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환경시료은행 생태계 대표시료의 채취 및분석 표준운영절차에 대한 단계별 측정불확도 평가 연구

        이종천 ( Jongchun Lee ),이장호 ( Jangho Lee ),박종혁 ( Jong Hyouk Park ),이유진 ( Eugene Lee ),심규영 ( Kyuyoung Shim ),김태규 ( Taekyu Kim ),한아름 ( Areum Han ),김명진 ( Myung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6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set of environmental samples was taken in 2011 to represent various ecosystems which would help future generations lead back to the past environment. Those samples have been preserved cryogenically in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NESB)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ven though there is a strict regulation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hat rules over the whole sampling procedure to ensure each sample to represent the sampling area, it has not been put to the test for the validation. The question needs to be answered to clear any doubts on the representativeness and the quality of the samples. In order to address the question and ensure the sampling practice set in the SOP, many steps to the measurement of the sample, that is, from sampling in the field and the chemical analysis in the lab are broken down to evaluate the uncertainty at each level. Of the 8 species currently taken for the cryogenic preservation in the NESB, pine tree samples from two different sit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Duplicate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site according to the sampling protocol followed by the duplicate analyses which were carried out for each discrete sample. The uncertainties were evaluated by Robust ANOVA; two levels of uncertainty, one is the uncertainty from the sampling practice, and the other from the analytical process, were then compiled to give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n a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measur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the sampling practice not the analytical process that accounts for the most of the measurement uncertainty. Based on the top-down approach for the measurement uncertainty, the efficient way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was to increase the quantity of each discrete sample for the making of a composite sample, than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discrete samples across the site. Furthermore, the cost-effective approach to enhance the confidence level on the measurement can be expected from the efforts to lower the sampling uncertainty, not the analytical uncertainty. To test the representativeness of a composite sample of a sampling area, the variance within the site should be less than the difference from duplicate sampling. For that, a criterion, i.e. s2 geochem(across the site variance) 〈s2 samp(variance at the sampling location) was proposed. In light of the criterion, the two representative samples for the two study areas passed the requirement. In contrast, whenever the variance of among the sampling locations (i.e. across the site) is larger than the sampling variance, more sampling increments need to be added within the sampling area until the requirement for the representativeness is achieved.

      • KCI우수등재

        회계정보를 이용한 기업성장의 요인과 유형에 관한 실증적 분석

        이종천(Lee Jong Cheon) 한국경영학회 2003 經營學硏究 Vol.32 No.6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created enormous pressure for the restructuring of Korean firms, (especially the chaebols), and addressed the causes of the crisis, namely, the highly leveraged financial structure, growth-driven management, management by ownership. In such an environment, the adoption of successful restructuring strategies to enable strong firm growth depends on a clear analysis of firm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alysis of factors and patterns of firm growth using accounting information of firms in the U. S. 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of this analysis. First, the more capital intensive and rapidly growing industries, the more rapid the change in market competition. Second, as competition becomes fiercer and growth s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ability and growth weakens. Third, investment in production facilities and technology leads to a growth in capital intensive and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es. Interestingly however, the factors and patterns of profitability did not reflect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es. Fourth, a mismatch of pattern and strategy for firm growt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 firm discontinuation. Fifth, a strategy of diversification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firm growth in some industries.

      • KCI등재

        연봉제 도입이 직무긴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종천(Jong-Cheon Lee),한재원(Jae-Won Han),이용규(Young-Kyu Lee) 한국관리회계학회 2003 관리회계연구 Vol.3 No.1

