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사선 치료계획 시 불균질 보정에 관한 고찰

        이제희,김보겸,박흥득,Lee, Je-Hee,Kim, Bo-Gyum,Park, Heung-Deuk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6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18 No.2

        Purpose: To study effectiveness of heterogeneity correction of internal-body inhomogeneities and patient positioning immobilizers in dose calculation, using images obtained from CT-Simulator. Materials and Methods: A water phantom($250{\times}250{\times}250mm^3$) was fabricated and, to simulate various inhomogeneity, 1) bone 2) metal 3) contrast media 4) immobilization devices(Head holder/pillow/Vac-lok) were inserted in it. And then, CT scans were peformed. The CT-images were input to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System(RTPS) and the MUs, to give 100 cGy at 10 cm depth with isocentric standard setup(Field Size=$10{\times}10cm^2$, SAD=100 cm), were calculated for various energies(4, 6, 10 MV X-ray). The calculated MUs based on various CT-images of inhomogene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Heterogeneity correction factors were compared for different materials. The correction factors were $2.7{\sim}5.3%$ for bone, $2.7{\sim}3.8%$ for metal materials, $0.9{\sim}2.3%$ for contrast media, $0.9{\sim}2.3%$ for Head-holder, $3.5{\sim}6.9%$ for Head holder+pillow, and $0.9{\sim}1.5%$ for Vac-lok.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the heterogeneity correction factor calculated from internal-body inhomogeneities have various values and have no consistency. and with increasing number of beam ports, the differences can be reduced to under 1%, so, it can be disregarded. On the other hand, heterogeneity correction from immobilizers must be regarded enough to minimize inaccuracy of dose calculation.

      • 만성 소화성 궤양에 합병된 위출구 폐색의 수술적 치료

        이제희,양시준,전영웅,박세혁,김종흥,박종민,Lee, Jei Hee,Yang, Shi Joon,Jeon, Young Woong,Park, Sei Hyeog,Kim, Jong Heung,Park, Jong Mi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Purpose: With the introduction of H. pylori eradication and proton pump inhibitor, the operative treatments for the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of peptic ulcer, such as perforation, bleeding and stricture, have decreased. Also owing to the development of non-operative treatment such as interventional endoscopic treatment, the surgical approach to the acute complications, like perforation and bleeding, has diminished. The non-operative treatments for the stricture and obstruction of chronic peptic ulcer in part related to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 have not been satisfactory.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for outlet obstruction with peptic ulcer. Materials of Methods: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2007, we reviewed 31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on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or peptic ulcer obstruction. We excluded the cases of adhesive obstructions that were caused by a former ulcer operation and also the cases of obstructions found during emergency operations for treating perforation and bleeding. We classified the surgical treatment group into the bypass operation group and the surgical resection group.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operations by the Visick score. The recurrences were confirmed only by the endoscopic observation of peptic ulcer.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bypass operation group was 6 (19.4%) and that of resection group was 25 (80.6%). The mean age was 57.5 (25~81) years. The number of male patients was 29 (93.5%) and the number of females was 2 (6.5%). The mean symptom duration was 29.6 months. There were 19 smokers (61.3%), 6 NSAID users (19.4%) and 7 H. pylori positive patients (22.6%). Two patients underwent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with no success. The locations of lesion were the stomach, the duodenum and both in 9, 20 and 2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operative complications in 13 cases (41.9%), recurrent ulcers in 2 cases (6.5%), and reoperations in 4 cases. The mean Visick score was 1.8 (1~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linicopathologic differences between the bypass operation group and the resection group. The two groups had 1 case each of recurrence. Although the bypass group had a greater complication rate (83.3%) than the resection group (32%), this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P=0.175). The mean Visick score was 3.0 in the bypass group and 1.6 in the resection group, so the resection group was better (P=0.001). Conclusion: For a case of chronic peptic ulcer with outlet obstruction, even though it has been reported that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worked well, surgery is still regarded as an important treatment. If you consider the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 difficulty of diagnosing malignant ulcers, surgical resection should be recommended more often than a bypass operation. 목적: 소화성 궤양의 급만성 합병증으로 대표되는 천공, 출혈, 협착의 수술적 치료에서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제균요법과 proton pump inhibitor의 도입, 중재적 내시경 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의 발달로 천공, 출혈 등의 급성기 합병증의 수술은 점차 감소되고 있다. 그러나 내과적 소화성 궤양의 협착, 폐색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로 수술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소화성 궤양으로 위출구 폐색을 동반한 환자들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국립의료원 외과에서 소화성 궤양 폐색으로 수술한 3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전의 궤양 수술로 인한 유착성 폐색 및 천공이나 출혈로 인한 응급수술시 발견된 폐색동반의 예는 제외하였다. 각 임상병리학적 결과를 수술방법에 따라 우회수술군과 절제수술군으로 분류하였고, 수술결과의 평가는 Visick score를 이용하였다. 수술 후 재발의 기준은 소화성 궤양의 임상증상이 나타나 내시경으로 확진된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결과: 우회수술군이 6명(19.4%), 절제수술군이 25명(80.6%)이었다. 평균 연령은 57.5세(25~81세)이었고, 남자 29명(93.5%), 여자 2명(6.5%)이었다. 평균 증상 지속기간 29.6개월이었고, 흡연자가 19명(61.3%), NSAID 복용자가 6명(19.4%), H. pylori 양성환자가 7명(22.6%) 있었다. 수술 전 내시경적 확장술은 2명에서 시도되었으며, 주병변의 위치는 위, 십이지장이 각각 9명, 20명, 양쪽이 2명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3명 (41.9%)에서, 궤양의 재발은 2명(6.5%)에서 있었고, 재수술이 4명(12.9%)에서 필요하였다. 평균 Visick score는 1.8 (1~4)이었다. 우회수술군과 절제수술군의 비교에서 두 군의 임상병리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에서 각각 1명이 재발되었고 합병증은 각각 5명(83.3%), 8명(32%)으로 우회수술군에서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75). 평균 Visick score는 각각 3.0점, 1.6점으로 절제수술군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01). 결론: 만성 소화성 궤양으로 배출구 폐색을 동반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내시경적 확장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술은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궤양 폐색의 수술적 치료시 악성 궤양과의 감별이 용이하지 않고 수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고려한다면 우회수술보다는 절제수술이 바람직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 건식 식각 공정을 위한 초고속 병렬 연산 시뮬레이터 개발

