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Facemask Therapy for Class III Malocclusions in Patients with Different Vertical Skeletal Patterns

        이은하,박기태,Lee, Eunha,Park, Kita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facemask 치료 시 수직적 골격 양상에 따른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 구내 장치로서 bonded expander의 고정원을 평가하는 것이다. Facemask 치료를 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FMA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분류하였고(HV군; FMA > $27^{\circ}$, AV군; $23^{\circ}$ < FMA < $27^{\circ}$), 치료 전과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계측치를 비교하였다. 치료 후 두 군 모두 상악의 전방이동 및 하악의 후하방 회전이 관찰되었고,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 모두 수직적 골격 계측치가 증가하였고, FMA의 증가량은 HV군이 AV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관찰되었다. 고정원 소실로서 상악구치의 근심이동 및 상악 전치의 전방경사가 관찰되었고,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수직적 골격 양상에 따라 상악의 전방이동 및 고정원 소실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V군에서 수직적 성장 경향이 더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effects of facemask therapy and to compare the anchorage of a bonded expander in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different vertical skeletal patterns. Twenty subjec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were treated with a facemask and bonded expander. Based on the FMA,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patients each: a high vertical group (HV; mean FMA $33.56^{\circ}$) and an average vertical group (AV; mean FMA $24.88^{\circ}$).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and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both groups, forward movement of the maxilla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Vertical skeletal variables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the increase of FMA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HV group than the AV group. Mesial movement of maxillary molars and proclination of maxillary incisors which indicate anchorage loss of bonded expander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facemask therapy resulted in effective maxillary protraction in both HV and AV groups. However, the open bite tendency was increased more in the HV group.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리질리언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은하(Eunha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리질리언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학업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00명으로,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O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리질리언스는 평균 61.40±12.96점이며, 학업소진은 평균 41.49±7.50점이었고, 학업소진은 리질리언스(r=-.512, ρ <.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소진은 성별, 간호학 전공 만족도,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학 전공 만족도(β=.380, ρ <.001), 주관적 건강상태(β=.171, ρ =.040), 리질리언스(β=-.333, ρ <.001)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1.0%이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불만족하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며, 리질리언스가 낮은 경우 학업소진이 높은 것으로 유추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리질리언스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인지하고, 이를 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학업소진을 예방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silience on academic burnout of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00 students of nursing college located in C do, Korea through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16,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complied using the SPSS/WIN 24.0 statistic program with Pair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s were resilience 61.40(±12.96), academic burnout 41.49(±7.50)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r=-.512, ρ <.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cademic burnout of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β=.380, ρ <.001), health status(β=.171, ρ =.040), resilience(β=-.333, ρ <.001)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se factors, R<SUP>2</SUP> showed an explanation force of 41.0%. Resilience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academic burnou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resilience and to manage the academic burnout.

      • KCI등재

        정의적 특성과 국어 학업성취도의 종단 관계 연구

        이은하 ( Eunha Lee ),최은정 ( Eunjeong Choi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국어 수업 활동, 국어 교과와 관련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국어에 대한 내재적 동기 및 자기 효능감), 학생의 국어 학습 활동(국어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국어 공부 시간) 그리고 국어 학업성취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들 변인 간의 관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네 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잠재성장모형 기반 분석을 적용하여 각각의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학생의 평가 그리고 학생의 내재적 동기 및 자기 효능감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수업 활동에 대한 학생 평가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와 자기 효능감의 변화율 또한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내재적 동기의 초기치보다 변화율이 공부 시간과 수업 이해도 변화율에 공히 더욱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자기 효능감 초기치는 수업 이해도 초기치를 매개로 국어 학업성취도 초기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motivation toward Korean, academic self-efficacy in Korean, Korean teaching activities perceived by students, the time spent on studying Korean, the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lessons, and Korean academic achievement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We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ime 1 (2005) to Time 3 (2007) collected by KED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ince 2005.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slope of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decreased during the three year period; (2) as the rate of change in the perceived teaching activities increased,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lso rose; (3) the slope of change in than the initial state of intrinsic motivation had a greater impact on both rates of change in studying time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lessons; and (4) the effect of the initial stat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 at the first grade was positively mediated by the initial state of ability to understand lessons.

