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모바일 지갑의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의 영향요인

        이청아(Chungah Lee),윤혜정(Haejung Yun),이충훈(Chunghun Lee),이중정(Choong C.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1

        모바일 쿠폰과 멤버십 카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모바일 지갑은 사용 편리성과 경제적 혜택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서비스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지갑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단기 사용자의 증가는 모바일 지갑 서비스 제공자들이 수익창출을 위해 해결해야 할 주요한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지갑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기간을 늘리기 위한 주요 고려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모바일 지갑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이익(Benefit)과 비용(Sacrifice)측면으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분석 가능한 VAM(Value-based Adoption Model)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이익 측면에서는 유용성, 가치표현, 인지된 보안과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용 측면에서는 기술의 복잡성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각된 가치는 지속사용의도와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해 모바일 지갑 서비스 제공자가 단기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의 개선 및 마케팅 시에 기능 측면뿐만 아니라 감성적 측면의 요인들까지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bile wallet that can keep coupons and membership cards for mobile is one of rapidly growing services due to its usability and financial benefit. However, in spite of its rapid growth, the increase of users who do not use continuously it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o service providers for making a profit. This study aims to test the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mobile wallet based on VAM (Value-based Adoption Model) which can analyse them in both benefit and sacrifice aspects, so as to suggest considerations to increase the use period of mobile wallet for service providers. The research findings supported the hypotheses regarding to the effects of usefulness, value-expression, perceived security and enjoyment in the benefit aspect and technicality in the sacrifice aspect on perceived value. In addition, the causal path from perceived value to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significant.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marketing or service improvement for short-term users by taking account of emotional factors as well as functional factors.

      • 평가제도와 보상제도가 조직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청아(Chung-Ah Lee),정동일(Dong-Il Jung) 한국경영학회 2023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8

        본 연구에서는 인사제도 중 평가제도와 보상제도가 기업의 조직성과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업의 관점에서 보상 시스템이 개인의 성과를 적절히 보상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도구로 인식되는 반면, 개인들은 이러한 시스템이 자신들이 인정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실적에 대한 인식이 제한되며 직원들 간의 차별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Lawler, colleagues, 2000). 이처럼 기업의 입장에서는 선호하는 제도를 개인의 입장에서는 선호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반대의 입장 차이가 발생하여 인사제도에 따른 기업의 관심과 개인의 관심이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평가제도와 보상제도의 영향력을 개인 단위와 기업 단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 단위의 경우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기업 단위의 경우 기업의 재무적 성과인 조직성과를 살펴봄으로써 평가 및 보상제도가 개인과 기업에게 어떤 불균형한 결과를 가져오며, 그 결과가 조직성과와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조직성과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인 기업규모, 산업, 성별, 세대를 통제변수로 설정, 제어하여 평가제도와 보상제도에 대해 상황론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조사하고 있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Capital Corporate Panel) 중 2019, 2017, 2015, 2013, 2011년의 5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성과인 영업이익은 대기업과 금융업에서 높게 나타났고, 보상제도 중 선택적 복리후생제도를 시행하고, 업적평가를 시행할 때 영업이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경우 여성에 비하여 남성의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세대의 경우 은퇴기로 갈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졌고, 기업의 규모도 커질수록 조직몰입이 높았으며 스톡옵션과 역량평가를 시행할 경우 조직몰입이 높았다. 본 연구는 통제변수들에 대해 상황론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생성한 상호작용 변수들의 결과를 통해 몇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한다. 조직 내에서 개인의 성과를 평가하고 보상하는 시스템을 설계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 번째, 세대를 고려해야 한다. 두 번째, 집단 성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세 번째, 역량평가를 강화하여야 한다.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인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네번째, 근속 연수를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규모와 산업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경영자나 정책 결정자들에게 조직성과 향상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평가 제도와 보상제도의 설계와 관리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 KCI등재

