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라미드 섬유의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클로로프렌 고무와의 계면접착 특성
이태상,김북성,최한나,이기윤,이승구,Lee, Tae-Sang,Kim, Book-Sung,Choi, Han-Na,Lee, Kee-Yoon,Lee, Seung-Goo 한국섬유공학회 2010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7 No.3
Th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chloroprene rubber (CR) and aramid fiber treated with cold plasma was investigated. The surface properties of aramid fiber and CR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dynamic contact angle (DCA) measurements.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aramid fiber changed with the plasma treatment time, power and gas flow rate.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between the plasma treated aramid fiber and CR, was calculated using the pull-out test results. The interfacial adhesion properties of the aramid fabric/CR composite were determined using a T-peel test. Consequently, the strong interaction between the plasma treated aramid fiber and CR matrix improved the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of the composite.
문원재 ( Moon Won-jae ),박명은 ( Park Myeong-eun ),이태상 ( Lee Tae-sang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8 스포츠사이언스 Vol.3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Rio Olympic Games in order to grant the Olympic qualification to the top ranking players by the introduction of the ranking system implemented by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and to acquire the automatic Olympic qualification By comparing with the players, we searc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ranking system,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shaai zhao, Tawin Hanprab, Kim TAE-hun, and Luisito PIE ranked in the order of -58 kg. In the case of Chinese athletes who ranked first, body length (10) and face (4) using long elongation were shown. In case of Iran, who won the first place in this weight automatic ticket, Second, in the -68 kg class, Ahmad ranked second, Alexey ranked second, Joel ranked third, and Lee ranked third. In the case of Jordan, (8), and fist (1), showing excellent skill in face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athletes. For a Belgian player who won the automatic qualification for the 1st place in this weight category, he could not obtain a medal by losing to a Russian player in the medal ticket. Third, Chekick, Lutalo, Milad, and Oussama ranked first in the -80kg weight class, and in the case of 1st-ranked Cote d'Ivoire, (11), face (3), and fist (2). This player was excellent in offensive skill and counter-attack technique was not good, so attacking and defending skill was excellent player. In the case of Iran, which was automatically ranked in the first place in this weight ranking point, Azerbaijan player was eliminated in the ninth round. . Fourthly, in the + 80kg weight class, it was ranked as 1st in Azerbaijan (Radik), 2nd in Nigeria (Abdoulazak), 3rd in Brazil (Maicon) and in Korea (Cha) 4) showed that body and face skills varied in the top heavyweight, and defensive skills were also good. In the case of Uzbekistan player who was automatically placed in the top of this weight ranking point 1, he was not able to win the medal by defeating Golden Point in Cuba in the quarter-finals. Azerbaijan, ranked first in the final tournament, And won the gold medal.
아동의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태상(Lee, Tae Sang),김현정(Kim, Hye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개인의 배려 특성과 자아존중감,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를 분석하고,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개개인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 를 토대로 다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2개 광역행정구역에서 선택된 4개 초등학교 중 규모에 따라 학교당 60-80명의 5학년과 6학년 초등학생들에게 배려 및 자아존중감, 그리고 다문화 수용성 검사지 270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검사지 218부 중 190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으며,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이용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다 중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첫째, 배려와 자아존중감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성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 s regard, self-esteem and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om 19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wo metropolitan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ren s regard, self-esteem, and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gard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이태상(Lee, Tae-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이 연구는 아동의 전인적 발달과 관련되는 요인들 중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타인 배려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관련 변인들 간의 분석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타인 배려의 하위 요인들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학교관련 자아존중감 영역을 제외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인들과 타인 배려의 다른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타인 배려의 관련 변인들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전체는 타인 배려 전체, 하위요인들인 정서반응, 행동반응, 그리고 타인 이해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자아존중감의 또래관련 자아존중감 변인은 타인 배려 전체, 하위 요인들인 정서반응, 행동반응, 그리고 타인이해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self-esteem and other children’s regar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 metropolitan provi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ship existed on the variables of self-esteem and other children’s regar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self-esteem and the variables of other children’s regard.
이태상(Lee Tae Sa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독서 환경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277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독서 환경과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독서 환경과 창의적 인성은 성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창의적 인성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독서 환경의 독서 행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독서 환경 중 독서 태도, 독서 여건, 독서 인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독서 환경과 창의적 인성은 유의한 관계가 있다. 독서환경과 창의적 인성 의 변인들에서 독서 태도 변인은 도전성, 자존성, 탐구성, 개방성 변인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독서 여건 변인은 유머성 변인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으며, 독서 행동 변인은 자율성 변인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독서 인성 변인은 혁신성 변인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독서가 아동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다른 연구결과들과도 일치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om 2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nd Kang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 perception existed on the variables of students’ reading environment and the variables of creativity by sex.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is study related to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n the variables of students’ reading environment and the variables of creative personality.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ing attitude variable in the variables of students’ reading environment and the four variables in the variables of creative personality.