        종업원에게 동기부여를 하고 기업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연봉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봉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보상과 성과에 관한 상반된 기존 연구결과들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보상계약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긴장-자극-성과 이론에 기초한 본 연구는 연봉제 도입-직무긴장-성과의 과정 중 연봉제와 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기존 연구와 달리 연봉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연봉제 도입과 직무긴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봉제의 도입이 종업원의 긴장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봉제 도입기업의 직무긴장이 연봉제 미도입기업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동기부여를 강화하는 연봉제 도입은 직무긴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변수인 예산강조, 예산참여, 직무불확실성과 위험선호도가 직무긴장에 미치는 영향은 연봉제를 도입한 기업에서는 유의하나 연봉제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연봉제와 같이 강한 경제적 동기부여가 결여되어 있는 경우 예산제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산제도가 직무긴장 또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향후의 연구에서는 기업의 보상계약이 통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종업원에게 동기부여를 하고 기업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연봉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봉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보상과 성과에 관한 상반된 기존 연구결과들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보상계약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긴장-자극-성과 이론에 기초한 본 연구는 연봉제 도입-직무긴장-성과의 과정 중 연봉제와 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기존 연구와 달리 연봉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연봉제 도입과 직무긴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봉제의 도입이 종업원의 긴장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봉제 도입기업의 직무긴장이 연봉제 미도입기업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동기부여를 강화하는 연봉제 도입은 직무긴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변수인 예산강조, 예산참여, 직무불확실성과 위험선호도가 직무긴장에 미치는 영향은 연봉제를 도입한 기업에서는 유의하나 연봉제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연봉제와 같이 강한 경제적 동기부여가 결여되어 있는 경우 예산제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산제도가 직무긴장 또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향후의 연구에서는 기업의 보상계약이 통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연봉제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에 비해 연봉제를 도입한 기업의 경우 위험중립적인 표본은 유의하게 적으나 위험을 선호하는 표본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봉제의 도입에 의해 업적평가와 관련된 위험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험중립형의 경우 위험에 대한 태도가 적극적으로 변화되어 위험선호형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개인의 특성인 위험선호도가 보상제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흥미로운 결과이다. 넷째, 연봉제 도입여부와 관계없이 직무불확실성과 예산강조는 독자적으로 직무긴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직무가 불확실하고 예산이 강조되는 경우 두 변수의 상호작용이 직무긴장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봉제도입과 직무긴장의 관계를 분석한 본 연구의 의의는 연봉제도입과 성과와의 관계에 이해를 제고하였고, 상반된 기존 연구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를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merit-pay incentive contract on job-related tension were empirically analyzed based on the pressure-arousal-performance framework and the expectancy theory. Main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doption of merit-pay incentive con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job-related tension. Second, the job-related tension was more increased by the adoption of merit-pay incentive contract as the budget was more emphasized, the budget participation was lower, and the job is more uncertain. Third, the adoption of merit-pay incentive contract made the attitude to risk of employee more risk-averse. Fourth, the main effect of the job uncertainty and the budget emphasis is not significant bu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m is significant.

      • KCI등재

        이연법인세회계의 정보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종천 ( Jong Cheon Lee ),오웅락 ( Oung Rak O ) 한국회계학회 2002 회계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이연법인세회계의 도입의 타당성 즉, 이연법인세회계가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제고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단순이익자본화모형과 Ohlson모형을 이용하여 주당순이익, 이연법인세차·대, 주당초과이익 및 주당장부가치와 주가간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단순이익자본화모형인 추가정보검증모형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연법인세를 반영한 주당순이익이 미반영한 주당순이익보다 주가에 대한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연법인세회계의 도입에 의해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제고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연법인세회계의 도입이 타당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둘째, 이연법인세차는 주가와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이연법인세대는 주가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이 결과는 투자자가 이연법인세차를 자산으로서 인식하고 이연법인세대는 부채로서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hlson모형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이연법인세회계의 도입 타당성을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였다. 이는 초과이익과 장부가치가 상호 보완하여 기업가치를 측정하는 Ohlson모형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Ohlson모형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이연법인세회계의 도입 타당성을 직접적으로 지지 We examine whethe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enhanced by the adoption of deferred taxes. Two model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issue: an earnings capitalization model regressing security prices on EPS(earnings per share), deferred tax liabilities and assets, and the Ohlson model regressing on book value of equity and residual earnings. We find that EPS including deferred taxes can explain the behavior of security prices better than EPS excluding deferred tax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clusion of deferred taxes can be justified, since EPS including deferred taxes can provide more information to investors in evaluating the value of the firms. We find that the coefficients on deferred tax liabilities and deferred tax assets are positive and negative, respectively, supporting that deferred tax liabilities and deferred tax assets are duly recognized as liabilities and assets by investors. Finally, we cannot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wo models depending on whether book value of equity and abnormal earnings are adjusted to deferred taxes or not. This result does not imply that the support of deferred taxes should be rejected, since we are unable to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is result came from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Ohlson model.

