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내용중심 통합 영어교육의 동향 분석

        이지숙(Lee, Ji-suk),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되어 온 초등 내용중심 통합 영어교수 연구 논문들의 시기별 동향 및 교수의 효과성을 살피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1년부터 2020년 9월까지 출판이 이루어진 초등영어교육 관련 논문을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적격성 기준을 통해 141편을 최종 선별하였으며 이를 시기별로 연구의 양적변화, 연구방법, 통합 유형 등으로 나누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의 양적 변화 면에서는 정부의 몰입교육 시행 발표 이후 연구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몰입교육 시행이 무효화되면서 관련 연구수가 다시 감소하여 현재까지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었다. 연구의 대상학년의 경우 연구 대상이 5, 6학년에 많이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의 방법은 실험연구의 비율이 꾸준히 높게 유지되는 가운데 최근에 들어서는 문헌연구의 비율이 감소하고 분석연구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의 방법 측면에서는 몰입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그 다음으로 교과통합, 이야기통합, 주제통합 순이었으며, 마지막으로, 통합 대상교과의 경우 과학교과를 대상으로 통합을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가운데, 과학, 수학, 사회 교과와의 통합으로 연구들이 많이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synthesize researches on content-language integrated elementary English instruction in Korea. All studies related to content-language integrated elementary English instruction published until September 2020 were collected via the electronic means. As a result, 141 artic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eligibility criteria. They were analyzed by being divided into three phases based on a ten-year cycle(first phase: 1991~2000, second phase: 2001~2010, third phase: 2011~2020.09). Firstly, the quantitative changes of articles, method, participants, types of integration by curricula period were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studies were conducted intermittently during first phase. In the second phase, after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nouncing the implementation of immersion education,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creased rapidly. However, with the retraction of the plan proposed by Lee’s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the research started to decrease and continued to decrease in the third phrase. Concerning participants, there were more studies on fifth and sixth graders than studies on the lower grader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among surveyed studies of experimental, survey, developmental, observational, analytical, case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Another trend discovery is while the number of literature studies have decreased, analytical studies have increased recently. In terms of the integration method, the immersion studies outnumbered other method. In regards to the subject, researchers preferred science the most and a lot of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in science, math and social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청소년 분노유발요인 척도개발연구

        이지숙(Jee-So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는 탐색적 요인분석 등을 통해 한국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분노유발요인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외 청소년대상 분노유발요인 척도를 분석하여 130문항을 추출하고, 이를 연구팀이(관련교수 2명, 박사과정생 2명) 적절성, 시기적/문화적 타당성, 중복성 등을 점검하여 총 54개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청소년 252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예비문항을 설문조사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낮은 요인부하량을 나타낸 12개 항목을 제거하고, 7개요인(자존감을 위협당할 때, 통제할 수 없는 상황, 소유물에 대한 침해, 제지당했을 때, 규범이 지켜지지 않을 때,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차별(무시)당할 때) 총 42개 항목이 추출되었다. 분석 결과 청소년대상 분노유발요인 척도의 내적합치도, 타당도 결과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분노와 공격행동척도와의 상관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적절한 수렴타당도를 나타냈다. 개발된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를 추가적으로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청소년들이 분노하는 상황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궁극적으로 분노를 완화하는 대안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Adolescent Anger Provocation Scale(AAPS) for Korean adolescents. In order to develop the scale, two research processes were conducted. First, a total of 130 items were derived from various related research. After analyzing 130 items by a research team(2 related field professors and 2 Ph.D. students), a total of 54 items reconstructed based on redundancy, cultural relevancy, and appropriateness. Second, a survey was administered among 252 Korean adolescents. After analyz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2 items of poor factor loading were deleted. Thus, seven factors and 42 items were extracted. Seven factors were as follows: (1) threat to self-esteem, (2) uncontrollable situations, (3) violation of personal property, (4) incidents associated with rejection, (5) violation of regulation or rules, (6) disrespectful treatment, (7) unfair treatment due to ag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ce validity of the scale were supporte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lso reported. In addition, study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어린이 영어도서관 LMS 비교 분석

