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추공 온도자료를 이용한 고기후 연구에 대한 개관

        이영민,김형찬,송윤호,Lee, Youngmin,Kim, Hyoung-Chan,Song, Yoonh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1

        19세기말부터 진행된 지구온난화를 규정하기 위해서는 기상관측목적의 지표대기온도(Surface air temperature; SAT) 측정이 시작된 19세기말 이전의 온도 자료가 필요하다. 다행히 과거의 지표온도(Ground surface temperature; GST)가 지중으로 전파되어 기록된 시추공 온도자료로 일반적으로 과거 약 1,000년 전까지의 기온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추공 온도자료로부터 복원된 과거의 기온변화의 정보는 19세기말부터 시작된 지구온난화를 규정하고 또한 그 이전에 있었던 소빙하기(Little Ice Age)와 중세온난기(Medieval Warm Period) 같은 기후변화를 알아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o properly interpret and define climatic warming trends of the last $100\~150$ years.; climatic changes over the past several centuries must be constrained. High resolution surface air temperatures (SATs) to reconstruct global temperature trends extend back only to the late of 19th century. Fortunately, on long time scale and over large areas, ground surface temperatures (GSTs) track SATs. GST changes penetrate into the subsurface and are recorded as transient temperature perturbation. Therefore, borehole temperatures can be used to recover climate change over the last millennium in an area; paleoclimate change inferred from borehole temperatures can be used to interpret global warming over the last century, little ice age, and medieval warm period.

      • KCI등재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와 이용자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이영민(Youngmin Lee),송정아(Jung-a S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고, 수도권 실버타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최근에는 가족과의 교류가 용이하며, 의료시설과 접근성이 좋은 도심이나 도시 근교 지역을 선호하는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수도권에 실버타운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주로 서울의 북쪽과 경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한 경기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실버타운을 선택할 때 시설의 위치와 접근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버타운에서 노인들은 가사 노동에서 해방되어 의미 있는 일을 하면서 여생을 보낼 수 있고, 사회적 계층이 유사한 사람들과 원만하게 교류하며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80세 이상의 이용자들은 실버타운을 집으로 인식하고 뿌리내림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에 60~70대의 비교적 젊은 노인들은 실버타운에 입소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제한되는 것에 불편을 느끼고 다른 주거 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lver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nvestigates how the residents recognize their silver tow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Nowadays there are many elders who prefer to live in urban downtown or suburb areas which can be connected with the places of their pre-retirement lives. Therefore, the silver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been increasing. The facilities are mainly located in northern part of Seoul and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near the network of major express roads. Location and accessibility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factors when the elderly contemplate moving into silver town. Silver town residents are likely to have meaningful times and positive identities by communicating with friends there. The elders aged 80 years or older living in silver towns think the silver towns as their home while ‘young old’ people complain their limited rights of decision making and they consider additional move.

      • KCI등재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의 상호보완성 연구: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영민 ( Youngmin Lee ),이연주 ( Yeon-joo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2

        빠르게 변해가고 있는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소수 이주자 집단은 물론이고 주류 선주민 집단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화를 가장 적극적으로 담아내고 미래의 사회통합을 향한 대안을 모색해야 할 사회과교육이 기존의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목표,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등에 있어서 이주민과 그 자녀들을 향한, 그리고 그들을 위한 교육에 주력해 왔음을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보완책으로서 유럽사회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상호문화교육의 이론적 특성들을 소개하고, 중등 사회과교육에의 적용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다문화·상호문화교육 내용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다문화·상호문화교육 내용의 재구성방향을 탐색하였다. 상호문화교육은,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주체가 소수자(이주민) 집단과 다수자(선주민)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이분법적 경계긋기를 걷어내고, `우리 모두`를 위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결국 차이성에 대해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와 경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보편성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관계를 확장시켜 나가는 교육인 것이다. 특히 사회과 지리교육 안에서 상호문화주의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는 물론이고 상호문화교육과 관련된 교과교육학적 논의에 대한 소개는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이 연구를 통해 향후 다문화교육으로부터 더욱 확장된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폭넓게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burgeoning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sks the mainstream native Korean people as well as the immigrant families to change their consciousness and attitude toward the harmonious Korean society. Despite this situatio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has only included the aim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mainly target the assimilation of immigrant families into the mainstream society. Assuming that there is a limit to directly applying the American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ways to improve our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we learned that the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ism was high. While they actively accepted and applied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their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was low. This proves that our education system is caught in the fixed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find out whether intercultural education can make up for the weaknes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be applied to the social studies subject, and also hope to help define th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 for future textbook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introduces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method distinguishable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minds the readership of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 KCI등재

