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지방이전이라는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전력공기업의 지방이전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준태,하규수,Lee, Joon Tae,Ha, Kyu So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5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정부정책에 따라 지방이전을 해야 하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은 가족의 생활터전이 바뀌거나 단신 부임으로 가족과 떨어져 별거생활을 해야 하는 등 새로운 근무환경과 생활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조직변화에 대한 이전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을 개인-조직 적합성(P-O fit)이론에 적용하여 파악하고, 긍정적 인식 또는 부정적 인식에 따라 직무태도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공직자들 고유의 내재적 동기인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과 직무태도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전력공기업의 지방이전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은 조직몰입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나, 이직의도와 공공봉사동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점과 공공봉사 동기는 조직몰입과는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와 부(-)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또한, 공공봉사 동기는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점과, 조직몰입 또한 공공봉사동기와 이직의도 간에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To follow the government policy on 'balanced development of county', the employees of public agencies to be relocated should get used to the new working and living environments such as changing their homes or living away from their family.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awareness of the employees of public agencies to be relocated on such organizational change with Person-Organization fit concept and then to find out the effect of positive or negative awareness on job attitude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t is expect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public employees, positively acts as a medium between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job attitude, which this study confirm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mployees of electric power public enterprise to be relocated. This study proves that firstly the awareness on organizational change is not direc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affects directly turnover inten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an immediate cause and secondly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t doesn't affect turnover intention and lastly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negative correlation to turnover intention. Besides, this study empirically finds out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mediating effect which is significantly affects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hang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 예제학습 방법에 기반한 저해상도 얼굴 영상 복원

        이준태(Jun Tae Lee),김재협(Jae Hyup Kim),문영식(Young Shik Moon)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hallucination method based on example-learning.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example-learning requires alignment of face images. In the proposed method, facial images are segmented into patches and the weights are computed to represent input low resolution facial images into weighted sum of low resolution example images. High resolution facial images arc hallucinated by combining the weight vectors with the corresponding high resolution patches in the training se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more reliable results of face hallucination than the ones by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example-learning.

      • KCI등재

        한민족의 기원 모색을 위한 알타이 지역 역사문화유적 여행상품개발 방안 연구

        이준태 ( Lee Jun-tae ),윤병국 ( Yoon Byeong-ku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한민족의 기원을 문명사적 시각에서 접근해보기 위해 알타이문명의 전래와 그것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알타이문명론은 기존의 동아시아 문명의 중국 중심적 역사 인식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동아시아 문명과 북방유목민족 문명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되어져야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인들이 알타이라는 말에 대해서 정서적으로 매우 친근감을 느끼는 것은 ‘알타이 산맥’, ‘알타이 어족’ 등 알타이 관련 용어들이 매우 친숙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민족의 조상이 3-4천 년 전에 알타이 지역에서 유래하여 한반도에 정착했다는 학설이 일반화 되었고 이 지역은 한국인에게 마음의 고향으로 여겨져 한국인의 몽골 지역으로 여행 인기가 매우 높다. 이러한 연유로 한국인들에게 알타이 지역이 한국과의 민족적 연대감을 느낄 수 있는 지역으로 재인식되고 있는 만큼 네 곳의 알타이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역사문화유적 방문 여행 상품을 계발하여 해당국가와 한국간의 관광교류가 활성화시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ltai civilization impacted to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approach the origin of Koreans from civilizational perspective. The Altai civilization points out the dispute of existing China-Centric East Asia History and the new needs of perceiving a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civilization and the North nomadic tribe civilization. Koreans are familiar with the Altai due to the words of the Altai mountains and the Altaic languages. The theory of Korean origin (began 3000-4000 years ago in Altai region) has been generalized. Moreover, this region has been the hometown deep in mind to Koreans. As a result, Mongolia has been a popular tourist attraction to Koreans. Due to the these facts, this research provides the needs of development of new travel product of 4 Altai regions visit which tourists can experience the history, culture, and heritage that enables Koreans to feel solidarity of the Altai. And also, it encourages revitalizing the tourism rel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countries.

