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트랙션 공간으로서 초기영화기 상영공간과 영화경험 -독일영화관의 초기형태를 중심으로-

        이주봉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현대영화연구 Vol.15 No.3

        Directly after the public screening with the cinematograph of Lumière Brothers, i.e. a film camera with the function of a film projector, this new media invention had spreaded out widely and rapidly into mass society in late 19th century. Watching motion picture in the early cinema era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isure activities in industrialization society, because it could refresh people who had endured daily hard-working. People at that time accepted the motion picture as a curious spectacle and a technical attraction. The widespread public popularity of new media cinematograph attracted an attention of the showmen of fairground booth, amusement park, Varieté́ etc. who led the development of motion picture in the early cinema era. As recognizing this background, I try to explain the cinematic transformation in the early cinema era with focussing on the exhibition of motion pictures. I think that the birth and the development of movie theater had determined especially the characters of the motion picture as an attraction media in this cinematic period. With a new mechanical Invention, i.e. cinematograph as a film projector itself, being revealed in an auditorium, the movie theaters in late 19th century had emphasized on these cinematic characters namely a spectacle and an attrac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otion pictures of early cinema era were mainly screened at the fairground booth, the moving theater of amusement park or Variete under control of showmen. Varieté is one of the most importance institutions that had led the development of German early cinema(motion picture). In all these forms of theater most important things were a spectacle and an attraction, that means the exhibition of motion picture. But after the appearance of stationary movie theater, many changes got happened. The first stationary movie theater in Germany is ‘Ladenkino’ about 1905, which can be compare with a nickelodeon in America. This appearance of stationary theater eventually had led that the motion picture changed its characters with showing up feature-length narrative films.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characters of the cinema in the early cinema era, that is focussed on the birth and the development of movie theater in Germany. 뤼미에르의 시네마토그래프로 대변되는 영화는 19세기가 저무는 시점에 등장하여 당시 도시화된 대중사회에 빠르게 확산되며 큰 인기를 누린다. 독일에서도 초기영화기 영화는 산업화된 대도시 대중들의 여가생활의 중심에 자리하는데, 특히 일상에서 겪은 대중들의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기분전환 매체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당시 사람들은 영화를 새로이 등장한 신기한 기술의 전시형태로 받아들였는데, 특히 영화가 신기한 볼거리이자 어트랙션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대해 환호하였다. 당시 영화업자들 또한 대중들의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는 영화 프로그램과 상영공간을 제공하였다. 당시의 영화는 사진이 현실과 똑같이 움직인다는 신기함을 강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영사기계와 영사기사가 관람 공간에 함께 자리하는 등 영화상영공간의 구성 또한 영화가 당시 여타의 자동기계와 같은 전시물이자 어트랙션임을 부각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고는 초기영화기 독일의 주요 영화상영공간이었던 바리에테와 유랑극장에서의 영화의 인기를 19세기 발전한 흥행업과의 관계를 필두로, 당시의 영화프로그램 및 관객의 영화경험 등과 함께 살펴보고 있다. 특히 본고는 초기영화기 영화상영공간이 19세기 후반 흥행업의 연장으로서 자리매김하면서 영화의 인기를 담보할 수 있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영화산업화의 길을 갈 수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독일의 초기영화기 영화의 상영 및 관람 공간, 그리고 관객의 영화경험에 대한 이해는 (과거)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영화의 등장으로 급변하고 있는 영화에 대한 표상의 변화, 즉 미래의 영화가 갈 방향에 대한 이해에도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마더>에 나타난 영화의 성찰성: 클로즈업과 얼굴을 중심으로

        이주봉 문학과영상학회 2013 문학과영상 Vol.14 No.2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filmic reflexivity that the modernizing movements in European Cinema in the 1960s showed as a new trend of film theory. While classical film theory looked at film in terms of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like formalists) or paid attention to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like realists), mirror shot in modern cinema brings out filmic reflexivity. With regard to the reflexive and reflective potential of cinema, the close-up or the human face plays a significant role. It break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and destructs illusionism of the film by adopting a mirror image. These filmic images often interrupt the narrative flow. Therefore, close-up ultimately connects the theme of the split personality or the exchanged identity and the spectator’s own uncomfortable recognition. The uncertainty of subject or the topic of split subject related to an object or ‘the other’ is well known through many art works. This topic is also often revealed in film history. A typical example is the Doppelgänger motif that has fascinated cinema since its birth. Close-up and mirror shot can also be used as filmic images to reveal split subject and identity confusion. In Joon-Ho Bong’s Mother the Doppelgänger motif, the close-up and the mirror shot as self-reflexive images play a significant role. Mother is a work which once again reveals “why Joon-Ho Bong” so great. Not only does Mother construct an interesting story with elements of genre film like other Bong’s movies, but it deals with the topic of split subject and exchanged identity. In Mother, mother’s face is reflected on the divided window of the visiting room of the prison that her son Do-Joon is hold in custody. This mother’s face in close-up can be understood as mirror shot. In this moment, the image of mother gazing Do-Joon as an object changes her from an observer to an observed object. The mother’s face image in this mirror shot keeps the spectator at a distance and defamiliarizes it, thus creating the moment of reflexivity. In other words, the divided window of the visiting room as mirror “implies not just confronting oneself, but also turning this gaze outward, i.e. transforming it into the gaze of the Other” (Elsaesser and Hagener 9). This is to research the reflexive image in Mother with focus on the close-up and the human face, exploring how this reflexive image is related to the narrative.

