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4GHz 다중채널 능동형 RFID시스템을 위한 대용량 태그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의 설계 및 구현

        이채석,김동현,김종덕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7 No.3

        To apply active RFID technology in the various kinds of industry, it needs to quickly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ISO/IEC 18000-7 standard uses the 433.92MHz as single channel system and its transmit rate is just 27.8kbps, that is insufficient for a larg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To solve this problem, we designed a new data transmission protocol using 2.4GHz band. The feature of designed protocol is not only making over 255bytes data messages using the Burst Read UDB but also efficiently transmitting it. To implement this protocol, we use Texas Instruments’s SmartRF04 develop kit and CC2500 transceiver as RF module. As an evaluation of 63.75kbytes data transmission, we demonstrate that transmission time of Burst Read UDB has improved as 17.95% faster than that of Read UDB in the ISO/IEC 18000-7. 능동형 RFID가 많은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기 위해서 대용량의 태그 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보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SO/IEC 18000-7 표준은 433MHz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송속도는 27.8kbps에 불과하다. 이러한 전송속도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무리가 있다. 우리는 빠른 대용량 태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2.4GHz대역을 사용하였고,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우리가 설계한 프로토콜은 Burst Read UDB라는 새로운 명령어를 사용하여 255bytes이상의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하여 Texas Instruments사에서 개발한 Smart RF04 개발보드를 사용하였으며, 통신모듈로는 CC2500트랜시버를 이용하였다. 구현을 통한 비교실험에서 63.75kbytes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기존 표준의 Read UDB보다 Burst Read UDB가 17.95%의 데이터 전송시간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숨쉴만한 삶을 위한 집 만들기와 기술

        채석 한국문화연구학회 2023 문화연구 Vol.11 No.2

        Home has long functioned in our daily lives as a material, social, and imaginary space for a breathable life. This article seek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es and making home for a breathable lif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it looks at the complex meaning of home adopt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ologies in Europe. In this process, it defines home as a place in which physical places and social experiences are constantly interacting and assembled. Additionally, it defines the home-making process as a sociomaterial practice constructed across private and public spaces. Next, it moves to examine how the process of creating a home is closely linked to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where class, gender, race, and disability intersect. These power relations, in particular, determine the ability to feel comfortable in public spaces and act as a key element in constituting the sense of home and homelessness. Next, it discusses the dominant discourse on technology presented as a solution to homelessness of the minorities and how it is combined with the homemaking process by them. Lastly, as an alternative, it suggests adopting ‘matters of care’, which feminist technology researchers have presented as a way of technology research to contribute to building a breathable life.

      • KCI등재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숨쉬기에 관하여

        채석진(Suk Jin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9 No.-

        숨쉬기는 지구상의 생명체가 삶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행위이다. 삶과 죽음을 가르는 치명적인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숨쉬기는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어 문화 연구 진영에서 광범위하게 간과되어 왔다. 팬데믹 상황은 우리가 공기의 흐름 속에서 존재하고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미세 입자들(혹은 바이러스)에 따라 살아가는 방식과 상태가 구성됨을 드러낸다. 또한 우리가 숨 쉬는 행위를 통해서 지구에 거주하는 다른 존재들과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이 점에서 팬데믹 상황은 끔찍한 재앙이지만 동시에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다른 존재들과 공존하는 삶을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 근본적인 성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글은 지난 수 년 동안 유럽에서 활발하게 진행해온 숨쉬기를 둘러싼 학문적인 논의를 토대로, 팬데믹 상황 속에서 함께 숨 쉴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탐색을 시도한다. 먼저 비판 연구 진영에서 관련 논의를 이끌어 온 세 명의 학자들의 작업을 중심으로 공기, 숨쉬기, 숨 쉬는 몸, 숨 쉴 만한 삶에 관하여 성찰한다. 다음은 세 명의 한국 청년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이들의 일상 속에서 환경적 · 생물학적 · 사회적인 공기가 어떻게 긴밀하게 얽혀서 작동하고 있으며, 청년들이 이 속에서 어떻게 숨 쉴 만한 삶을 만들고자 시도하고 있는지 기술한다. 이 글의 초점은 공기, 숨쉬기, 숨 쉬는 몸, 숨 쉴 만한 삶이 무엇인가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개념들을 가지고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는 데 있다. 결론으로 우리 삶의 연결성과 취약성에 대한 인정이 더 나은 삶을 모색할 수 있는 전제 조건임을 주장한다. Breathing is an essential activity to sustain life on Earth. Nonetheless, it has been widely ignored in academic discussions in cultural studies. The pandemic reveals how our ways of life are fundamentally conditioned by micro-particles in the air and how closely we are connected with other beings through the act of breathing. In this respect, the pandemic offers an opportunity for us to reflect on how to coexist with other beings. This article seeks for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ays to explore the meaning of breathing in our daily lives. First, it reviews the recent work of three scholars who have led academic debates on air, breathing body, and breathable life in critical studies. Then, it describes how environmental, biological, and social airs are closely intertwined in everyday lives of young poeople and how they are trying to create a room for breathe. This paper underlines the recognition of the connectedness and vulnerability of our lives through the act of breathing as a fundamental condition to imagine a better life.