      • KCI등재

        한민족 시원과 형성이 역사유적 관광지로서의 가능성 탐색 연구

        이준태 ( Lee Jun-tae ),윤병국 ( Yoon Byeong-ku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4

        한민족의 시원지와 형성의 과정 그리고 그 유적지를 관광한다는 것이 자칫 배타적 민족주의를 지향하는 것처럼 인식될 수도 있으나 오히려 그 반대로 현재 한국의 다문화적 시대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즉 순혈주의적 민족주의 입장이 아닌 한민족 형성의 역사적 다양성을 관광을 통해 학습함으로써 보다 열린 민족 문화를 지향할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형질인류학적으로 70∼80%의 북방계 유전자와 20∼30% 남방계 유전자의 분포를 보이는 한국민의 유전자 분포를 역사적으로 해석해보면 원래의 한반도 거주 집단과 외래 특히 시베리아 및 몽고와 같은 북방지역으로부터 이주해온 집단이 서로 만나 국가를 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명공동체 이면서 문화공동체인 한민족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민족시원지로 추정되는 바이칼호수 지역과 부여 및 고구려의 건국과 관련이 있는 내몽고의 흥안령산맥 지역, 고조선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홍산문명 지역인 중국의 요서 지역 에 대한 역사유적 관광지로서 개발은 역사학계 뿐 만 아니라 관광분야에서도 아주 매력적인 관광지와 관광 상품이 될 수 있는 요소이다. It is obviously clear that Koreans might be regarded as people with extremely exclusive nationalism when they like to tour their historic sites of national origin. Yet, in contrast, Koreans` interests of visiting their historic sites of national origin help them understand one of the current social trend, so called, the multi-cultural aspects of the Korean society. In other words, touring and studying the Koreans` historic sites of national origin help Korean people themselves open their minds toward the open-ended nationalistic culture. In terms of its genetic history of Koreans, the genetic ancesters of Koreans are rooted from the hetrogenetic origin in which was composed of both the Northern Asian people (70 percent of Koreans` genetic heritages come from the peoples in the Syberia and Northern provinces of Mogolia) and Southern Asian people (30 percent). Therfore, in this article, the authors argue that developing Korean historical sites of natioanl origin, for instance, the ancient Korean historic sites of Chinese North-eastern area (Heung San historical sites) as touristic sites implies something meaningful policy orient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식민도시 역사유적의 관광자원 활용 방안 연구 -베트남 호치민의 도시경관을 중심으로-

        이준태 ( Lee Jun-tae ),윤병국 ( Yoon Byeong-ku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1858년부터 프랑스에 의해 식민지 역사를 겪었던 베트남 남부 도시 호치민 시의 식민도시 건설기의 역사유적과 경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초기 식민도시 건설과정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어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식민지 유적 중 19세기의 프랑스 건축 양식을 살린 건물들의 건설과정과 역사를 정리하였다. 오늘날 호치민 시의 랜드마크로서 평가되어지는 노트르담 성당, 사이공 중앙우체국, 컨티넨탈 호텔과 동코이 거리, 사이공 오페라 하우스, 호치민 시립미술관 그리고 호치민 동물원 등의 사례를 현지답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그런데 이들 건물들은 모두 베트남의 역사에서 볼 때 100년 가까운 기나긴 프랑스의 식민통치와 제2차 세계대전 전후하여 일본, 영국 그리고 중국으로 이어지는 강대국들과의 `고난과 항쟁의 역사`의 시작을 상징하는 건축물들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베트남은 이러한 고난의 역사의 상징물들을 잘 관리하여 현재에도 활용하면서 관광자원과 역사교육의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2016년 상반기 관광 통계에 따르면 동남아 국가 중에서 그동안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은 국가인 태국을 제치고 베트남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한국인의 베트남관광객이 증가한 이유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프랑스와 미국 등 외세 침략과 항쟁 역사에서 만들어진 독특한 문화유산이 어우러진 다양하고 독특한 관광자원 덕분일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호치민 시의 역사유적 관광은 단순한 볼거리 차원을 넘어 베트남과 베트남 사람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호치민도시 건설 스토리텔링 관광 코스와 베트남 전승 기념 관광코스 상품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Hochimin city`s colonial historic sites and landscape in which has been experienced as occupied city by French army. Based on the historical legacy of French colonial city, the authors focus on some buildings which have architect features of the French contruction style in 19th century by looking into their construction process and historical implications. For instance, the authors concentrate on some landmarks of Hochimin City such as Notre-Dame of Hochimin city, Central Post Office in Saigon, Continental Hotel, the DoCoi Street, Saigon Opera House, and Art Museum of Hochimin City. Especially, these buildings are symbols of Vietnamese resistance history struggling against internationally powerful states, China, Japan, and England since the World War II. In short, current government of Vietnam has successfully developed these historical buildings as some meaningful sites like as touristic places as well as educational sites. Vietnamese efforts of making their historical buildings as some historically meaningful as well as educationally useful places give the authors some policy making suggestions in which include historical story-telling tour programs toward the Korean Touristic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20세기 초 중국지식인의 "국민성(國民性)" 인식 -『중국인적성격(中國人的性格)』과 『중국인적정신(中國人的精神)』을 중심으로-

