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국내 인터넷 의료 정보 평가

        이준상 ( June Sang Lee ),문태건 ( Tae Gun Moon ),김회진 ( Hoi Jin Kim ),이현정 ( Hyun Jeong Lee ),이준행 ( Jun Haeng Lee ),심상군 ( Sang Goon Sh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김재준 ( Jae J. Kim ),이종철 ( Jong Chul Rhee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4

        목적: 인터넷상에서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해서 검색되는 웹사이트들이 정확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인터넷 정보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식도역류질환"과 "역류(성) 식도염"을 핵심 단어로 2006년 7월 1일부터 9월 2일까지 7개의 검색엔진에서 검색된 각각 상위 15개 웹사이트(총 108개)를 대상으로 JAMA 핵심기준과 대한소화기 운동학회의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 치료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만든 점검표를 이용해서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108개의 사이트 중 개인 병의원의 검색 빈도가 가장 높았고(21.3%) 대부분 환자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87.0%). JAMA 기준에 3개 이상 부합하는 사이트는 11개(9.3%)였고 3개 미만으로 만족시킨 웹사이트보다 정보의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02). "Heartburn"에 대한 정의는 50%의 웹사이트에서 비교적 정확히 언급되었고 진단 시 초기에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고 언급한 사이트는 48.1%, 내시경 검사 없이 24시간 pH 검사 등을 초기에 시행한다는 언급은 26.9%, 식도내압 검사나 번스타인 검사, 식도조영술을 일반적으로 시행한다고 언급한 웹사이트는 28.7%였다. 치료에서는 65.7%에서 생활습관 조정을 언급하였고 생활습관 조정 단독만으로 증상 관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웹사이트는 47.2%였다. 치료약물 중 양성자펌프억제제를 언급한 웹사이트는 57.3%였는데 임상적으로 가벼운 경우에 양성자펌프억제제 4주 투여 후 필요 시 투여나 단계적 하향 투여에 대한 언급은 8.3%, 임상적으로 심한 경우에 양성자펌프 억제제 8주 투여 후 지속 투여에 대한 언급은 11.1%의 웹사이트에서 있었다. 결론: 일반인들이 검색엔진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에서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위식도역류질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사이트마다 정보의 양과 내용에서 차이가 많았다. 이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Background/Aims: Internet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medical information not only for medical personnels but also for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ternet based medical information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in Korea. Methods: The first 15 internet sites using the key words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were retrieved from the 7 most frequently used internet search engines. The quality of information from a total of 108 websites was evaluated using a checklist. Results: Among total 108 sites related to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fifty-six sites (51.8%) were made by hospitals or clinics and 94 sites (87.0%) were made for patients. Of the 108 sites, eleven web sites (10.1%) had more than three JAMA benchmarks (authorship, references, currency, and disclosure). Higher quality sites (at least three JAMA benchmarks) were less likely to contain inaccurate information than lower quality sites (fewer than three JAMA benchmarks)-3/11 (27.2%) vs. 60/97 (61.9%) (p<0.01). Despite the fact that articles in the literature emphasized an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an association between the lifestyle, dietary behaviors, and GERD, such guidelines continue to be recommended as first-line therapy in most websites. Conclusions: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ere incomplete in the majority of medical web sites. These would bring about confusion to patients seeking for an information about GERD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need for better sources in evidence based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eal reflux diseases on the web.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231-237)

      • KCI등재

        한국군 실 사격 훈련간 효율적인 안전지대 데이터 구축 방안 연구

        이준식(June-Sik Lee),최봉완(Bong-Wan Choi),오현승(Hyun-Seung Oh)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5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38 No.3

