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HAZOP 분석 자동화를 위한 객체지향 모델링

        이진명,허보경,황규석 한국산업안전학회 1998 한국안전학회지 Vol.13 No.1

        Hazard and operability (HAZOP) analysis is one of the safety analysis method that is used in the chemical complex, because it can systematically identify causes and consequences of all the deviation that could occur. Since this method needs to hire specialized experts, it is costly and time-consuming. Therefore HAZOP Expert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automate this analysis. This approach introduced object-oriented method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which is hierarchical tree of units to supply flexibility in the system, functional semantic network, propagation equation and rule-chaining method to set up the expert system for automating HAZOP analysis.

      • KCI등재

        인지된 동의가 소비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와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 20대, 3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이진명,나종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개인정보 제공에 있어서 인지된 동의(informed consent)의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인지된 동의 집단과 형식적 동의 집단 간 개인정보 제공의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의 개인화 혜택 및 프라이버시 위험 지각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된 동의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 이용 경험이 있는 20대, 30대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 앱 이용 시 접근을 허용해야 하는 개인정 보들에 대한 정보제공의도를 살펴본 결과, 소비자들은 기기식별 정보와 위치정보를 제외한 대부분의 정보제공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인지된 동의 집단이 형식적 동의 집단보다 개인정보 제공의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된 동의 집단이 개인화 혜택 지각, 지속이용의도에 있어 형식적 동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 은 반면, 프라이버시 위험 지각은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개인화 혜택과 프라 이버시 위험이 지속이용의도에 각각 정적, 부적 영향을 미쳤고, 두 경로에서 인지된 동의 여부의 조절효과가 확 인되었다. 소비자가 인지된 동의를 할 때 개인화 혜택이 지속이용의도를 높이는 정적 효과가 강화되고, 프라이버 시 위험이 지속이용의도를 낮추는 부적 효과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된 동의가 개인정보 제공의도와 서비스 지속이용의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부기관, 개인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는 사업자, 그리고 관련 학계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m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ormed consent in using personalized services in mobile commerce contex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consumers’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WPPI)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location-based mobile commerce(LBMC) between informed consent group and uninformed consent group.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ed consent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benefits and privacy risk on continued use intention of LBMC. Data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from young mobile users(N=500). As a result, consumers showed a negative attitude to provide most of information that are accessible when using LBMC exclud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ed cons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PPI, perceived personalization benefits, and continued use intention than the uninformed consen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rivacy risk percep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perceived benefits are increased through informed consent but has no change in perceived risk, and ultimately could lead to the continued use of LBMC. Structural equation results revealed that personalization benefits and privacy risk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respectively. Informed cons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paths in the model. such that personalization benefits had a stronger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for informed consent group compared to uninformed consent group. On the other hand, privacy risk had a weaker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for informed consent group compared to uninformed consent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informed consent positively affect the service use as well, promoting service use by moderating the effect of cost-benefit perception. By empirically revealing various effects of informed consent,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and implications for privacy-related government agencies, business practitioners that collecting and using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and relevant academic researchers.