        로스앤젤레스 한인타운의 지방노동시장 특성과 지역정체성 탐색 - 한인 불법체류노동자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영민(Youngmi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문화 역사 지리 Vol.19 No.3

          로스앤젤레스 한인타운은 최근 미국의 다문화주의와 한국의 초국적주의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아 세분화된 집단정체성이 꽃을 피우면서 새로운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정체성을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닌 임종의 과정이라 간주하여, 한인타운 한인이주자들의 혼성적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들이 어떻게 생산, 경합, 협상되는지 살펴보고 있다. 그러한 사회적 분절화와 분절된 정체성은 부유한 초국적 투자자들, 소규모 사업체 소유주들, 1.5/2세대의 한국계 미국인들, 하위 이주 노동자들을 통해서 확인된다. 그러한 정체성의 분절화는 또한 라티노와 무슬림 노동자들 같은 한인타운의 비한인 노동자에게서도 관찰된다. 혼성적 정체성이 초국적주의 이념을 실천하는 위로부터의 이주자들에게만 나타나는 배타적 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 연구에서는 상이한 혼성적 정체성들이 다양한 계층의 집단에서 생산되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서류미비 노동자와 같은 하위 계층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자신들의 담화적 정체성을 어떻게 담론적으로 구성해 내는가를 주의깊게 살펴보았다.   The recent proliferation of collective identities in Koreatown has been affected by the interplay of American multiculturalism and Korean transnationalism. In this paper, considering identity not as a fixed position but a process itself, I interrogate the term hybrid identity and explores how different hybrid identities are produced, contested, and negotiated. Such social fragmentation and fragmented identities include various groups such as wealthy transnational investors, small-business owners mainly composed of first generation Korean Americans, 1.5 and 2nd generations of Korean Americans, migrant workers, and so on. Also such identity fragmentation is expanding to embrace increasing non-Korean blood laborers in Koreatown such as Latinos and various kinds of Muslim ethnic groups. Suggesting hybrid identity is not a exclusive possession of transnational migrants, I investigate how different hybrid identities are produced among these groups.

      • KCI등재

        Multiculturalism and Socio-Spatial Segregation of Honolulu in the 1920s

        Youngmin Lee(이영민)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5

        20세기 초반 하와이와 호놀룰루의 민족집단 관계는 백인이 수적으로 소수집단을 구성하는 예외적인 상황이기에 인종차별주의 관념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하지만 실제로 과거는 물론이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집단 관계에 인종, 민족 이슈들이 큰 영향을 미쳤음은 분명하다. 이 연구는 20세기 초반 호놀룰루 유색 이민집단들의 이주와 정착 과정 내내 백인지상주의 관념이 미국 본토에서와 마찬가지로 큰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고 있다. 직업의 차별화와 계층화, 그리고 거주지의 공간적 분화가 미국 본토의 도시에서와 같이 호놀룰루에서도 인종, 민족집단 간에 분명하게 이루어졌었다. 유색인종집단의 직업에 따른 사회적 분리 현상과 거주의 공간적 집중화 현상은 비백인집단의“로우컬”과 백인집단의“하올리”라고 하는 이원화된 대립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한 변형된 정체성은 비백인들로 구성된 다민족적 근린지구 내에 착근된 민족집단들의 상호 협상과정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창출된 결과물인 것이다. It has been widely believed that the ethnic relations in Honolulu and Hawai’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ere little associated with racist ideology because the white race was minority in terms of the racial composition. In reality, however, the racial and ethnic issue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forming the past and present relations among ethnic groups. This study shows that the white-supremacy ideology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minority groups in Honolulu throughout the immigration and settling-down process, as much as in the mainland U.S. Clear occupational stratification and residential segregation among the ethnic groups in Honolulu represented almost the same situation as in mainland cities. The social segregation and spatial propinquity of their residential neighborhoods facilitated the construction of dichotomized identity: “Local” versus “Haole”. Such transformed identities were a product of on-going inter-ethnic negotiation process embedded in the non-white multi-ethnic neighborhoo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