinguishing actual turnover behaviors from turnover intention, we found that economic compensation and job security were related to actual turnover behavior when the overall quality of employment was low.

      • KCI등재
      • KCI등재

        Bifactor 모형을 적용한 CES-D 척도의 요인구조 검증

        신재은(Jaeeun Shin),이태헌(Taehun Lee),윤소진(So Jin 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7 스트레스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요인 수와 구조의 불일치 문제가 제기되어 온 Radloff의 CES-D 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해 Bifactor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축약형 CES-D 척도에 응답한 12,309명을 분석 대상으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223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CES-D-K척도의 요인구조 및 준거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요인구조 분석 시 Bifactor 모형에서 도출 가능한 모형 기반 신뢰도와 일차원 검정 지수 등을 활용해 CES-D 척도의 측정적 속성과 요인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ES-D 척도는 강력한 일반요인을 가지는 단일차원으로서 전체점수(총점)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CES-D scale by applying the bifactor model. Many studies for validating the CES-D scale have supported the four-factor structure. But some studies found that the three factor structure provided a more appropriate solution. Such inconsistency in the number and structure of factors led us to conduct two studie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dimensionality of the CES-D-K scale. Methods: In study 1, we factor-analyzed the response patterns to the abbreviated CES-D-K scale (11-item, N=12,309) included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In study 2, we factor-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223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20-item CES-D-K scale. Correlational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criterion validity of the CES-D-K scale with external variables that are theoretically related to depression. The fit indexes of a single-factor model, a four-factors model, and a bifactor model were compared. The Omega coefficients and Explained Common Variance (ECV) were also computed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ES–D-K scale more accuratel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ES-D-K scale has a high value of Omega-Hierarchical for the total score, low values of Omega-Hierarchical for the subscale scores, and a high ECV value. Conclusion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as the scale with a strong general factor, the use of the scale score can accomplish the goal of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target construct of depression with little to no gain from constructing subscale scores.

      • KCI등재

        Toronto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의 하위 요인 간 상관에 관한 메타 분석

        전민성(Minseong Jeon),신재은(Jaeeun Shin),이태헌(Taehun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21 스트레스硏究 Vol.29 No.3

        감정표현불능증을 측정하는 Toronto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는 원 저자들에 의해 정서인식의 어려움, 정서 표현의 어려움, 외부 지향적 사고라는 세 가지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되었고 총점 사용이 권유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많은 연구에서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정서 표현의 어려움을 하나의 요인으로 결합시키고 외부 지향적 사고는 따로 분리하는 2요인 구조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S-20의 세 하위 요인 간 상관 및 세 하위 요인과 준거 변인(우울)과의 상관에 대한 메타 분석을 실시하고 외부 지향적 사고 요인이 다른 요인과 이질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TAS-20 척도의 총점에서 EOT 하위 척도 점수를 분리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Although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20 (TAS-20), a representative measure of alexithymia, was originally designed to measure three factors, recent factor analysis studies have consistently identified a two-factor structure, which merges DIF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s) and DDF (Difficulty Describing Feelings) factors into one and separates the EOT (Externally Oriented Thinking) factors. Methods: Meta-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subfactors of TAS-20, as well as between the three subfactors of TAS-20 and the criterion variable (depression). Results: Correlation between DIF and DDF factors was consistently high, while correlation between EOT factor and the DIF and DDF factors combined was generally low. Correlation between criterion variable (depression) and the DIF and DDF factors combined was significant, while correlation between the criterion variable (depression) and the EOT factors was low or non-significant. The results were the same across five groups that are diagnostically disparate from each other (addiction, depression/anxiety, eating disorders, medical disease, healthy subject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e meta-analysis indirectly support the recently raised alternative two-factor structure of TAS-20, suggesting that the EOT factor is heterogeneous from the other factors. We suggest separating the EOT subfactor scores from the total scores for proper utilization of TAS-20.

      • KCI등재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불공정 경험 분석: 국민청원 게시판 데이터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양혜진 ( Hyejin Yang ),안정민 ( Jungmin Ahn ),이태헌 ( Taehun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질적 텍스트 분석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청와대의 국민청원 게시판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인의 불공정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전체 청원 중 하루에 적어도 30개 이상의 동의를 받은 6,084개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방법 중 하나인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을 활용하여 주요 토픽을 추출하고 각 토픽별 대표문서를 추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양적 기준뿐만 아니라, 질적 분석결과를 통합적으로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28개의 토픽을 결정하였다. LDA를 통해 얻은 토픽별 출현확률이 높았던 단어 15개와 토픽의 언급 순위와 대표문서를 질적 분석한 내용에 따라 한국인의 불공정 경험 및 인식에 대한 몇 가지 특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토픽 모델링과 질적 분석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혼합 방법을 사용하였다는 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공정성 경험 및 인식의 특성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nfairness for Koreans by analyzing texts posted on the Blue House National Peti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opic modeling and qualitative text analysis. Specifically, we applie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extracted latent topics and representative documents per topic from a total of 6,084 petitions that received at least thirty consents per day. A total of twenty eight topics were chosen for final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riteria. The analysis of keywords and representative documents per topic revealed important characteristics regarding Korean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nfairness. Uniqu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strategy for effectively examining text big-data or a mixed method of topic modeling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roposed and profitably appli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unfair experiences among Koreans, providing new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TAS-20K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감정표현불능증 하위 집단 도출 및 심리적 특성 분석

        신재은(Jaeeun Shin),윤소진(Sojin Yun),이태헌(Taehun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22 스트레스硏究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Toronto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를 사용하여 감정표현불능증의 하위유형이 감정 인식의 어려움(difficulties identifying feelings, DIF), 감정 표현의 어려움(difficulties in describing feelings, DDF), 외부 지향적 사고(externally oriented thinking, EOT) 수준에 따라 몇 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는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각 잠재집단에 속한 개인의 감정표현불능증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총 5개의 잠재 집단이 확인되었으며, DIF, DDF 점수에 따라 집단 구분이 이루어졌다. EOT의 경우 집단 구분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DIF, DDF의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 수준이 높았다. DDF 수준은 평균이나 DIF의 수준이 특히 높은 집단(유형2)에서도 우울과 불안 수준이 높아 DIF 요인이 심리적 부적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latent groups that can be identified on the basis on the level of difficulties identifying feelings (DIF), difficulties in describing feelings (DDF), and externally oriented thinking (EOT). Methods: DIF, DDF, and EOT are the sub-factors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ubgroups and investigate their properties. A total of 237 Korean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alexithymia subtypes were classified into 5 latent groups. Results: The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F and DDF scores.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the EOT did not play a role in classifying the groups. The higher the DIF and DDF scores, the higher were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type 2 latent group, which had a unique profile with the highest DIF level and an average DDF level, showe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 significantly affects psychological adaptation, thus warranting the consideration of this parameter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