      • KCI등재

        수치 만들기: 아카데믹 캐피털리즘과 학문 노동의 재구성

        채석 한국언론정보학회 201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5 No.-

        This paper explores the changed nature of academic labour in the contemporary corporatised universities. It first understands the formation of research oriented universities as part of the process of university integration into the new economy. Then, I discuss how higher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subjected to systemic regulatory governance during the shift, assembling a particular form of academic labour to make more scor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evaluation system. Finally I argue that this changed form of academic labour has intensified the hierarchical social relations and inequalities in universities.

      • KCI등재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 의한 공맹 예론의 해석

        채석용(Chae Seok Y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Social Intuitionist Model)에 의하면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정에서 전략적 추론은 직관보다 뒤늦게 작용한다. 우리는 먼저 직관적으로 도덕 판단을 내린 이후 전략적 추론작업을 수행한다. 서구 윤리학에 의하면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은 사회적 규범과 구분되는 것이다. 도덕은 보편적이지만 규범은 상대적이다. 도덕적 보편성은 합리적 이성에 의해 도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 의하면 이러한 구분은 착각이다. 인간의 도덕감과 사회적 규범은 서구 사회에서조차 결코 구분되는 것이 아니었다. 인간은 직관에 의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이러한 판단은 사회적 규범으로 확대된다. 공자와 맹자는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가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마음을 의미하는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바탕으로 형성된다고 믿었다. 예에 관한 그들의 입장은 정서주의적이라 규정된다. 이들의 정서주의적 입장은 직관, 판단, 추론 사이의 연결망에서 추론을 늘 직관보다 뒤늦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한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의 기본구도와 일치한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의 기본 구상에 따라 공맹의 정서주의적 예론은 재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에 따르면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통해 사회규범으로서의 예에 관한 구체적 판단이 수행된다. 그렇게 수행된 판단의 결과에 대해 시비지심이 작동하여 이론적 정당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합리적 과정은 타인의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우러나오도록 작용함으로써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가 확산된다. 그러나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를 확산시키는 좀 더 근본적인 방법은 직관에 의해 도출된 판단이 시비지심의 도움을 받지 않은 채 곧바로 타인의 사양지심에 작용하는 것이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과 공맹 예론 사이엔 중대한 차이점이 있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은 직관에서 판단, 판단에서 추론에 이르는 과정의 정당성을 평가하지 않는다. 직관과 추론 모두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서는 관찰 대상일 뿐 평가대상이 아니다. 반면 공맹 예론은 직관으로서의 존중심을 도덕의 근원으로 긍정한다. 또한, 맹자는 공자와 달리 추론능력으로서의 시비지심까지 긍정한다. According to J.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strategic reasoning comes after intuition in the human moral judgment-making process. Human beings intuitively make moral judgments first and then perform strategic reasoning. According to Western ethics, human internal morality is distinguished from social norms; morality is universal, but social norms are relative. In addition, moral universality should be derived through rational reasoning. However, according to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this distinction is illusory: human moral sense and social norms were never distinguished, even in Western societies. According to Haidt, human beings make moral judgments through intuition and then these judgments are extended to form social norms. Confucius and Mencius believed that propriety - as a social system of norms - is formed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others. Their theory of propriety is defined as emotional. This emotional theory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framework of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which perceives that, in the network between intuition, judgment, and reasoning, reasoning always acts behind intuition. Their emotional theory of propriety can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of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According to this reconstruction,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makes concrete judgments about propriety as a system of social norms. As a result of this judgment,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operation of one’s sense of approval and disapproval of right and wrong. This rational process serves to promote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toward others, thereby spreading propriety as a social system of norms. However, a more fundamental means of spreading propriety as a social system of norms is that the intuition-derived judgment is directly related to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toward others without help from one’s sense of approval or disapproval toward right and wrong.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and Confucius and Mencius’s theory of propriety.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does not assess the justification of the process from intuition to judgment and from judgment to reasoning. According to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intuition and reasoning are both observable and distinct from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propriety affirms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as a source of morality. Furthermore, unlike Confucius, Mencius affirms belief in one’s sense of approval and disapproval of right and wrong as a reasoning ability.