      • KCI등재

        아담 맥케이의 <바이스>에 나타난 재매개 현상과 디지털 가상

        이주봉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3

        This article is a try to understand a tendency of the Cinema in digital virtual age. For this purpose, I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style in McKay’s VICE and its cinematic attitude. In this film, the narrative world is deconstructed with composing the plot structure and remediating the analog media image. And the possibility of reality being variable is revealed. When the main character’s so-called ‘objective’ reality and imagination such as fiction and fantasy are described, no difference of images composition in each style suggests that it cannot only form any stable reality in this deconstructed cinematic world but also allows the recipient to perceive the virtual as ‘the real’ just like a character’s reality. In the images of this cinematic world, there is no hierarchy between the image of the character’s reality and the image of the fiction or fantasy. Each image in these different worlds becomes ‘the real’ that is experienced equally by the audience. This cinematic attempt corresponds to the philosophical perception of reality in the digital virtual age. The image in the digital virtual age based on digital modularity is no longer the representation-image that imitates reality known as ‘objective’. It becomes the ‘technical image’ of Vilém Flusser that creates and project various alternative virtual worlds. In this sense, images in McKay’s VICE construct the variable multi-layered cinematic worlds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virtual era. 본고는 아담 맥케이 감독의 영화 <바이스>가 구성하는 형식 스타일의 특성과그 영화적 태도가 디지털 시대의 현실 인식에 상응한다는 사실을 살펴보고 있다. 영화의 플롯 구성과 다중미디어 이미지를 재매개하는 형상화 방식을 통해서 영화 내러티브 세계가 해체되고, 영화 현실은 가변적 특성을 전면화한다. 특히, 이질적인 다중미디어가 재매개되는 방식은 디지털 시대의 현실 인식과 상응한다는맥락에서 흥미롭다. 주인공의 소위 ‘객관적’ 영화현실과 허구나 상상과 같은 가상을 형상화하는 경우, 그 시각 스타일에서 어떠한 차이도 없는 구성은, 이 영화적세계에서 안정적인 현실을 구성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상이 현실과 똑같이 하나의 현상으로 우리 눈앞에 펼쳐질 수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영화가 구성하는 세계에서는 현실과 가상 사이에는 어떤 위계가 없으며, 이 두세계 모두 관객에게는 똑같이 경험되는 실재가 된다는 점이다. 디지털 모듈성에근거를 둔 디지털 시대의 이미지는 더 이상 소위 ‘객관적’이라고 알려진 현실을모사하는 재현 이미지가 아니며, 다양하고 새로운 가상을 구성하는 이미지가 된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이는 디지털 시대에 상응하는 영화적 경향이라 할 것이다. 본고는 맥케이 감독이 영화를 구성하는 이미지들과 유희하면서 구성하는 영화적 세계가 가변적인 다층 현실을 담고 있는 리좀형 세계를 구성하며 디지털 가상과 관계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 KCI등재

        디아스포라 공간으로서 군산과 그 영화적 재현: 장률의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를 중심으로