        아동학대 재발생 정의에 따른 재학대율 비교

        김정현(Kim, Jeonghyeon),이상균(Lee, Sang-Gyun),이봉주(Lee, Bong Joo),김주옥(Kim, Joo ok),이청아(Lee, Cheong-ah),유조안(Yoo, Joan),김현수(Kim, Hyun-Soo) 한국아동복지학회 2022 한국아동복지학 Vol.71 No.1

        이 연구는 아동학대 재발생과 관련하여 국내·외 선행연구 및 국가통계의 조작적 정의를 살펴보고, 여러 산출 방법의 특징 및 그 기준에 따른 재학대율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재학대율 산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 국가통계 산출을 위해 적용하는 동일 피해 아동에 대한 동일 행위자의 5년 내 재학대 여부, 둘째, 행위자에 대한 구분 없이 피해 아동 기준 5년 내 재학대 여부, 셋째, 최초 학대 보고 기준 1년 이내 재학대 발생이다. 비교 분석을 위해 2012년∼2020년 간 우리나라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데이터베이스 내 존재하는 오류를 살펴보고, 전처리 과정을 통해 최종 분석자료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동일 피해 아동/행위자 기준의 연도별 재학대율은 8.0%∼11.3%로 집계되었고, 피해 아동을 기준으로 재학대율을 산출한 결과는 11.5%∼21.7%로 약 2배 정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차이에 대해 기준별 아동특성을 연령, 성별, 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학대유형,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산출 기준에 따른 결과 차이를 기술하였다. 한편, 동일 피해아동/행위자로 재학대율을 산출할 때는 부 혹은 모의 단독 재학대만 추정이 가능하고, 부와 모가 시간적 간격을 두고 학대한 경우는 재학대에서 제외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부모의 재학대 행위자군을 비교한 결과 부의 단독 재학대는 31.4%, 모의 단독 재학대는 22.1%, 부와 모로 이루어진 재학대는 38.4%로 부와 모로 이루어진 경우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즉, 현재의 재학대 기준으로는 부 혹은 모의 단독 재학대에 개입을 요구하는 결과를 낳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재발생에 대한 기준을 재정립할 것을 제언하고, 이를 근거로 한 아동보호서비스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al definitions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by reviewing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and national statistics.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alculation methods and recurrence rates of child maltreatment according to their standards.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recurrence rates of child maltreatment were (a) whether the same perpetrator has re-abused the same child within five years (applied in Korean national statistics on child abuse); (b) whether the child victim has been re-abused within five years, regardless of the perpetrator; and (c) whether child maltreatment recurs within one year of receipt of the initial report. For comparative analysis, we employed data of the Korean Child Protective Services (CPS) from 2012 to 2020, examined errors existing in the database, and selected the data for final analysis through a rigorous pre-processing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rate for the same child victim/perpetrator was 8.0%-11.3% annually, and this rate based solely on the child victim was 11.5%-21.7%,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same child victim/perpetrator. We examined differences in childrens characteristics across standards by age, gender, relationship to the perpetrator, type of abuse, and receipt of National Basic Likelihood Security, and we discussed thes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criteria. When calculating the recurrence rates of child maltreatment for the same child victim/perpetrator, we included the re-abuse rate only when it was a single perpetrator and either the childs father or mother. Thus, if the father and mother perpetrated the abuse at different intervals, this excluded them from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The results of the comparitive analysis of groups of parental perpetrators showed thatthe fathers re-abuse rate was 31.4%, that of the mother was 22.1%, and that of both parents was 38.4%.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definitions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and initiate a practical discussion on child protection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COVID-19와 <자기만의 방>에서 소외되는 여성들에 대한 연구 : 엄마대학원생들의 학업-육아 양립경험을 중심으로

        오혜인(Hyein Oh),김만준(Manjun Kim),이청아(Cheong-ah Lee),이학건(Hakgeon Lee),조예상(Yesang Cho)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11 No.4