      • KCI등재

        유교 윤리의 성(聖)과 속(俗)

        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According to Kim sangjoon's theory of multistory modernity, modernization is not unique to Europe. He argues that Asia, Europe and the Globe jointly contributed to universal modernization. Kim explains the universal characteristic of modernization as the encompassing structure of the Profane over the Sacred. This study accepts Kim Sangjoon's attempt to explain the universality of modernization through two concepts the Sacred and the Profane. However, this study disagrees with Kim's explanation that the relation of encompassing changes from the encompassing of the Profane by the Sacred to the encompassing of the Sacred by the Profane. This problem of theory og multistory modernity originates from a misunderstanding of M. Weber's theory of modernization. The modernization of Europe is not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encompassing the Sacred by the Profane as Kim explains.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European modernization is a separation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Protestantism's disenchantment view on the world played a central role in dualizing the Sacred and the Profane. Protestantism has maximized value-rationality by absoluteizing God's power. Therefore, it could have maximized the purpose-rationality in the real world. This characteristic made possible the modernization of the real world. There has never been encompassing of the Sacred over the Profane in Confucian history. The Sacred had never surpassed the Profane. From primitive Confucianism to modern one, Confucianism has gradually suppressed the power of the sacred. Moreover contemporary biology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is being developed to reduce the meaning of the sacred. This development aspect of contemporary science is consistent with the aspect of Confucianism that has continuously reduced the meaning of the Sacred. 김상준의 중층근대성론에 의하면 근대화는 유럽만의 고유한 특성이 아니다. 그는 아시아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가 보편적 근대화에 공동으로 이바지했다고 주장한다. 김상준은 근대화의 보편적 특징을 성(聖)에 대한 속(俗)의 통섭 구조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성과 속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근대화의 보편성을 설명하는 김상준의 시도를 받아들인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을 성에 의한 속의 통섭으로 부터 속에 의한 성의 통섭으로 통섭 관계가 변화하는 것이라는 김상준의 설명에는 동의하지 못한다. 중층근대성론의 이러한 문제점은 베버의 근대화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한다. 유럽의 근대화는 김상 준이 이해하는 것처럼 속이 성을 통섭하는 과정을 통해 달성된 것이 아니다. 유럽 근대화의 특징은 오히려 성과 속의 분리라고 보아야 한다. 프로테스탄티즘의 탈주술적 세계관은 성과 속을 이원화하는 중심적 역할을 했다. 프로테스탄티즘은 신의 권능을 절대화함으로써 가치합리성을 극대화했다. 이에 따라 현실 세계에서는 목적합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런 특성은 현실 세계를 근대화할 수 있게 했다. 유교에는 성이 속을 통섭한 역사가 없다. 성은 늘 속을 뛰어넘지 못했다. 원시유교부터 현대유교에 이르기까지 유교는 성의 권능을 점진적으로 억제해 왔다. 진화론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 생물학 역시 성의 의미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과학의 발전 양상은 성의 의미를 지속해서 축소해온 유교의 변화양상에 들어맞는다.

      • KCI등재

        기다리는 시간 제거하기 : 음식 배달앱 이동 노동 실천에 관한 연구

        채석진(Suk Jin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8 No.-

        이 글은 한국에서 음식 배달앱 이동 노동이 조립되고 수용되고 실천되는 역동적인 과정을 탐사한다. 이를 위해 2018년 7월부터 2020년 8월까지 거리, 상점, 배달노조 기자회견 및 관련 세미나, 배달앱 노동관련 소셜 미디어 공간을 오가며 현장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 연구는 배달 산업 변화, 배달앱 기업의 기술 관리, 배달앱 노동 경험이 어떻게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구성되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추구하였다. 이 글은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플랫폼 노동에 관한 비판적 연구의 전통 속에서 이 논문이 채택하고 있는 이론적 · 방법론적 접근방식을 설명한다. 다음은 한국에서 배달음식 산업이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과 맞물려 어떻게 새로운 연결망으로 진화하며 새로운 속성의 시장과 노동을 재구성하고 있는지 기술한다. 이어서 새로운 연결망 속에서 배달노동자들이 어떠한 시간 실천을 수행하고 있는지 논의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새로운 연결성이 삶의 통제성을 확대할 것이라는 배달앱 기업의 홍보 담론과 달리 오히려 기다리는 시간을 확대하며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 속에서 추구되는 효율적인 시간 실천이 적대적인 사회적 관계의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Drawing on two years of fieldwork, this article explores the formation of food delivery app mobile workforce in South Korea. In the past few years, food delivery app industry has surged and created new forms of market and labor relations. This study pursues a complex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food delivery app mobile workforce by combining industry analysis, technology analysis, and labor experience analysis. It first explains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hat I adopted to this study. Then, I discuss the changed nature of market, labour process, and social relations mediated by food delivery app. The following discusses how delivery app workers identify themselves as enterpreneurers and perform time practices to eliminate waiting time in labour process and how it creates hostile relations with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