      • KCI등재

        마일부(馬一浮) 유학사상에서 이기론과 수양론의 상호관계성 문제

        이진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2 中國硏究 Vol.92 No.-

        필자는 마일부(馬一浮, 1883-1967)의 철학체계의 특수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일부는 중국 근대 신유학의 국사(國師)로 알려져 있다. 마일부 사상은 이기론(理氣論)과 수양론(修養論)을 하나로 통합하는 데서 특색을 발한다. 역대 유가 사상을 하나씩 검토하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본인이 말하고자 하는 경계를 구조화시킨다. 육예(六藝)를 통해서 유불선을 회통시키며, 지식과 수양, 본체와 현상이 둘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마일부의 의론은 깊이가 있으며, 현대유학이 가야할 방향을 예시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마일부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다. 그 이유로, 첫째 마일부 사상이 난해성을 손꼽을 수 있다. 둘째, 동시대 사상가인 웅십력(熊十力, 1884-1968)이나 양수명(梁漱溟, 1893-1988)에 비해, 마일부는 은둔자의 삶을 살았고, 중국에서도 연구가 늦어졌기 때문이다. 현재 마일부는 중국에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필자는 마일부 사상의 전반적 내용을 검토한 후 이기론과 수양론의 종합되어 가는 논리적 구조의 모습을 조망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살피는 것으로부터 마일부 사상의 핵심을 차지하는 논의를 관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복성서원강록(復性書院講錄)』에서 본격적으로 다루는 육예론은 나중의 기회로 미루고 우선 마일부의 철학사상이 온축되어 있는 『태화의산회어(泰和宜山會語)』에 등장하는 핵심 사안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사안들은 크게 존재론(本體論)․인식론(認識論)으로 나뉘는데 마일부 철학의 중대한 특징은 존재론과 인식론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로 보는 관점에 있다. 존재론은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을 가리키고, 인식론은 지행합일(知行合一)․성수불이(性修不二)를 가리킨다. 존재와 인식이 분리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가 리(理)와 사(事)가 다르지 않다(理事不二)고 본다는 뜻이며, 체(體)와 용(用)이 본래 하나(體用一源)라는 관점을 견지한다는 뜻이다. 또 화엄종(華嚴宗)에서 말하는 “전체와 개체는 하나(總別不二)"라거나 “육상일여(六相一如)"와 같은 사상으로 이기(理氣)와 지능(知能), 인식(認識)과 실천(實踐), 지식(知識)과 도덕(道德)의 화해를 추구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이진명,송현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eing out what appeared to have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ee teachers who have interest in teaching career, and practice teaching career steadily. Classroom observation, pre-interview, an interview after class were conducted. It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ntinuously comparing the data collected.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expressed by developing practical knowledge framework. It contained the source of practical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nal structure of the framework is shown in the image, principle, and rules. Practical principle is shown broken down into objectives related to, contents related to, methods related to practical principles. Summariz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eaching career was like this. First, sources of practical knowledge were different. Second, images of teaching career affected rules and principles of practical knowledge.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practical rules of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이를 위하여 진로 수업에 대한 관심이 크고, 진로 수업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세 명의 연구 참여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관찰, 사전 면담, 수업 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위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실천적 지식의 원천과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실천적 지식 분석틀을 개발하여 표현했다. 최종 분석틀에서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이미지, 원리, 규칙을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원리는 목적 관련 실천적 원리, 내용 관련 실천적 원리, 방법 관련 실천적 원리로 세분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지식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사의 진로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원천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것은 교사의 이전의 삶이 수업의 전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서 진로 수업에 대한 이미지, 원리를 분석했을 때 교사가 진로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실천적 지식 구조와 실천적 지식의 규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세 교사에게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차이는 원리와 규칙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교사마다 다른 원리와 규칙의 양상으로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구조 중 실천적 규칙에 차이가 있다. 교사들이 구현하는 진로수업을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실천적 지식의 규칙은 각 수업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각 교사별 실천적 지식에 따라 수업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 TV프로그램 친숙도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진명,김효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etnam consumers’ familiarity with Korean TV programs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rough Korean culture preference and country image.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on a summary construct effect model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a global panel of professional research company. A total of 5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TV program familia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orean culture preference and country image, and Korean culture preference and countr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effect of Korean TV program familiarity on purchase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The bootstrapping results confirmed the full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symbols from Korean TV programs could influence the preference of Vietnam consumers for Korea and Korean culture, which may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 TV프로그램에 대한 친숙도가 한국문화 선호도와 국가이미지를 매개로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국가이미지에 관한 요약개념화 효과 모델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조사전문업체의 글로벌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베트남 소비자 총 511명의 응답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TV프로그램 친숙도는 한국문화 선호도 및 한국 국가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한국문화 선호도와 한국 국가이미지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TV프로그램 친숙도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bootstrapping 결과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TV프로그램을 통해 접하는 여러 가지 정보와 상징들이 베트남 소비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선호 및 한국에 대한 긍정적 국가이미지에 축약되고, 이를 매개로 한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제고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