        이지숙(Lee Ji-suk),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four online English libraries to analyze their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comparison. To this end, the analysis of LMS functions (KERIS, 2004) was modified to be instrumentalized for a comparison of the rate of implementation for LMS functions in each online library program. The comparative criteria is used to distinguish the existence of each function for the rate of implemented func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asic functions of learning for students in the student mode recorded high implementation rate but the other functions such as additional learning and consultation found to be relatively low. In teacher and manager mode, the implementation rate showed critical differences among four online libraries. The feedback and consultation functions appeared in a low implementation rate along with the communication which was also in need of enhancement. In the nature of online library program being self-directed learning instrument the overall functions of students motivation must be further strengthened to keep the students stay with online library programs. 연구는 온라인 어린이 영어도서관 네 곳의 LMS 분석을 통해 그 교수 학습적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KERIS(2004)의 학습관리시스템 기능 분석표를 온라인 영어도서관 LMS 기능 항목에 맞게 수정한 후, 이를 연구도구로 하여 해당 기능의 유무 여부를 기록한 다음 온라인영어도서관 LMS별 구현율로 나타내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 지원 기능에서는 학습자들의 기본 학습과 관련된 기능은 그 평균 구현율이 높았으나, 그 이외의 기능들은 평균 구현율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네 곳의 LMS에서 모두 학생-교사간의 소통을 위한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교수·운영자 지원 기능은 온라인 영어도서관별 그 평균 구현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피드백, 상담과 같은 교사가 직접 학생들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기능 및 교사-학생 간 소통기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어린이 영어도서관 LMS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문제행동을 완화하는 보호요인연구: 조절요인과 Suppressor를 중심으로

        이지숙 ( Jee Sook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09 청소년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의 5년차 자료(응답자 2448명)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탄력성이론에서 자산요인에 해당하는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자기신뢰감이 청소년이 현재 겪는 어려움과 일탈사이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자기신뢰감 요인 중 현재 어려움과 청소년 일탈사이에서 보호(완충)요인을 찾아 통계적으로 증명하고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suppressor변수의 역할을 설명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자기통제력만이 청소년이 겪는 현재 어려움과 청소년 일탈과의 관계에서 조절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증명되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은 청소년일탈을 적게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어려움과 일탈사이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자기신뢰감은 suppressor변수로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일탈사이에서 매개변수로 역할 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 등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Over 2400 adolescents rated current difficulties,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illegal behaviors to mild and brief delinquency, self-control, self-esteem, self-reliance. The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self-control, self-esteem, and self-reliance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difficulties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assess: (1)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self-esteem, and self-reli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difficulties and behavioral problem, and (2) a substantive interpretation of a suppressor variable. Assistant Professor, Dept. of Social Welfare, Hoseo University The results provided evidence that self-control moderated the effect of current difficulties on adolescent behavioral problems. The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the suppressor variable, self-reliance, although not related to symptom reports in simple bivariate correlations, significantly predicted higher behavior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Such a result indicates that self-reliance should be monitored and properly guided. Further interpreta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Recommendations for social workers based on strength-based intervention were also discussed.

      • SCIESCOPUSKCI등재

        측정 자세에 따른 식도 내압의 변화 - High resolution manometry를 이용한 연구

        이지숙 ( Jee Suk Lee ),박무인 ( Moo In Park ),문원 ( Won Moon ),김경미 ( Gyung Mi Kim ),박선자 ( Seun Ja Park ),김규종 ( Kyu Jong Kim ),박은호 ( Eun Ho Park ),신은경 ( Eun Kyoung Shin ),임동한 ( Dong Han Yim ),최평락 ( Pyoung Rak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9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5 No.1