        이제희,권오섭,반용찬,원태영,Lee, Jae-Hee,Kwon, Oh-Seob,Ban, Yong-Chan,Won, Tae-Young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D Vol.d36 No.10

        This paper report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Monte Carlo numerical calculation for ion distributions in plasma dry etching chamber and of the surface evolution simulator using cell removal method for topographical evolution of the surface exposed to etching ion. The energy and angular distributions of ion across the plasma sheath were calculated by MC(Monte Carlo) algorithm. High performance MPP(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algorithm developed in this paper enables efficient parallel and distributed simulation with an efficiency of more than 95% and speedup of 16 with 16 processors. Parallelization of surface evolution simulator based on cell removal method reduces simulation time dramatically to 15 minutes and increases capability of simulation required enormous memory size of 600Mb. 건식 식각 공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챔버 내의 식각 이온 거동 메카니즘을 몬테카를로 수치해석 방식으로 구현하였고, 식각 이온의 거동에 의한 기판의 식각 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셀 방식의 표면 전진기를 개발하였다. 몬테카를로 수치 계산의 단점인 과다한 계산 시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CRAY T3E 병렬 컴퓨터와 여러대의 워크스테이션을 연결한 MPI 환경에서 몬테카를로 병렬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몬테카를로 병렬 계산 알고리즘은 95% 이상의 효율성을 보이며, 16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였을 때 16의 스피드업(Speedup) 값을 얻었다. 또한 셀 방식의 병렬 연산 표면 전진기를 이용하여 토포그래피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에서, 셀의 개수가 2갭만 개 일 때, 약 600Mb 이상의 메모리가 소요되므로 단일 워크스테이션 환경에서는 불가능한 계산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병렬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을 때 32개의 프로세서에서 15분의 계산시간이 소요되었다.

      • 하나의 모션 클립으로부터 모션 집단 학습

        이세영(Seyoung Lee),이선민(Sunmin Lee),이용우(Yongwoo Lee),이제희(Jehee Lee)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1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7

        우리는 단일 모션 클립에서 매개 변수화된 모션 집단을 학습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각 동작은 심층정책 네트워크로 표현되며, 연속적인 동작 공간을 탐색하여 사용자 입력 및 환경 상호 작용에 대응하여 물리 시뮬레이션 상에서 모션을 생성한다. 모션 매개 변수화와 동작 추적의 동시 학습은 학습된 모터 기술의 성능과 시각적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다. 우리는 매우 역동적인 동작들을 작업 목표, 신체 비율, 물리적 수치 및 환경 조건에 대해 매개 변수화하여서 알고리즘의 유연성을 입증했다.