        COVID-19가 세계를 휩쓸면서 엄마대학원생에 대한 소외와 배제는 더욱 심화되었다. 엄마대학원생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존재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가운데 COVID-19로 인하여 돌봄 부담까지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엄마대학원생이 경험해 온 다양한 문제와 외적 제약들을 드러내는 가운데, 학업-육아 양립에 대한 제도적 기본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 팬데믹 속 학업 수행 중인 엄마대학원생의 경험을 편견 없이 탐색하고자 문헌연구 및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이전 엄마대학원생들은 대표적으로 경제적 어려움, 절대시간의 부족, 정서적 어려움, 나를 돌볼 여유가 없는 모성, 인식과 문화 부재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COVID-19 이후 발생한 변화를 살펴본 결과 크게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하였다. 우선 대학 행정・교육 시스템이 전면 온택트(ontact)화 되면서 엄마대학원생의 물리적, 시간적 에너지 소모가 줄어들었으며, 일의 효율이 높아져 추가 소득을 벌기도 하였다. 그러나 ‘모성’이라는 굴레에 얽매인 재난 약자로서의 모습이 주되게 발견되었다. 팬데믹 이후 모성에 시간을 쏟느라 가용 가능한 시간자원이 더욱 줄어들었고, 정서적 어려움은 한층 심화된 것이다. 또한, 지지자원 유무에 따른 갈등이 다양하게 일어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엄마대학원생들을 위한 제도적 틀을 단기, 중기, 장기적 차원에서 제언하였다. 먼저 단기적 차원에서는 이미 존재하고 있는 공공시설에 대한 접근성이나 학사 제도에 대한 개선을 추구하도록 하였으며, 중기적 차원에서는 지속적인 논의와 소통이 담보될 수 있도록 학내 공식 조직을 마련하도록 제언하였다. 장기적 차원에서는 보다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접근을 통해 지속가능한 학업-육아 양립 환경구축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끝으로 COVID-19의 확산 속에서 돌봄의 책임을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가 함께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에 대해 부언하였다. As COVID-19 has swept the world, alienation and exclusion of graduate student mothers deepen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burden of care has aggravated, while their existence is not properly recognized. This study presents academic and child-rearing co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 mother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The study found out that before COVID-19, graduate student mothers were typically experiencing hardships such as economic difficulties, lack of absolute time, emotional difficulties, motherhood not affordable of taking care of oneself, and absence of awareness and culture. After COVID-19, as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system became completely online-based, physical and time energy consumption have decreased, while work efficiency increased inducing additional income. However, graduate student mothers became the vulnerable group of people in a disaster, bound by the yoke of ‘motherhood’; time resources available were further reduced, with exacerbated emotional difficulties. Diverse conflicts also occurred depending on supportable resources. The study ends with proposing short, medium, and long-term measures for the future. At the short-term level, seeking improvement regarding th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ies and academic systems that already exist is suggested; at the medium-term level, an official organization within the school is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ensure continuous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t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need to construct a sustainable academic-parenting environment through more fundamental and structural approach is emphasized. In addition, amid the spread of COVID-19, extra institutional intervention for the society to bear care responsibility together with an individual is suggested.

      • KCI등재
      •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 행태 연구 : 자기결정성, 긍정적 정서, 스마트미디어 효능감을 중심으로

        최은진(Eunjin Choi),염우성(Woosung Yeom),이선우(Sunwoo Lee),김솔(Sol Kim),이청아(Cheongah Lee),김주환(Joohan K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의 목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페이스북 이용자와 트위터 이용자 집단에 자기결정성, 긍정적 정서, 스마트 미디어 효능감과 관련한 특성이 각 SNS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각 특성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자기결정성 척도, 긍정적 정서관련 분석척도, 스마트 미디어 효능감 척도 문항을 기초로 설문을 시행,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우울감 정도가 높을수록 트위터 이용량이 많아지는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witter and Facebook users' characteristics. The authors of the present paper assumed that Twitter and Facebook using behaviors were affected by SDI(Self-determinant indices), positive emotion, and smart media efficacy. Factor and path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had low positive emotion tended to use Twitter a lot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