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카른광체를 탐지하기 위한 물리탐사 적용

        충화 ( Chung Hwa Park ),정연호 ( Yeon Ho Jung ),이영동 ( Yong Dong Lee ),박종오 ( Jong Oh Park ) 대한지질공학회 2010 지질공학 Vol.20 No.1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과 태백시 철암동에 위치한 가곡광산은 묘봉층 및 풍촌층내의 석회암과 화강반암의 접촉부에 배태된 접촉교대광산이다. 본 광산에서 지구물리탐사는 갱내 및 광산 주변부에 광화대의 부존 여부와 그 연장선을 파악하기 위하여 갱구 부근에서 자력탐사, 갱내에서 전기비저항 탐사 및 갱도-갱도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탐사를 실시하였다. 자력탐사는 광화대의 영향으로 인한 이상대가 확연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기비저항 탐사 및 토모그래피 탐사는 광화대에 대한 영상이 성공적으로 반영되었는데, 이는 본 연구지역에 존재하는 N50°W계의 단층 연장선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The Gagok mine is a contact metasomatic deposit, located at Gagok-myeon, Samcheok city and Cheoram-dong, Taebaek city, Gangwon province. The deposit lies within the limestone of Myobong and Pungchon formations, and exists the contact of intrusive granite porphyr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extension of mineralization in the gallery and around the entrance of the ore deposit, we used the ground magnetic survey, the direct current (dc) resistivity survey using dipole-dipole array, and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The ground magnetic survey did not detect the anomalous zone due to ore deposit, while the dc resistivity survey and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were successful in delineating the anomalous zone related to the extension of fault toward N50°W.

      • KCI등재

        콘서트홀에서 무대음향에 대한 확산체의 영향

        이충화,전진용,Lee Chung-Hwa,Jeon Jin-Yong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3

        The effect of diffusers on Early Stage Support (ST1) in a concert hall was investigated at 8 positions in a 1:25 stage scale mode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hen the stage floor was covered with and without absorption clot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ge floor reflection (absorption coefficient - 0.6 at 500Hz). To find out the effect of stage wall. three types of wall diffusers were used. As a result. absorption cloth on stage floor reduced the ST1 values at high frequency. but the average value of ST1 was not changed. Three types of stage wall diffusers were revealed as unaffecting.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ST1 values varied to positions of stage. The ST1 values were evenly distributed when hemisphere diffusers were used. Therefore. the use of floor absorption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ST1 values, and the diffusers had some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the ST1 values. 본 논문에서는 콘서트홀에서 확산체의 Early Stage Support (ST1)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5 축소모형에서 8지점을 설정하여 ST1을 측정하였다. 무대 바닥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흡음천의 유무에 따라 ST1의 결과값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무대측벽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존의 확산체, 확산체를 제거한 경우와 반구 확산체의 3가지 형태의 확산체를 사용하여 측벽의 변화에 의한 ST1 값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무대 바닥에서의 흡음천의 사용은 ST1에서 고주파의 저감을 일으켰으나 평균값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3가지 형태의 확산체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측정 지점에 따라 ST1 값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특히 반구 확산체에서는 ST1 값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따라서 무대 바닥은 상대적으로 ST1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고, 무대 측벽의 형상은 확산현상에 의해 ST1의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 재귀 분할 평균 법을 이용한 새로운 메모리기반 추론 알고리즘

        이형일,정태선,충화,강경식,Lee, Hyeong-Il,Jeong, Tae-Seon,Yun, Chung-Hwa,Gang, Gyeong-Sik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논문지 Vol.6 No.7

        메모리 기반 추론에서 기억공간의 효율적인 사용과 분류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재귀 분할 평균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패턴공간을 구성하는 각 초월 평면이 동일한 클래스소속으로 패턴으로 구성될 때까지 재귀적으로 분할한 후, 초월 평면별로 소속된 패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대표패턴을 추출한다. 또한 각 특징과 클래스간의 상호정보를 특징의 가중치로 사용하여 분류 성능의 향상을 시도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k-NN(k-Nearest Neighbors) 분류기에서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의 30~90%만을 사용하며, 분류에 있어서도 k-NN과 유사한 인식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저장된 패턴 개수의 감소로 인하여, 실제 분류에 소요되는 시간에 있어서도 k-NN보다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We proposed the RPA (Recursive Partition Averaging)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storage requirement and classification rate of the Memory Based Reasoning. This algorithm recursively partitions the pattern space until each hyperrectangle contains only those patterns of the same class, then it computes the average values of patterns in each hyperrectangle to extract a representative. Also we have used the mutual information between the features and classes as weights for feature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algorithm used 30~90% of memory space that is needed in the k-NN (k-Nearest Neighbors) classifier, and showed a comparable classification performance to the k-NN. Also, by reducing the number of stored patterns, it showed an excellent result in terms of classification time when we compare it to the k-NN.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