      • KCI등재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토지법제의 과제

        이제희(Lee Je Hee) 한국부동산법학회 2016 不動産法學 Vol.20 No.2

        중소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높은 경제적 비중과 토지가 기업생산의 핵심 요소라는 점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토지 정책은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 기업이 생산한 제품의 시장 출시 전에는 시장의 경쟁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국가의 광범위한 중소기업 지원이 가능하며, 시장 출시 이후에는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펼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사회 전체의 효용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토지 정책은 기업의 생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적극적인 중소기업 지원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토지 정책은 토지의 효율적 활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중소기업의 공장설립에 대해서는 산업단지와 개별입지에서의 공장설립으로 나누어 각각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다. 산업단지에서의 공장설립을 지원하기 위해 입주기업에 취·등록세 지원 등의 세제지원이 이루어지지만 이는 중소기업, 대기업에 모두 적용되며 중소기업만을 위한 지원책은 미비하다. 개별입지에서의 공장 설립은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의 ‘창업사업계획승인제도’를 중심으로 개별적인·허가사항을 일괄 처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동 제도의 적용대상은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지 7년이 지나지 않은 중소기업으로 제한적이다. 일본에서는 공장설립에 대한 세제지원, 절차간소화 등의 지원책이 시행되지만 이는 중소기업만을 위한 제도가 아니다. 일본의 중소기업은 우리보다 높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중소기업 지원제도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 중소기업을 위한 토지 정책은 중소기업이 입주를 선호하고, 환경정책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에서의 중소기업 지원책을 확대하고, 수혜 중소기업을 확대할 수 있는 임대산업단지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단지에서의 공장 매각 제한을 완화하여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개별입지에서의 행정절차 간소화 대상을 기존 중소기업과 신생 중소기업을 차별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은 만큼 ‘창업사업계획승인제도’의 적용 대상을 모든 중소기업으로 확대해야 한다. 위의 개선책은 중소기업을 위한 토지 정책의 일부에 불과하다. 향후 저성장 고착과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해소의 큰 틀에서 중소기업 정책과 토지 정책의 역할 분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olici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those pertaining to land are closely correlated. This is because SM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land is a central factor in their production of goods. Governments can support SMEs in various ways to promote competition in the market before SMEs launch new goods. Following launch, the governments’ role is limited to protecting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Changes in government roles according to competition lead to increases in the efficiency of society. Land policies are very helpful in this regard, because they directly influence SMEs’ production. Land policies have to be formulated with the aim of enforc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and improving national welfare, rather than simply to benefit SMEs. Factory establishment act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e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and th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The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provides benefits such as taxation support to large enterprises and SMEs for building factories in industrial complexes. However, the benefits for SMEs are comparatively small. Th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focuses on simplifying procedure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factories by start-up companies on industrial sites. Land policies for SMEs have to emphasize industrial complexes meeting SMEs’ needs and contributing to effective environmental protection. Governments have to extend support to SMEs with respect to industrial complexes and developing SME-specific leases for industrial complexes. In addition, laws pertaining to the disposal of land and facilities on industrial complexes should be amended in order to relax restrictions therein. This would improve SMEs’ management stabil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tend subjects of application from start-up to all SMEs to simplify procedures of establishing factory on industrial site. The above solutions are just some of those that can be derived from land policies for SMEs. Land legislation and policies should b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llabor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significant changes in the commercial environment, such a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and regulations pertaining to metropolitan areas.

