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고속도로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교량 부재별 수명분포 및 평균수명 산정 방안 연구

        이용준,이민재,Lee, Yongjun,Lee, Minjae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개념을 도입하여 최근 10년간의 한국도로공사 관할의 교량부재별의 유지보수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합한 모수적 수명 분포를 찾고 최대우도법으로 구해진 모수를 이용하여 교량 부재별 평균수명 및 신뢰도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량 부재별의 수명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수적 수명 분포형태를 찾기 위해 많이 활용되는 지수분포, 와이블분포, 대수정규분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수정규분포와 와이블분포가 해당 수명 데이터의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모수 추정을 위해서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적합성 검정을 위해서는 AD통계량을 이용하였다. 추정된 모수를 기반으로 교량 부재별 평균수명을 산정한 결과, 강교도장이 18.51년으로 가장 길었으며, 바닥판이 17.56년으로 그 다음 순이었다. 배수시설과 교량받침의 경우 평균수명이 각각 12.27년, 12.57년으로 가장 짧았다. 또한 교량의 평균수명일 때 추정된 신뢰도 지표는 현재 교량 부재별 유지보수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교량받침, 바닥판, 하부구조, 배수시설의 경우 다른 부재보다 빠른 시기에 유지보수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found a proper parametric life distribution based on maintenance history data of each bridge member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for the past 10 year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eliability and suggested a measure to calculate the mean life and reliability of each bridge member using the parameter obtained with the maximum-likelihood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weibull distribution and log normal distribution being utilized frequently in order to find the parametric life distribution type which well described the life data of each bridge member, it was found that the log normal distribution and weibull distribution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life data the best.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mean life of each bridge member based on the estimated parameter, the average life of the steel bridge coating was 18.51 years which was the longest, followed by the bridge deck as 17.56 years. The mean life of the drainage facility and the bridge bearing were 12.27 years and 12.57 years respectively, showing the shortest life.

      • KCI등재

        사회문화적 관점과 읽기 동기에 관한 시론

        이용준 ( Lee¸ Yongjun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비교적 최근까지 동기에 관한 상당수의 연구가 개인의 내적 심리적 특성이나 인지적·정서적 기능에 초점을 두어 온 결과, 연구자들은 학습 과정에서 사회적 맥락이나 환경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가진 측면이 있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반을 둔 읽기 동기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 아래, 본고는 사회문화적 관점의 읽기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동기 이론의 변천과 특징을 개관하고,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반을 둔 읽기 동기 연구가 왜 필요하고, 어떠한 연구 방법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사회문화적 관점의 동기가 읽기 교육이나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Most recent studies on motivation have focused on individuals’ inn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r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Consequently, researchers have tended to focus less on the impacts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the environment on literacy motivation and learning. In today’s education system,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to reading motivation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despite its necessity and significan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mphasize and discuss reading motivation through sociocultural lenses. Thus, this study outlined the tran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otivation theories. It also discussed why it is necessary to research reading motivation through a sociocultural perspective and highlighted which research methods deserve attention. Further, the study explored what these sociocultural motivation theories can mean for reading education and research.

      • KCI등재

        궤도차량 현수장치 고압용 시일의 피로마모 개선 연구

        이용준,김형현,김경로,구융서,Lee, Yongjun,Kim, Hyeonghyeon,Kim, Kyungro,Koo, Yungse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0 No.1

        In this paper, causes of wear on high pressure seals for suspension are analyzed, and the result of reproduction test and verification on improved design are described. First, by performing the observation of worn surfaces and its failure analysis, the primary cause of wear on the seals a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main failure mechanism of wear is a fatigue wear, and test criteria for failure reproduction are set up with consideration for frequency condition, surface roughness and pressure. Durability comparison test on the condition of low amplitude and high frequency is carried out. And, it is found that the durability of wear on seals by increasing hardness of cylinder and managing for surface roughness is enhanced.

      • 다중 RFID 기술 영역별 인식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

        이용준(Yongjun Lee),조수선(Susan Joe),장윤석(Yunseok Chang),정종진(Jongjin Jung),고훈(Hoon Ko),김지연(Jiyen Kim) 동서언론학회 2008 동서언론 Vol.11 No.-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핵심기술인 다중 RFID의 적용 영역별 인식의 차이와 프라이버시 우려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중 RFID는 아직 실용화되지 않은 기술이므로 잠재적 수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집단은 서울지역의 20대, 30대, 40대 남녀로 할당표본 방법을 통해 총 400명의 표본이 추출되었다. 다중 RFID 적용이 가능한 영역으로 총 11개의 영역이 문헌연구를 통해 목록화되었고 이들 영역별 통합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인증, 개인기록, 신분증 기능의 세가지 요인이 추출되었고 인증, 신분증, 개인기록 순으로 이용의향의 정도가 나타났다. 다중 RFID를 채택하는데 있어서 심리적 장애가 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우려가 이들 적용 영역별 이용의향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라이버시 우려는 인증, 신분증 이용의향과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개인기록 이용의향의 경우 미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ange of functions that might affect usage intention of multi-RFID as the important component of ubiquitous context and their relation of privacy concer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a survey conducted in Seoul area. A sample of 400 adults was drawn from the age group of 20, 30, and 40 by a stratified sampling process. 11 functions of multi-RFID were subjected into a factor analysis. As a result, 3 factors--certification, identification, personal record-- were emerged orderl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sage intention of these functions,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While cer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were moderately related to privacy concern, presonal record was slightly related to privacy concern.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동물 매개(Animal-assisted) 읽기 활동 연구 : ‘개에게 책 읽어주기(Reading to Dogs)’ 참여 사례 및 효과를 바탕으로