        이정훈(Jung-Hun Lee),문선여(Sun-Yeo Mun),이재오(Jae-Ou Lee),충화(Chung-Hwa Park),황철홍(Cheol-Hong Hw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경질 폴리우레탄 폼은 경제적이면서 단열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뿐만 아니라, 스프레이 형태로 시공되는 건축물 내부 단열재로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 건축자재에 비해 화재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다량의 열, 연기 및 독성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대량 인명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폼의 화재위험성은 착화성, 최대 열방출률, 화재성장률, 화염확산속도, 독성물질의 방출량 등 다양한 인자에 대하여 평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실규모 화재실험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이 포함된 샌드위치 패널의 실규모 실험이 수행되고 있으며, 난연성능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모든 연구 및 개발은 완전히 경화된 상태의 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건축 공사 현장의 스프레이 발포 공정에서 발생되는 화재 거동의 이해, 화재원인 분석 및 재구성을 위하여 기존 연구결과의 활용은 명확한 한계를 갖을 수 있다. 특히 최근 물류 및 냉동창고의 공사 단계에서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SPF)의 시공으로 인한 다량의 가연성 기체의 발생과 빠른 화재확산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SPF의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의 검토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건축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휴대용 2액형 우레탄 폼 분사기(Two component urethane sprayer)가 사용되었으며, 주재와 경화재의 체적비가 동일한 조건에서 SPF가 생성되었다. SPF의 연소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SO 5660-1에 근거한 콘 칼로리미터가 적용되었으며, 시편 홀더에 SPF를 생성시킨 후에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이 검토되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열유속의 환경에서 SPF의 경화시간에 따른 점화시간, 질량감소율, 열방출률, 연소열, CO 및 Soot yields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SPF의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의 변화는 건축현장의 SPF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점화 및 화재확산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논문 : 탄성파 속도를 활용한 토석류 위험지역의 표토층 두께 결정

        민대홍 ( Dae Hong Min ),충화 ( Chung Hwa Park ),이종섭 ( Jong Sub Lee ),윤형구 ( Hyung Koo Yoon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1

        토석류 지반의 안정성은 일반적으로 표토층의 중량, 점착력, 사면의 각도 그리고 내부 마찰각 등의 물성치를 통해서 예측된다. 그 중 표토층의 중량은 표토층 깊이와 단위중량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때 광범위한 지역에서 표토층 깊이를 예측하는것이 선행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탄성파 탐사를 통해 표토층 깊이를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표토층 깊이를 예측할 수있는 속도 범위 결정방법도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세종시 인근의 토석류 발생지역으로 전체적인 표토층 깊이를 예측하기 위하여 총 4개의 측선에서 속도 분포를 관찰하였다. 또한 토석류 위험 지역에서의 표토층 깊이를 알기 위하여 동적콘관입(dynamic cone penetration) 시험도 함께 실시하였으며, 총 18개의 원위치 시험을 수행하였다. 탄성파 탐사 결과 대상지역은 총 3~4개의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속도값을 통해 표피심도를 예측하였다. 기존 속도 기준 값으로 예측된 결과는 DCP 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으며, 차이를 감소시키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속도 기준값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결과는 표피심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 기준 값을 현장 조건에 맞게 조절해야 함을 암시하며, 추가적인 실험으로 더욱 정밀한 기준값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estimate the stability of a debris flow it is necessary to know the mass of surface soil, cohesion, slope, and friction angle. Given that the mass of surface soil is a function of soil thickness and mass density, it is important to obtain reliable estimates of soil thickness across a wide are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soil thickness using the elastic wave velocity with a new standard velocity. Tests are performed in debris-flow hazard areas, after which four profiles are selected to obtain the elastic wave velocity.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s are carried out to find the soil thickness at 18 points. The elastic wave velocity shows the area consists of 3~4 layers, and soil thicknesses are predicted by utilizing the new standard. The elastic wave velocity and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s yield large differences in soil thicknes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new standard is useful not only in estimating soil thickness but also i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estimates of soil thickness.