        An effective method for produce munitions effectiveness data is to calculate weapon effectiveness indices in the US military’s Joint Munitions Effectiveness Manuals (JMEM) and take advantage of the damage evaluation model (GFSM) and weap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Matrix Evaluator). However, a study about the Range Safety that can be applied in the live firing exercises is very insufficient in the case of ROK military. The Range Safety program is an element of the US Army Safety Program,and is the program responsible for developing policies and guidance to ensure the safe operation of live-fire ranges. The methodology of Weapon Danger Zone (WDZ) program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weapon modeling/simulation data and actual impact data. Also, each WDZ incorporates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o evaluate the relative risk of an identified profile. A study of method to establish for K-Range Safety data is to develop manuals (pamphlet) will be a standard to ensure the effective and safe fire training at the ROK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xample, WDZs are generated with the WDZ tool as part of the RMTK(Range Managers Tool Kit) package. The WDZ tool i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application that is available to operational planners and range safety manager of Army and Marine Corps in both desktop and web-based versions. K-Range Safety Program based on US data is reflected in the Korean terrain by operating environments and training doctrine etc, and the range safety data are made. Thus, verification process on modified variables data is required. K-Range Safety rather than being produced by a single program, is an package safety activities and measures through weapon danger zone tool, SRP (The Sustainable Range Program), manuals, doctrine, terrain, climate, military defence M&S, weapon system development/operational test evaluation and analysis to continuously improving range safety zone. Distribution of this K-range safety pamphlet is available to Army users in electronic media only and is intended for the standing army and army reserve. Also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to authorized users for marine corps commands are indicated in the table of allowances for pub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efficient K-Range Safety Manual producing to calculate the danger zo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K military’s live fire training by introducing of US Army weapons danger zone program and Range Safety Manual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결핵성 복막염 진단을 위한 복수

        이준성 ( June Sung Lee ),김경아 ( Kyung Ah Kim ),이우진 ( Woo Jin Lee ),전영빈 ( Young Bin Jeon ),이정환 ( Jung Whan Lee ),김유선 ( You Sun Kim ),문정섭 ( Jeong Seop Moon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2

        Backgrounds/Aims: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eritonitis,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s usually difficult since liver cirrhosis obscures the clinical features and alters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scites. The aim of th

      • SCOPUSKCI등재
      • KCI등재

        作物 섭취량 변화를 통해 본 農耕의 전개 과정 : 한반도 유적 출토 人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준정(Lee, June–Jeong)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3 No.-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작물유존체, 경작 관련 유구 및 유물, 그리고 역사기록을 토대로, 한반도에서 작물재배가 처음 시작된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농경이 어떤 과정으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시대별로 각 작물이 실제 생계경제에 있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였는지를 이러한 자료만으로 파악하기는 힘들다.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 전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8개 유적(거제 대포 패총, 부산 동삼동 패총, 태안 고남리 패총, 사천 늑도 유적, 김해 예안리 고분군, 경산 임당 고분군, 창녕 송현동 15호분, 서천 옥남리 분묘군)에서 출토된 인골 136개체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대별로 각 개인이 영위한 식생활의 구체적인 면모를 복원하고 각 작물의 섭취량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몇몇 주요 작물을 종별로 분간할 수 없는 방법론상의 한계와, 현재까지 축적된 분석례가 시대적, 지역적으로 편중된 문제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부산 동삼동 패총 등 신석기시대 몇몇 유적에서 출토된 작물유존체의 양을 근거로 잡곡 농경의 비중이 상당한 정도에 달했던 것으로 보는 견해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삼국시대 이후 양상을 토대로 통시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청동기시대 도작 농경의 비중, 특히 실제 생산량 및 섭취량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도 벼가 주식으로 활용될 정도로 도작 농경이 활성화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역사기록에서 벼의 주 소비층으로 언급된 상위 계층의 경우에도, 실질적인 섭취량은 그다지 많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조선시대 중~후기 이후 상위 계층에 이르러서야 벼의 안정적인 섭취가 가능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reviews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values measured from bone collagen of 136 individuals from 8 archaeological sites dated from the early Chulmun period to the middle to late Chosun dynasty, in order to detect how millet and rice agriculture was intensified through time. The consumption of millet is hardly detected from stable isotopic values of Chulmun people(Daepo, Tongsam–dong, Konam–ri sites), even though large amounts of millet remains were recovered from the same sites. The actual importance of rice in the Mumun diet is still unclear, since we have only one isotopic data from coastal shell midden site(Konam–ri) which located at the marginal area for the Mumun agriculture. Rice was not a staple crop even for the high status individual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arbon isotope results from Nuk–do, Yean–ri, Imdang, and Songheon–dong sites indicate a largely C₃ based diet, with certain amount of C₄ crops(i.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C₃ crops in Korean agricultural system include several species, such as rice, six–rowed barely, naked bread wheat, soybean, and azuki bean. It is almost im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C₃ crop species using only isotopic values. Since high status male consumed less C₃ crops than low status individuals and/or female from some sites, it is suggested that the major C₃ crop consum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could be beans, not rice. Rice as staple food is finally discerned from the isotopic values of high status individuals from the middle to late Chosun dynasty site(Oknam–ri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