        이주봉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3 현대영화연구 Vol.19 No.1

        Many studies on the director Lu Zhang deal directly or indirectly with diaspora or cinematic space. This fact shows well the implications of these concepts in Lu Zhang’s cinematic world. Regarding ODE TO THE GOOSE, Lu Zhang also confessed that his interest in “space, especially where many traces of time remain,” led him to Gunsan. In Lu Zhang’s ODE TO THE GOOSE this paper examines how Gunsan, a city as a place of memory, becomes an open space and a space of hospitality for Diaspora. This cinematic space rejects a space that can be read by a specific ideology, and becomes a heterogeneous one. This spatial characteristic not only aims at an open space for everyone, but also becomes a space that welcomes the diaspora. This spatial characteristic also allows the people there to have the possibility of reflection to look at themselves ‘again’. Therefore, Lu Zhang’s cinematic spaces are an counter-space that allows the protagonist to divulge his mental diaspora on his own, an open space for the wandering diaspora, and a welcoming space.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s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how these spaces are possible and how they work, leaning on the concept of Flaneur and heterotopia, the concept of Michel Foucault. 장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직간접적으로 디아스포라나 영화적 공간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이들 개념이 장률의 영화적 세계에서 갖는 함의를 잘 보여준다.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와관련해서도 장률은 “공간, 특히 시간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는 곳”에 대한 관심이 자신을 군산으로 이끌었다고 고백한다. 본고에서는 장률의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에서 기억장소로서의도시 군산이 어떻게 디아스포라에게 열린 공간이자 환대의 공간으로 자리하는지 살펴보고 있다. 이 영화적 공간은 특정 이데올로기에 의해 독해가 가능한 공간을 거부하고, 그 불균질한공간(expace hétéfogéne)을 지향하는 이종적(heterogeneuous) 공간이 된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모든 사람들에게 열린 공간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디아스포라를 환대하는 공간으로 자리한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그곳에 자리한 사람들에게 자기 스스로를 ‘다시’ 바라볼 수 있는 성찰의 가능성 또한 가지도록 해준다. 그래서 장률의 영화적 공간들은 주인공으로 하여금 스스로자신의 정신적 이산을 누설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세상을 부유하는 디아스포라에게 열린 공간이자, 그들을 환대하는 반(反)공간이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공간적 특성에 주목하여, 이러한 공간이 어떻게 가능하고, 또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산책자인 만보객(漫步客, Flaneur)이란 개념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에 기대어 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

        <아메리칸 뷰티>(1999)에 나타난 다매체 재현전략

        이주봉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3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emediation in multiple-representation cinema in 1990s that consists of the multimedia images, for example, not only 35mm film but video, animation, computer image etc. Despite of the introduction of CGI-technology and daily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in 1990s, the cinema at that time is not the digital cinema yet. This period is the twilight years of celluloid film’s age and on the other hand the dawning of the digital cinema. But several films with multiple-representation style is connected with the cinematic specificity that is well known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technology era, i.e. a work for a new cinematic specificity in the way to the digital cinema. I am going to analyze American Beauty by Samuel Alexander Mendes in 1999, the visual style is unique due to the multiple-representation strategy, namely a mixed composition between 35mm film and camcorder image. The crude video images dominate the film from beginning to end and remind the audience of the medium itself, Therefore this visual style works first hypermediacy. But the immediate transparency occurs with the crude immediacy visual image. Namely, the recipient stands not against a image, but gets into a image and with the object on the screen. The crude immediate images paradoxically create ‘the sense of presence’ to the audience. The recipient feels immersive and these images turn into a spectacle phenomenon. In spite of and with rough shaking image by handheld shot, the logic of transparent immediacy works and a medium seems disappear: ‘the sense of presence’. Furthermore, this cinematic strategy in American Beauty shows a special cinematic tendency that offers a cinematic experience to the recipient, i.e. the sensitive perception with optical tactility. This study try to understand the cinematic development to the digital cinema, not the discontinuity between celluloid and digital cinema “in order to overcome the opposition between “old” and “new” media “.”(Th. Elsaesser) 본고는 디지털 기술의 대두로 CGI가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셀룰로이드 필름 시대였던 20세기 말 일단의 영화적 경향을 셀룰로이드 영화와 디지털영화 사이의 연속적 변화라는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 복수의 재현매체에 의한 이질적 이미지들이 혼합 구성된 다매체 재현방식 영화에 주목한다. 다매체 재현방식을 취한 영화는 복수의 재현매체 이미지를 사용하여 영화 세계를 구성하는데, 그 매체의 재매개 현상이 20세기 후반기 영화가 변화하는 여정을 잘 드러내 준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1999년에 나온 샘 멘더스 감독의 영화 <아메리칸 뷰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영화매체의 과도기적 변화 여정을 그루신과 볼터의 이론적 논의에 기대어 살펴본다. <아메리칸 뷰티>는 저해상도 화질의 캠코더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당대 매체적 변화에 상응하는 새로운 영화적 특정성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저화질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아메리칸 뷰티>의 많은 비디오 이미지들은 관객에게 직접적인 현전감을 부여하고 그 이미지를 스펙터클로 만들면서, 20세기의 시지각 중심의 영화 경험과는 차별화되는 영화 경험을 제공하기도 한다. 본고는 <아메리칸 뷰티>의 이러한 영화적 특성을 다매체 재현방식이라는 현상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 영화를 1990년대 셀룰로이드 영화가 당대 새로운 사회문화적 현실 및 매체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 그리고 디지털 시대로의 여정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 스스로를 재목적화하고 개조하고 있는 예시로 이해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