      • SCOPUSKCI등재

        Si(111) Homoepitaxial성장에서 중간금속이 미치는 영향

        곽호원,이의완,박동수,곽이상,이충화,김학봉,이운환,Gwak, Ho-Won,Lee, Ui-Wan,Park, Dong-Su,Gwak, Lee-Sang,Lee, Chung-Hwa,Kim, Hak-Bong,Lee, Un-Hwan 한국재료학회 1993 한국재료학회지 Vol.3 No.3

        We have the homoepitaxiallayers on the surfaces of Si(111) with and without the adsorbed surfactants, for example, Ag or Sn.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difference of growth for these two cases by the observation of intensity oscillations of RHEED specular spots during the growing processes. In the case of growth without the adsorbed surfactants, the Si atoms fill first the stacking fault layer of Si(111) 7 ${\times}$7 structure. Therefore, the irregular oscillations are observed in the early stage of growing process. However, in the case of growth with the adsorbed surfactants, the surfactants already have the ${\sqrt}{3}$ ${\times}$ ${\sqrt}{3}$ structures on the surfaces of Si(111) at the adjucate temperatures of 300`$600^{\circ}C$ and 190~$860^{\circ}C$ for the surfactants of Ag and Sn, respectively. We also find that the number of oscillations is a little larger for the case of growth with the adsorbed surfacta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for the case of growth with the adsorbed surfactants, the activation energies of Si atoms decrease due to the segregation of surfactants toward the growing surfaces. Si(111) 표면위에 Si을 homepitaxial 성장시킬때 중간 금속인 Ag, Sn등을 흡착시키지 않을 경우와 흡착시킬 경우 RHEED(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상의 경면반사점(specular spot)강도의 주기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두 경우의 Si결정성장 과정의 차이점을 관찰하였다. 중간금속을 흡착하지 않을 경우 성장 초기에는 흡착Si원자가 Si(111) $7{\times}7 $구조의 Stacking Fault층을 먼저 채우고난 후 정상적인 충상성장을 하기 때문에 성장초기에는 불규칙적인 진동을 나타내다가 약 6ML정도부터 주기적인 진동으로 바뀜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중간금속인 Ag, Sn을 Si(111)위에 1ML흡착시키면 Ag의 경우 300~$600^{\circ}C$, Sn의 경우 190~$860^{\circ}C$의 시료온도에서 표면구조가 ${\sqrt}{3}{\times}{\sqrt}{3}$구조로 바뀜이 RHEED상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난 후에 Si을 흡착시킬 경우 RHEED 상의 경면반사점 강도는 초기부터 주기적일 변화를 가짐이 관찰되었으며${\sqrt}{3}{\times}{\sqrt}{3}$구조는 변함이 없었다. 또한 보다 낮은 시료 온도에서 많은 진동이 관찰되었다. 이는 중간금속이 성장표면쪽으로 편석하면서 흡착원자 Si의 표면확산에 대한 활성호 에너지를 감소시켜 주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동해안지역 온천유형별 수리화학적 특성 및 영족기체 기원

        정찬호,김규한,최훈공,박지선,충화,이종익,허순도,Jeong, Chan-Ho,Nagao, Keisuke,Kim, Kyu-Han,Choi, Hun-Kong,Sumino, Hirochika,Park, Ji-Sun,Park, Chung-Hwa,Lee, Jong-Ig,Hur, Soon-D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8 지하수토양환경 Vol.13 No.1