        목적: 식도운동질환을 진단하는데 기본 검사로 시행되어온 표준 식도내압검사는 검사실에서 누운 자세로 제한된 시간동안 10회 정도의 물을 연하시켜 발생하는 식도 수축파를 분석 평가하므로 실제 생활 중에 일어나는 식도 운동성변화를 반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High resolution manometry (HRM)는 자세에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자세의 변화에 따라 식도 내 압력의 측정치가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HRM을 시행하여 검사 위치에 따른 식도 내압 측정치의 변화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9명의 지원자와 삼킴 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남자 15명, 여자 14명, 나이 27-72세) 1 cm 간격으로 센서가 부착된 36 channel의 high resolution manometry (Sierra Scientific Instruments Inc., Los Angeles, CA)를 시행하였다. 6시간 금식 후 5mL의 물을 10회 삼키게 한 후에 앉은 자세에서 먼저 측정하였고 15분 후에 누운 자세에서 측정하였다. 하부 식도 조임근과 상부 식도 조임근에서의 평균 안정 식도압, 평균 연동 진폭(mean wave amplitude), 평균 속도, 연동성 식도-위경계부의 이완압(deglutitive EGJ relaxation)은 ManoView(TM)(Sierra Scientific Instruments Inc., Los Angeles, CA)으로 자동분석하였고, PFV (Pressurization front velocity)와 DCI (distal contractile integral)는 ManoView(TM)의 Smart Mouse too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진단은 pressure topography criteria에 근거한 식도 운동 분류 기준을 사용하였다. 결과: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의 측정값은 평균 기저 하부식도조임근의 압력(20.9±7.0 mmHg vs 22.4±8.3 mmHg, p=0.28), 평균 기저 상부식도조임근의 압력(51.0±30.2 mmHg vs 49.7±17.2 mmHg, p=0.11), 평균수축파의 진폭(64.7±29.0 mmHg vs 73.9±41.0mmHg, p=0.19), 연동속도(5.4±4.5 cm/s vs 5.8±5.3 cm/s, p=0.91), PFV (4.2±1.2 cm/sec vs 4.3±0.9, p=0.70), 연동성 식도-위경계부의 이완압(9.2±4.6 mmHg vs 11.2±4.3, p=0.2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원위부 수축 적분값(DCI) 만이 누운 자세에서 유의한 증가소견을 보였다(2625.6±1265.9 mmHg.s.cm vs 3426.4±1542.6 mmHg.s.cm, p < 0.01). 22명(75.9%)은 측정자세에 따른 결과가 일치하였으나 7명(24.1%)은 서로 불일치하였다. 앉은 자세에서는 모두 정상 식도 기능으로 진단된 반면 누운 자세에서 3명은 호두까기 식도, 3명은 경한 기능적 폐쇄, 나머지 1명은 비정상적으로 하부식도조임근의 압력의 감소로 진단되었다. 결론: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의 HRM의 측정 변수 중 DCI 이외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측정 자세가 최종 진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측정 자세 변화에 따른 High resolution manometry의 정상치와 새로운 진단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Background/Aims: High-resolution manometry (HRM) is a new methodology that can be done at any posi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body position affects the esophageal manometric parameters. Methods: Twenty nine subjects (15 males and 14 females, age: 53.1±13.2) were studied with a 36-channel HRM assembly. The subjects performed ten 5-mL water-swallows in the sitting position. At 15 minutes, the same study was done in the supine position. The basal mean LES pressure and the UES pressure, the mean wave amplitude, the velocity and the deglutitive relaxation were analyzed automatically using ManoView(TM). The Pressurization front velocity (PFV) and distal contractile integral (DCI) were manually calculated using the Smart Mouse tool in ManoView(TM). We used the Chicago classification1 for the diagnosis. Results: The mean manometric parameters in the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were the basal LES pressure (20.9±7.0 mmHg vs 22.4±8.3 mmHg, respectively, p=0.28), the basal UES pressure (51.0±30.2 mmHg vs 49.7±17.2 mmHg, respectively, p=0.11), the wave amplitude (64.7±29.0 mmHg vs 73.9±41.0 mmHg, respectively, p = 0.19), velocity (5.4±4.5 cm/s vs 5.8±5.3 cm/s, respectively, p=0.91), the PFV (4.2±1.2 cm/sec vs 4.3±0.9, respectively, p=0.70), and the deglutitive relaxation (9.2±4.6 mmHg vs 11.2±4.3, respectively p=0.23). Only the DC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upine position (2625.6±1265.9 mmHg.s.cm vs 3426.4±1542.6 mmHg.s.cm, respectively, p<0.01). A different final diagnosis was noted in 7 subjects (24.1%) at each position. Conclusions: The patient position during HRM study may affect the esophageal motor parameters and the final diagnosi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9;15:31-37)

      • KCI등재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대처방법의 조절효과 분석

        이지숙 ( Jee Sook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영역(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적 스트레스)과 유형별 대처방법(적극적, 소극/회피적, 공격적,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행동)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처방법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충남지역의 중ㆍ고등학교 청소년 11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부모 스트레스와 친구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중요한 예측변수임이 증명되었다. 대처방법의 유형별 분석에서 사회적지지추구 청소년은 낮은 자살생각을 나타낸 반면 소극적 또는 회피적 대처방법을 사용하는 청소년은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자살생각의 중요한 예측변수로 증명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법의 전 영역을 중심으로 자살생각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나 친구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소극적이거나 회피적 대처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증명되었고, 사회적지지추구 대처가 높은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친구스트레스로 인한 자살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극/회피적 대처방법이 부모와 친구스트레스와 자살생각사이에서, 사회적지지추구 대처방법이 친구스트레스와 자살생각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이 이루어졌으며,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대안이 제시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unique and moderating effects of daily stress aspects and coping aspects on suicidal ideation in a sample of 119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1) The stress due to parents and friends each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2) Social support seeking and passive/avoidant coping each predicted suicidal ideation. The participants who applie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indicated less suicidal ideation, whereas ones applied passive/avoidant coping indicated higher suicidal ideation. (3) Passive/avoidant coping moder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stress due to parents and friends and suicidal ideation. At high level of the stress due to parents and friends, adolescents with passive/avoidant coping skills experienced elevated suicidal ide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in working with adolescents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