        이용준 ( Lee Yongjun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2024 독서연구 Vol.- No.71

        이 연구는 연구자들이 자문을 제공 및 참여하였던 모 방송사의 ‘개에게 책 읽어주기(Reading to Dogs, RTD)’ 관련 프로그램 사례를 소개 및 분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RTD는 동물을 치료, 교육 등에 활용하는 동물 매개 중재법의 하나로, 소리내어 읽기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동기, 태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하나의 유용한 활동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천의 한 초등학교 학생 7명을 대상으로 14주에 걸쳐 진행된 RTD 프로그램과 그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읽기 유창성과 읽기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보고된 바와 같이 RTD가 학생들의 읽기 전략이나 기능뿐 아니라, 특히 읽기 동기나 태도와 같은 정의적 측면의 고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 사례가 7명으로 적어서 일반화에 한계가 있는 만큼 향후 연구를 통하여 RTD의 효과를 확인하고, 현장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ses of “Reading to Dogs”(RTD) programs from one broadcaster, in which researchers consulted and participated, and to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RTD is a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that uses animals for treatment and education and is gaining popularity as a useful activity that can improve students’ reading ability, motivation, and attitude based on reading aloud. An analysis of the RTD program, which was conducted over 14 weeks for 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attitude. As report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this demonstrates that RTD positively affects students’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especially in affective aspects such as reading motivation and attitude. However,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cases in this study, generalization is limited.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RTD and to develop a field-ready plan.

      • KCI등재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이용준 ( Lee Yongj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7 No.-

        학문 문식성 관점이 국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국내에서도 조금씩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정리 및 논의하고, 이를 위해서는 논의 및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가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학문 문식성 연구 및 교육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다지고 향후 연구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학문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을 학문, 교사, 교육과정, 학생 차원에서 논의할 수 있다고 보고, 구체적으로 학문 간의 특성 차이, 학문 특정적 문식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과정에서의 학문 특수적 문식성, 학문에 대한 학생의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이러한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문 문식성의 적용을 위한 과제는 이론·관점과 실제·적용 차원으로 나누어 그 측면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론·관점 차원에서는 학문의 정의, 텍스트와 리터러시의 개념 범위에 대한 논의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실제·적용 차원에서는 문식성 층위와 지도, 과제 방식과 형태, 협력의 형태와 시기, 초등교사 및 국어교사 역할, 교사교육 교육과정과 국어교사 교육자, 국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 및 연구가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 및 고찰을 바탕으로 학문 문식성의 의미, 특성, 효과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의 역할과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가 보다 축적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discussed the need for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n, this paper dealt with several issues related to applying the disciplinary literacy approach to educational contexts. The need for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was discussed in four dimensions: disciplines, teachers, curriculum, and students. This was discussed specifically in the aspects of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among disciplines, teachers’ recognition, the aims and contents of curriculum, and students’ in-depth access to disciplines. The issues of the application of disciplinary literacy instruction were dealt with in two dimensions: theoretical perspective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erms of the theoretic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tudy definition of discipline, and scopes of the concepts of text and literacy. Regard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literacy layers and instruction, task types and formats, time and type of collaboration, ro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er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educators, and identity of the subjec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 자기소개서 분석을 통한 지원자의 두뇌 우성 분류

        이용준(Yongjun Lee),권주원(Juwon Kwon),김중원(Jungwon Kim),마지우(Jiou Ma),이인혁(Inhyeok Lee),김동규(Dongkyu Kim),강태원(Taewon K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본 논문에서는 로지스틱 회귀 분류기를 이용한 지원자의 두뇌 우성 분류에 관해 연구한다. 헤르만 사분면 (Herrmann Quadrants)에 따라 자기소개서를 사분면 각각의 특성에 맞춰 구분한 뒤, 각 자기소개서가 포함하는 특정 단어의 빈도와 비율을 계산하여 분류기를 학습시킨다. 학습된 분류기를 이용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한 지원자의 성향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본인들이 원하는 성향을 지닌 지원자를 쉽게 찾음으로써, 채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judgement of applicant’s disposition using a Logistic Regression. We classify cover let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Herrmann Quadrants’, then, we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specific words each of which contains, and train the classifier with this. We can judgement of applicant"s disposition using this classifier. And through this result, the enterprise can find applicant easily who have better disposition that they wants. And finally, this suggests a way to reduce hiring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