      • KCI등재

        국가환경시료은행 활엽 시료를 활용한 지역별 대기침적 오염물질 모니터링 활용성 검토

        이종천 ( Jongchun Lee ),이장호 ( Jangho Lee ),박종혁 ( Jong-hyouk Park ),이유진 ( Eugene Lee ),심규영 ( Kyuyoung Shim ),장희연 ( Heeyon Ja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6

        국가환경시료은행(NESB)에서는 환경오염물질의 생태계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료로서 8종의 생물시료를 정기적으로 채취하여 초저온(<-130 °C) 저장을 해 오고 있다. 이 중 2 종의 활엽수(느티나무 및 신갈나무 잎)가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과 같은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시료로서 활용되기 위해 채취되고 있다. 한 지역을 대표하기 위해 군락 내 여러 개체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개체별 차이 및 오염분포 특성에 따른 이질성이 구성 시료의 대표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따라서 분석을 통한 측정값을 활용한 연구의 신뢰도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료종은 엄격한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채취됨으로써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오염물질의 지역간, 연도별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5 지역의 고정구에서 채취된 신갈나무, 느티나무 잎 시료를 대상으로 지역 간 오염물질의 농도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주요원소 및 중금속, 그리고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인 측정값을 활용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신뢰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료채취단계에서 중복 시료를, 시료분석단계에서 중복분석을 수행하여 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시료채취 및 분석의 단계별 불확도를 분리하여 산출한 후 측정불확도로 통합한 결과 측정값의 지역 간 연도별 농도 비교에 통계적 신뢰도 수준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아울러 잎표면 대기침적물질 중 강우에 영향을 받는 중금속 및 PAHs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누적강우량과 오염물질의 축적도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ESB) has been collecting broad leave samples to monitor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five different designated sampling areas. In order to ensure the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of the results, all the procedures from selecting trees and pooling leaves to make the representative sample are defined in th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the SOP). The representative samples were subjected to the chemical analyses for some heavy mineral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The uncertainty levels involved in each step of the SOP, that is, the sampling and the chemical analysis, were derived using the Robust ANOVA, which enables the relative comparison among the different levels of pollutants concentrations with confidence.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varying degrees of precipitation on the pollutants concentration of the leaves was also examined. Overall, the biological difference estimated from the duplicate samples was found to exceed the variation across the site, implying even aerial deposition over site. Samples from Gwanak Mt. showed highest heavy metal concentrations than the other sites. Washing off effect of the pollutants adhering in the form of particles on the leaf surfac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 KCI등재

        기업특성에 따른 기업가치평가모형의 적합성 차이에 관한 연구: 코스닥 일반기업과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이종천 ( Jong Cheon Lee ),오웅락 ( Oung Rak O ) 한국회계학회 2004 회계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회계변수에 의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으로 제시된 Ohlson모형과 옵션모형을 기업특성이 상이한 코스닥 일반기업과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 적용함으로써 기업특성에 따라 기업가치평가모형의 적합성이 상이할 수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기업의 경우 Ohlson모형과 옵션모형 간 기업가치평가의 적합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새로운 수익모형으로의 전환가능성이 높은 벤처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부분선형옵션모형이 Ohlson모형보다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특성이 다른 일반기업과 벤처기업의 Ohlson모형 간 계수와 설명력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Ohlson모형에 의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기업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Ohlson모형에 의한 기업가치 관련연구에서 기업특성의 통제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기업특성에 따라 적합한 기업가치평가모형이 상이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기업가치평가에서 기업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본 연구의 의의는 기업가치 관련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전통적 가치평가모형보다 실물옵션모형이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 적합하다는 주장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고,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서 옵션모형은 선형이 아닌 비선형이라는 Burgstahler와 Dichev (1997)의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는 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explanatory power between the Ohlson model and the alternative equity valuation models, can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and non-venture firms. We expect that the option model can be more powerful in explaining the equity value than the Ohlson model in the case of venture firms which have more adaptation value than non-venture firms derived from the adaptation of existing resources to a superior alternative use. We compare the explanatory power among three valuation models: the Ohlson model, a linear option model and a non-linear option model. Which are respectively applied to 321 venture firms and 590 non-venture firms of KOSDAQ over the period 1999-2001 to confirm our expectation.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First, we find that both models have no difference in their ability to explain the equity value of firms in the case of non-venture firms that can hardly discover alternative uses of existing resources. Second, we also find that the non-linear option model can explain the equity value better than the Ohlson model in the case of venture firms since the adaptation value has a large effect on equity value. This evidence empirically supports the proposition that the real option model should explain the equity value of venture firm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DCF model.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linear option model and the Ohlson model in the case of non-venture firms. This implies that the option model is not linear. Third, our results show that Ohlson models for venture firms and non-venture firms differ in terms of the coefficients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a firm`s characteristics such as whether it is venture or non-venture should be considered when applying the Ohlson model to equity valuation. Fourth, we find that for the firms with negative earnings, price-earning coefficient is not significant and the price-book value coefficient of venture firms is greater than that of non-venture firms. Fifth, we find that the small non-venture firms are more favorably valued than the large non-venture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