        이 연구는 한반도 동해안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온천에 대하여 화학성분, 안정동위원소, 삼중수소 그리고 헬륨과 아르곤 같은 영족기체의 동위원소 특성을 분석하여 온천유형별 온천수의 지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영족기체의 기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해안 일대의 6개 온천지에서 11개의 온천수 시료와 14개의 가스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온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을 보면 오색탄산온천수를 제외한 모든 온천수의 pH는 $7.0{\sim}9.1$ 범위의 약알카리성 내지 알카리성을 보이며 오색탄산온천의 pH는 5.7의 약산성의 특성을 보였다. 온천수의 토출온도는 $25.7{\sim}68.3^{\circ}C$ 범위를 보였으며 전기전도도는 $202{\sim}7,130{\mu}S/cm$의 넓은 범위로 해운대와 동래온천은 평균 $3,890{\mu}S/cm$으로 높은 값을 보인다. 온천을 용존성분에 따른 분류하면 오색, 척산, 백암, 덕구온천은 소량의 유황가스 함유한 알카리성의 Na-$HCO_3$형으로 분류되고, 해운대와 동래온천은 높은 TDS(총용존고형물질)의 해수형 Na-Cl형을 보인다. 그리고 오색탄산온천은 약산성으로 탄산을 함유한 Na-$HCO_3$형으로 분류된다. 연구지역 온천수의 ${\delta}^{18}O$와 ${\delta}D$값은 각각 $-7.8{\sim}-11.7%o$과 $-57.3{\sim}86.4%o$의 범위를 보여 온천수가 순환수 기원임을 지시한다. 위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동위원소 조성 값을 보이는 위도효과가 잘 나타난다. 일부 해수형온천수의 삼중수소 함량은 거의 0 TU에 가까운 값을 보여 최소 약 50년 이상 체류한 물임을 알 수 있다. 오색탄산온천수를 제외한 온천수의 $^3He/^4He$ 동위원소비는 $0.1{\times}10^{-6}{\sim}1.1{\times}10^{-6}$ 범위를 보여, 대기-지각 혼합선보다 상위에 분포한다. 이는 온천수내 He 가스가 대부분 대기와 지각기원이며, 일부는 맨틀기원의 He 가스가 부분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판 경계부에 위치한 일본의 온천수내 He가스는 대부분이 맨틀기원으로 알려져 있어 판 경계부에서 떨어진 우리나라의 경우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오색탄산온천에서는 대기기원 He 동위원소비보다 2.4배 높은 값인 $3.3{\times}10^{-6}$을 보여주어 지하 심부의 맨틀기원의 가스가 지각상부 대수층까지 공급된 것으로 해석된다. 온천수의 $^{40}Ar/^{36}Ar$ 비는 대기기원의 값과 유사한 범위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t spring waters and to interpret the source of noble gases and the geochemical environment of the hot spring waters distributed along the ea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the chemical, stable isotopic and noble gas isotopic analyses for eleven hot spring water and fourteen hot spring gas samples collected from six hot spring sites. The hot spring waters except the Osaek hot spring water show the pH range of 7.0 to 9.1. However, the Osaek $CO_2$-rich hot spring water shows a weak acid of pH 5.7. The temperature of hot spring waters in the study area ranges from $25.7^{\circ}C$ to $68.3^{\circ}C$. Electrical conductivity of hot spring waters varies widely from 202 to $7,130{\mu}S/cm$.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v., $3,890{\mu}S/sm$) by high Na and Cl contents of the Haeundae and the Dongrae hot spring waters indicates that the hot spring waters were mixed with seawater in the subsurface thermal system. The type of hot springs in the viewpoint of dissolved components can be grouped into three types: (1) alkaline Na-$HCO_3$ type including sulfur gas of the Osaek, Baekam, Dukgu and Chuksan hot springs, and (2) saline Na-Cl type of the Haeundae and Dongrae hot springs, and (3) weak acid $CO_2$-rich Na-$HCO_3$ type of Osaek hot spring. Tritium ratios of the Haeundae and the Dongrae hot springs indicate different residence time in their aquifers of older water of $0.0{\sim}0.3$ TU and younger water of $5.9{\sim}8.8$ TU. The ${\delta}^{18}O$ and ${\delta}D$ values of hot spring waters indicate that they originate from the meteoric water, and that the values also reflect a latitude effect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3He/^4He$ ratios of the hot spring waters except Osaek $CO_2$-rich hot spring water range from $0.1{\times}10^{-6}$ to $1.1{\times}10^{-6}$ which are plotted above the mixing line between air and crustal components. It means that the He gas in hot spring waters was originated mainly from atmosphere and crust sources, and partly from mantle sources. The Osaek $CO_2$-rich hot spring water shows $3.3{\times}10^{-6}$ in $^3He/^4He$ ratio that is 2.4 times higher than those of atmosphere. It provides clearly a helium source from the deep mantle. $^{40}Ar/^{36}Ar$ ratios of hot spring water are in the range of an atmosphere source.

      • KCI등재

        주거환경에서 냉장고 소음의 음질 특성

        유진(You, Jin),장호연(Chang, Ho-Yeon),이충화(Lee, Chung-Hwa),정정호(Jeong, Jeong-Ho),전진용(Jeon, Jin-Yong)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16 No.8

        The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frigerator noise in an anechoic chamber and in a real living environment for 30 models of refrigerators were investigated.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subjective tolerance level for refrigerator noise. Refrigerator noise was played from a loudspeaker at the position normally occupied by a refrigerator in a real living environment. A nine-point scale was used to measur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sound pressure levels for refrigerator noise. Point 3 on the scale corresponded to a sound pressure level of about 30 dB(A). Seventy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is level of refrigerator noise. A semantic differential test was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sound quality of refrigerator noise. From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n the psychoacoustical parameters and subjective evaluations of 30 refrigerators, sound quality indices which predict the subjective rating score were proposed.

      • 고정 분할 평균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향상된 메모리 기반 추론

        정태선(Cheong Tae Sun),이형일(Lee Hyeong Il),충화(Yoon Chung Hwa)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6 No.6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FPA(Fixed Partition Averaging) algorithm in order to improve the storage requirement and classification time of Memory Based Reason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enables us to use the storage more efficiently by extracting representatives out of training patterns. After partitioning the pattern space into a fixed number of equally-sized hyperrectangles, it averages patterns in each hyperrectangle to extract a representative. Also we have used the mutual information between the features and classes as weights for feature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