        이준태 ( Jun Tae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10 中國硏究 Vol.49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cademic inquiry of chinese intellectuals` different perception of `national charac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China was about to enter the first stage of nation-state building. For a meaningful inquiry, this study compared two academically important books: one book was written by Arther H. Smith(1845~1932), 『Chinese Characteristics』which described Chinese n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his life experience in China for 22 years, and the other written by Gu Hongming(1857~1928), 『The Spirit of the Chinese People』, which focused on Chinese cultural prid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Chinese enlightenment -intellectuals` comments on the two polemical book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perception of `national character` among three different intellectuals, foreign investigators, Chinese intellectuals with European experience, and Chinese intellectuals without such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there was obvious meaningful difference regarding to the concept between `national character` and `國民性-Guo min xing`.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national character` perceived by Chinese intellectuals seemed to have chronological aspect like historians` evaluation of a certain generation. For the first time, the concept of `national character` was used by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last period of Chin dynasty to provide a unique, but Chinese centered, theoretical tradition that would be helpful to transform China into a modern nation-state. In other words, a certain ethinic people`s national character could have a positive or negative tendency based on such peoples` own perception of what kind of nation-state they wanted to build. In this context, Chinese intellectuals looked out for diverse ideal types of nation-state and uniqueness of Chinese national character. Therefore, the discourse of `national character` as an academic concept seems not to be done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

        현대 중국인의 "애국주의"와 "민족주의" 인식에 대한 계량 분석적 고찰

        이준태 ( Jun Tae Lee ),김정현 ( Jung Hyoun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9 No.1

        1980년부터 시작된 중국의 개혁개방 결과에 따른 중국의 정치적 경제적 위상의 급부상은 전세계인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이러한 관심은 1990년 들면서 미국을 비롯한 서구 국가들로부터 제2의 黃禍論이라고 불리워지는 ``중국위협론`` 논쟁까지 야기시켜 현재에도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민족주의``와 ``애국주의``의 개념을 동일 시하고, 향후 국제사회에서 패권주의로 나아가기 위한 의식적 기반으로 바라보고 있는 서방 세계 국가들의 인식 패턴이 과연 ``현재의 중국 국민``들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민족주의/애국주의`` 개념과 같은 것으로 보아도 문제점이 없는지에 대해 담론적 논박 수준의 한계를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체계적인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통계자료 분석 결과, 중국에서는 서구적 인식을 근거로 한 애국주의와 민족주의의 구분은 부적합하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자료 분석에 의하면 중국인들 중 애국주의가 강한 사람과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 모두 경제발전보다는 정치발전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서구인이 인식하는 민족주의 개념은 중국인의 민족주의 성향과는 상이하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향후 서구적 시각으로 본 중국인의 민족주의 성향은 그 의미가 현재의 국제 정치적 역학 관계에서 다분히 왜곡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Since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had begun in 1980s, China now becomes one of great nations which have globally influential military and economic power. Due to the end of Cold War in 1990s, China has been sometimes recognized as an emerging super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Related to this issue, many Western countries included USA have suspicious eyes on what goals the Chinese people and government try to achieve in the 21th century. Some scholars argue that current Chinese government`s movement for driving the country with strong "nationalism/patriotism" is the evidence for "Great China" in international or regional politics. This study has tried to show that Chinese nationalism/patriotism was conceptualized based only on Western countries viewpoints-its exclusive feature and Chinese hegemonism-and such concepts (meanings) of nationalism/patriotism cannot be appropriate to express what really nationalism/patriotism mean to Chinese people. According to a survey data analysis (Asian Barometer 2008) result, this study sheds some light on that the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patriotism does not include, so called, "exclusiveness" and "imperialism based on nation`s pride" characte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at the studies about Chinese nationalism/patriotism need to restart from the its beginning-conceptualization of Chinese nationalism/patriotism reflecting Chinese unique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