      • KCI우수등재

        미국 조달법상 자국산 우대제도의 법리

        이제희(Lee, Je-Hee)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9 No.2

        미국은 코로나 사태(COVID-19)에 따른 일자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조달분야에서 자국산 우대정책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조달분야의 대표적인 자국산 우대제도는 「Buy American Act」로 연방기관의 물품 공급 및 시설공사 계약에 적용된다. 동법의 자국산으로 인정받기 위해 제조품의 경우, 미국 내에서 생산되고, 로컬 콘텐츠 비율이 전체 원가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동법은 외국산 입찰에 대해 가격 페널티를 부과하여 자국산 물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인다. 「Trade Agreements Act」는 통상협정 체결국에 한해 「Buy American Act」 등 자국산 우대제도의 적용을 면제함으로써 자국산 우대제도와 통상협정간 충돌을 방지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자국산 우대제도의 강화가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제도적 방안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Buy American Act」의 자국산 판단 기준과 가격 페널티를 규정한 연방조달규정의 개정을 통해 자국산 요건을 강화하고, 외국산 물품에 대한 가격 페널티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자국산 물품 인정의 전제조건인 미국 내 ‘생산’ 여부가 사안별로 판단되는 만큼 연방조달규정에 ‘생산’을 신규 정의해 자국산 인정 요건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False Claims Act」의 엄격한 적용을 통해 공급자의 원산지 책임을 강화함으로써 공급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상협정의 개정을 통해 자국 내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 조달시장의 개방은 WTO GPA에서도 합의된 만큼 FTA 개정만으로 개방 범위를 축소할 수 없지만 원산지 규정의 강화를 통해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할 수 있다. USMCA와 같이 원산지 규정 강화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GVC)의 변화가 예상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통상협정 논의 동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Due to the economic slowdown caused by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many countries are facing a job crisis. As the best value is critical in that government procurement is based on the governmental budget, the U.S. is pushing to strengthen its domestic products in procurement to create jobs. However, procurement is also used to foste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environmental protection, etc. The most significant domestic preference law is the Buy American Act of 1933 (BAA). The BAA applies to contracts for the supply of products and the construction of federal agencies. To be considered domestic end products of the BAA, these products must undergo a substantial trans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test for qualifying as domestic end products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FAR). Manufactured products are manufactured in the US and constitute at least 50% of the total component cost by value which must come from the United States. Although the BAA does not prohibit the purchase of foreign end products, it provides a price preference for domestic end products. The United States has enacted the Trade Agreements Act (TAA), exempting signatory countries of several trade agreements, such as FTAs, from applying preferential treatment to domestic products. Thus, it resolves conflicts between discriminatory treatment toward foreign products and trade agreement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pushing to strengthen its own domestic preference through executive order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effectiveness of executive orders in that they should not violate laws. As the Biden administration is also expected to strengthen domestic preference under the slogan “Buy America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ich practical measures to implement. First, it is possible to consider amending the FAR, which provides the criteria for domestic end products and increases the rate of the price evaluation penalty. Second, as the criterion of “having been manufactured in the U.S.”, a prerequisite to be considered domestic products, is determined on a case-by-case basis, it could be strictly defined in the FAR. Third,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False Claims Act can lead to changes in the supply chain by strengthening the supplier’s responsibility of origin toward the supplier’s products. Finally, domestic preferences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e renegotiation or joining of trade agreements. The method of tightening the rules of origin, as specified in the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 could induce the relocation of overseas plants to the United States. As new trade agreements could lead to fundamental changes in the supply ch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scussion of trade agreements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위험 관리 관점에서 본 규제제도의 고찰

        이제희(Lee, Je-Hee)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1

        4차 산업혁명은 정보의 수집․결합 확대 및 분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광범위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면서 법률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시간이 주어졌지만 이제는 입법의 지연이 새로운 기술의 등장을 저해하거나 피해를 방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 관리가 중요하다. 규제분야의 위험 관리는 장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해 법적 이익을 보호하는 것으로 장래의 예측 가능성이 중요하다. 예측 가능성이 크다면 사전규제 방식의 위험 관리 방식이 적합하다. 예측 가능성이 낮은 경우, 사후규제 방식의 네거티브 규제가 효과적이지만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무규제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대응체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포지티브 규제에서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규제샌드박스 등 규제적용 유예제도를 활용해 규제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다. 규제유예 적용 과정에서 후발기업이 규제자의 선택 편향으로 인해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다면 경쟁 축소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규제적용 유예심사의 투명성이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의 특징 중 하나가 플랫폼 비즈니스이다.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소비자의 편익을 높인다. 그러나 플랫폼 기업이 특정 시장과 소비자로의 접근을 통제할 수 있어 플랫폼 기업의 행태가 공정경쟁을 저해해서는 안된다. 다만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의 도입에 있어 시장의 변화 가능성과 이들 기업의 혁신 노력도 고려되어야 한다. 글로벌 규범의 변화도 우리 사회에 다가오는 위험인 만큼 글로벌 규범과 상충되는 규범의 검토가 필요하다. 규제정책의 유연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크지만 규제변화=문제해결이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규제 외적인 문제를 규제정책의 문제로 바라본다면 규제의 변화가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문제의 본질을 파악해야 한다.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을 위해서는 사회 공감대 형성이 중요한 만큼 사회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공론화 논의 등도 병행되어야 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which affects the rapid pace of change and a wide range of fields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technologies—the role of law is important. While previously allotted time to respond to changes in society, now, delays in legislation could hampe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or lead to dama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is much greater than before. Positive regulations to risk management are appropriate if they are highly predictable. Where predictability is low, negative regulation is effective as a precondition for a response system to address the unregulated state of the new service. If the transition from positive regulation to negative regulation takes considerable time, the introduction of a regulatory sandbox can address regulatory rigidity.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gulatory suspension transparency of the review is required; if a latecomer is treated unfairly due to the regulator’s choice bias, it may lead to reduced competi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platform business. Various services that utilize the platform enhance consumer benefits. However, the behavior of the platform company should not threaten fair competition because it can control access to specific markets and consumers. The potential for market change and innovation effort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in introducing regulations on platform companies. Since changes in global regulations are also subject to risk management in our society, a review of regulations that conflicts with global ones is needed.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flexibility of regulatory policy, regulatory changes do not solve all problems. Accessing external regulatory issues as regulatory policy issues can cause larger problems and should instead identify the nature of th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