이태상(Lee, Tae-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students problem behavior on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94 middle school students in K-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on the variables of learning attitude students proble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by students sex. Second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of learning attitude students proble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by school type. Third some factors of students problem behavior predicted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 Middle school students can effectively adjust their school with positive learning attitude and students problem behavior controlled; therefore every school needs to support the good experience and learning environment in their learning process.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학습태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발견된 청소년 특성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부적응 청소년을 지도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K도 지역에서 선택된 학교들에서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실태 분석 질문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문제행동, 학습태도 그리고 학교적응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비행행위, 수업형태, 협동학습, 자기개발, 친구만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학습태도와 학교적응 관계에서 문제행동은 학습태도와 학교적응을 예언한다. 중학교에서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의 빈도를 줄이면 학습태도가 개선되고 학교 적응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위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및 학교장 신뢰와 교사의 학교 헌신 관계 탐색
이태상 ( Tae Sa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이 연구는 단위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및 학교장 신뢰와 교사의 학교 헌신의 관계 정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3개 시도교육청들에 소재한 학교에 재직 중인 교원 17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교사의 학교규모별, 그리고 교육경력별에 따라 학교장 지도성 행동 유형, 학교 헌신, 학교장 신뢰 인식 정도가 달랐다. 학교장 지도성 행동, 학교장 신뢰, 그리고 학교 헌신의 관계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정도에 의해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학교 헌신 영역에서 배경 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학교장 신뢰 그리고 교사의 학교 헌신은 각 하위 요인별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은 교사의 학교장 신뢰에 따라 학교 헌신이 달라지며, 교사의 신뢰에 바탕을 둔 효과적인 지도성 발휘를 통해 교사의 학교 헌신을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among 3 areas school teachers.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173 school teachers in Gyunggi, Daejeon, Gangwon Province. For the purposes, it were found that a significant different perception existed on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by the background subvariabl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facto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ome subvariables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style, teachers` principal trust and teachers` school commitment.
이태상(Lee, Tae-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독서환경이 토론태도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독서환경과 토론태도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독서환경의 하위요인들, 토론태도의 하위요인들, 그리고 창의성으 로 설정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277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독서환경과 토론태도 및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환경의 4개 하위 요인들인 독서태도, 독서행동, 독서여건, 독서인성과 토론태도의 4개 하위 요인들인 토론 준비성, 토론 규칙성, 토론 적극성, 토론 개방성 그리고 창의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독서환경은 토론태도와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환경과 토론태도 관련 변인들에서 독서태도 변인은 토론 준비성, 토론 규칙성, 토론 적극성, 토론 개방성 변인에, 독서행동 변인은 토론 준비성과 토 론 개방성 변인에, 독서여건 변인은 토론 준비성, 토론 적극성 변인에, 독서인성 변인은 토론 준비성, 토론 규칙성 변인에 대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서환경과 창의성 간에는 창의성에 대하여 독서인성, 독서태도, 독서여건 순으로 영향력을 보 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등학생의 독서환경이 토론태도와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environment on discussion attitude and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om 2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s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ren s reading environment, discussion participation attitude and creativ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children s reading environment and discussion participation attitude and between the variables of reading environment and creativity.
미국과 영국의 학교 책무성 확보 정책에 대한 연구 -학교평가와 교사평가를 중심으로-
이태상 ( Tae Sang Lee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7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3 No.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미국과 영국의 학교평가와 교사평가의 정책 동향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책무성 제고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학교평가는 교육현장에서 학부모들이 현실적으로 원하는 내용을 교사 및 교육행정가들이 교육현장에 잘 반영시키려고 노력하고, 정부에서는 그것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력으로 뒷받침해 주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의도하고 있으며, 영국의 학교평가는 기회창출, 잠재력 발현, 수월성 성취라는 국가적 방향을 잡고 이를 위해 전국단위 학교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교 효과성을 향상시켜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미국의 교사평가는 민주적인 교사상을 실현하여 교육효과성을 제고시키고, 궁극적으로 학생이 스스로 공부하도록 동기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노력을 지원하며, 학생들의 향상도를 측정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며, 영국의 교사평가는 교사들이 자신의 직무에 자신감을 가지고 더욱 적극적으로 잘 하도록 전문성을 인정하고 필요한 부분을 개발하는 목적과 이러한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는가를 확인하여 부족한 부분을 발견하도록 도와주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positive points for Korean educational policy related to accountability improvement after analyzing educational policy of schoo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in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The result of present study was that both cases are to reinforce schoo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in order to ensure school accountability and to expand the role of federal government for improving school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