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랑수련활동과 국제성취포상제 및 수련활동인증제와의 연계 가능성 모색

        이채식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10 청소년행동연구 Vol.- No.15

        청소년기는 변화의 시기이다. 청소년은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독립성과 존재감을 높여가면서 책임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라나게 된다. 청소년은 기존 사회규범안에서 사회화를 이루기도 하지만, 제한된 사회규범에 맞서 새로운 도전과 욕망을 꿈꾸기도 한다. 청소년의 존재와 도전은 특정사회가 지닌 맥락(context)과 변화요구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지게 된다. 안정을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청소년을 결핍적이나 위험한 존재로 설정되는 반면 새로운 변화를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청소년은 가능성과 대안적 존재로 이해되어진다. 산업사회를 거쳐 지식기반사회로 변화하는 우리 사회는 청소년에 대한 문제중심접근(problem based)에서 벗어나 청소년의 긍정적 성장을 지원하고 사회적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더 높이기 위한 청소년개발접근(development approach)으로 전환과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이채식ㆍ김상욱 2010; Lerner, 2005; Pittman et al. 2003). 이제 청소년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된 역량을 발전시켜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기반의 조성과 기회제공은 우리 사회의 중대한 과제이다(한상철, 2009).

      • KCI등재

        중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결정요인 분석

        이채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ccultuarative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anguage ability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 Korea. The data gathered from 350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Daegu-KyoungBook province. SPSSWIN/ver 12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data with frequency, t-test and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degree of female students'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degree of femal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sts'. Secondly,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while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ly, with multiple regress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i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develop international students programs based on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and school attachment. 이 연구는 중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대인관계, 언어능력 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대구시와 경북지역에 위치한 5개 대학을 무작위로 추출한 후 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유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ver 12.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남자유학생에 비해 여자유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이나 대인관계에 있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주요 하위요인들과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대인관계와는 낮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은 언어능력과는 다소 높은 정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차별, 두려움, 적대 등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대인관계인 친구관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문적 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 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이 부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친구관계의 요인들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정서적 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향수병, 문화충격, 고립감 등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중국인유학생의 안정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촉진하는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채식,박덕병,박은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mmunity satisfaction of rural youth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and farming related variables on the community satisfaction. Community satisfaction were categorized in vocation and income, education, housing and environment, health and cultur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94 rural youths working for agricultural farming. With SPSS for Windows, Frequency, t-test, ANOVA, LSD for post-hoc interpretation and Generalized Linear Method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Whereas rural youths are more likely to satisfy with vocation and income, housing and environment services, not less likely to satisfy with culture and health services in community. Married youths are more likely to satisfy with housing and environment services rather than the others. As results of GLM, birth year, marital status, farming size, farming type were identified as the comparatively important determinants of community satisfaction. Youth graduated high school are more likely to satisfy with housing and environment services, not less likely to satisfy with culture and health, compare to youth graduated university. Youth running medium farming size and keeping agricultural incomes for 3-years are highly satisfied with community satisfac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extend stable vocation condition and provide culture services for rural youths to enhance community satisf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만족을 측정하고, 사회인구학적 및 영농변인이 지역사회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농업에 종사하는 20대 농촌청소년 194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13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빈도, t-분석, 변량분석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농촌청소년은 직업 및 소득, 주택 및 환경 등의 지역사회만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문화부문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농촌청소년들의 지역사회만족을 높이기 위해 우선 청소년들의 여가 및 문화생활을 위한 문화관련 시설의 확보 및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농촌청소년은 직업․소득부문에 있어 25세 이하, 경제적 상위층, 중농이상, 축산분야에 종사하는 청소년의 만족이 높았으며, 주택 및 환경에 있어 기혼자, 전문대졸 및 대졸자, 작물분야에 종사하는 청소년의 만족이 높았다. 보건․의료에 있어 기혼자, 고졸 및 전문대졸, 창업농인 청소년들이 미혼자, 대졸, 승계농인 청소년들의 만족정도가 높았으며, 문화부문은 고졸인 청소년이 대졸에 비해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났다. 사회적 관계는 영농기간이 길며 나이가 많은 청소년의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특성 및 영농특성의 차이에 따른 만족정도를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정책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농촌청소년의 범주별 지역사회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학력, 출생연도, 영농규모, 영농형태 등이었다. 고졸청소년은 대졸청소년에 비해 주택 및 환경에 있어 만족정도가 낮은 반면 보건의료 및 문화부문에 있어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중농이상의 청소년은 직업 및 소득에 있어 소농인 청소년에 비해 만족정도가 높은 반면 문화에 있어 만족정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최근 3년간의 소득변화가 동일한 청소년이 직업 및 소득, 주택 및 환경, 보건 및 의료부문에 있어 소득이 감소한 청소년에 비해 지역사회만족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중농규모나 일정소득이 유지되는 청소년이 대체로 지역사회만족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농촌청소년이 지속적으로 농촌에 거주하면서 영농에 종사하기 위해 무엇보다 안정적인 소득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과 경쟁력확보를 위한 능력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