      • KCI등재

        觀我齋 趙榮祏의 繪畵 연구

        이은하(Lee Eunha) 한국미술사학회 2005 美術史學硏究 Vol.- No.245

        본고는 18세기 문인화가인 觀我齋 趙榮祐(1686-1761)의 회화관과 작품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조영석은 詩書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특히 인물화 방면에 있어서는 당대 최고로 평가받았다. 그의 현전작으로는 산수인물화와 화조화, 풍속화 등 다양한 화목의 작품들이 전해지는데, 이 중 유독 풍속화가 주목을 받아왔다. 삶의 여려 단상을 즉물사생한 조영석의 풍속화는 사의적 문인화를 추구한 당대 사대부들의 회화풍토에서는 소재나 기법상에서 가히 파격이라 할 만큼 독창적이기 때문이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조영석이 주장한 ‘卽物寫眞’론을 바탕으로 그의 풍속화와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동일한 맥락의 사실주의적 화풍으로 보는 경향이 있어 왔다. 그러나 정작 조영석은 진경산수화가 아닌 화보와 명대 화풍을 개성적으로 수용하여 재구성한 전통 문인화풍의 산수인물화를 추구하였다. 이는 실제 유람공간을 구현하는 일은 사대부의 도리가 아니라고 여긴 그의 유자적 가치관 발로의 결과로 사료된다. 그의 회회작품과 문집 『觀我齋稿』를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조영석은 회화의 가치를 우의적이고 효용적인 데 두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그의 회화관의 핵심으로 다루어지던 ‘즉물사진’ 은 작화에 임하는 작가의 창의적 태도 정도로 규정될 수 있으며, 실제로 그가 중점을 두었던 회회적 가치는 傳神을 통한 ‘活畵’에 있음을 고찰하였다. 그의 활화에 대한 욕구는 남에게 공개하지 않았던 《麝臍帖》에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이러한 예술의지와 천부적인 인물화의 재능, 사대부로서의 경세관 등이 맞물려 새로운 양식의 풍속화를 창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영석의 예술적 행보는 조선 후기 회화사의 대종으로 여겨지는 진경산수화의 유행에 동참하지 않았던 당대 사대부들의 회화경향 및 작가의 예술의지 발현에 따른 다양한 회화양식의 창출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고찰은 조선 후기 회화사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一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works and ideas of Jo Yeong-seok (1686-1761), a literary painter from the late Joseon period, Jo Yeong-seok was a versatile artist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was regarded in his time as particularly good at figure painting. His works in painting encompass diverse fields such as landscape, figure painting and genre painting, among which the last on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His genre paintings were based on a direct observation of various fragmentary aspects of life and represented its spirit. This attitude and method were exceptional in his days when a number of his contemporaries were devoted to imitating the Chinese painting - style. His genre paintings, based on the idea of 'Directly encountering an object and represent its true spirit" (卽物寫眞), were considered as having achieved realism corresponding to the True -view landscape (眞景山水畵, the real-view landscape paintings) by Jeong Seon. However, Jo Yeong-seok did not leave any landscape paintings in the True-view style, but pursued only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s of traditional literati painting style. This is considered to have resulted from the his confucian value that it is not acceptable for a Confucian gentleman to materialize the actual space of sightseeing. Examining closely his paintings and writings compiled in the Gwanajaego, one finds that Jo Yeong-seok believed that the value of painting lies in being friendly and useful. The idea that has been considered a key to his view of painting, 'Directly encountering an object and represent its hue spirit." may be defined as the basic attitude for a novice in painting practice. In fact. he attached much importance to "Lively painting" (or Enlivening painting, 活畵) through "Transmitting the spirit (傳神). His desire for “Lively painting” is dearly delineated in Sajecheob (麝臍帖), a work that he kept secret. It seems that he painted genre paintings in a new style by his own artistic as well as his natural talent for figure painting.

      • KCI등재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고혈압 전단계 노인의 건강행위이행 구조 모형

        이은하(Lee, eunha),박지원(Park, Jee Won) 기본간호학회 2012 기본간호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health behavior adherence in elderly people with prehypertension. The model wa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1 to July 15, 2010,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were 140 elders with prehypertension who lived in D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5.0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sults: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fit index was good with a χ2 score of 13.23 (p<0.05), GFI of 0.97, AGFI of 0.79 and RMR of 0.28 in the modified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significant main effects of both health provider"s autonomy support and autonomous motivations were found on the measure of health behavior adherence. These factors explained 72% of variance in the participants, health behavior adherence. Conclusion: The overall findings may provide useful assistance in developing effective motivation-enhanced programs for health behavior adherence.

      • KCI등재

        공공공사 직접구매 조달품목 재분류 및 성능기준 제안

        양진국,최용호,이은하,이상범,Yang, Jinkook,Choi, Yongho,Lee, Eunha,Lee, Sangbeom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3

        중소기업제품 구매를 확대하여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지원하는 취지에 의해 2006년 제정된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 지원에 관한 법률"은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최근까지 거듭되어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청장에 의해 지정된 설계품목에 대해 공공공사 직접구매를 의무화하였다. 그러나 120여개에 달하는 직접구매대상 품목으로 인해 품질확보 및 납기지연, 현장 자재 담당 근무자의 업무과중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법의 제정 취지는 최근 정부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이라는 여건에는 부합하지만 현장에서 위법을 기반으로 근무를 하는 담당자들의 입장과 자재 품질 확보, 적기 공급, 비용상승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공사용 자재 직접 구매제도"의 문제점 파악 및 검증을 통해 향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적용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The Law of purchasing policy for market suppor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was legislated to support small and medium industry by expanding purchase and revised consistently for the activation. And then the government made the public construction direct purchase compulsory about design items designated by president on small and medium business based on this law. However, secureing quality, tardiness and field material staff's heavy duty were arisen from approximately 120 direct market purchase items. The legislative intent of law is in accord with Win-Win growth between major company and small and medium business. However material staff who works in the field based on this law has difficulties with material securing quality, JIT(Just In Time), cost push. This study reclassified procurement items of "the direct market purchase system" reasonably and then suggested performance criteria for evaluation. The suggested result will contribute to vatalize the direct market purchase system.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