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성 정보 전달 방법 및 소비자 태도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광고 효과 분석

        이연경,김지연,권오란,황인경,Lee, Yeonkyung,Kim, Ji Yeon,Kwon, Oran,Hwang, In-Kyeo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중심적인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전달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미지, 원료 및 기능성에 대한 설명, 기능성을 설명하는 도표, 특허 정보, 권위자의 설명 등 다양한 전달 방법들이 소비자의 광고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이 이미 가지고 있었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들이 광고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미 수행된 정성조사(Focus group interview)에서는 실제 사용되던 건강기능식품 광고 50여건을 소비자에게 제시하고, 기능성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광고 인식에 미치는 방법들을 찾아내었다. 이렇게 찾은 방법들에 대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이를 바탕으로 6가지의 광고안들을 개발하여 정량 조사를 수행하였다. 6가지 광고안은 각각 정인지 이미지+원료에 대한 설명+기능성을 설명하는 도표, 정인지 이미지+원료에 대한 설명, 정인지 이미지, 오인지 이미지, 오인지 이미지+특허 정보, 오인지 이미지+권위자의 설명을 반영하여 제작되었다. 정량 조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 30~60대 총 300명이었으며, 대인면접법으로 한 사람당 4가지 광고안을 평가하도록 하여 광고안 당 200개의 평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광고에 대한 평가는 광고 위계 효과 모형에서 제시되는 인지-감정-행동 세 가지 요소가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광고가 시선을 끄는가', '광고가 얼마나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하는가', '제품 기능에 대한 정보가 충분한가', '광고의 메시지에 공감이 가는가', '광고를 통해 제품의 효능/효과를 얼마나 신뢰하는가', '광고를 본 후 구입하고 싶은 생각이 드는가'의 6가지 항목을 질문하였다. 또한 광고에 대한 평가와 함께 소비자들이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태도를 '건강하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식품을 꼭 섭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건강기능식품의 효능/효과에 대해 신뢰한다',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하기 전에 많은 정보를 수집한 후 구입한다', '평소 건강기능식품 광고들을 관심있게 본다', '건강기능식품 광고에서 전달하는 효능/효과에 대해 신뢰한다' 이렇게 5가지 문항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로서 '광고관심도'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섭취필수도', '효과신뢰도', '구입 전 정보수집도' 및 '광고내용신뢰도'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로서는 모든 항목에 대하여 40대와 50대 연령층이 30대와 비교하여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시된 6가지 광고에 대하여 광고 효과를 분산분석한 결과, 단순히 이미지만을 제시한 광고안들에 비하여 원료와 기능성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제시된 광고안들의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즉, 원료 및 기능성에 대한 설명, 그래프 형태의 시험 결과 제시, 특허, 권위자의 설명은 인지, 정서, 행동 모든 측면에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오인지 이미지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여 이에 따른 광고 평가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수들과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러한 경향은 성별, 연령과 서로 상호작용을 가지지 않았으며, 성별과 연령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icient and customized tools for delivering the benefit of health functional foods (HFFs). Delivery tools which could influence the impact of advertising were images, explanations of ingredients, diagrams of health benefit, patents, and comments from authority. Six advertisements were developed using these tools: "A": 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s + scientific diagram of efficacy; "B": 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s; "C": relevant image; "D": irrelevant image; "E": ir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 + patent; "F": ir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 + comments from authority. To analyze the consumer perceptions on HFFs and advertisement effects, 300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mprising of the following questions: 5 questions of attitudes (necessity of HFFs, trust in HFFs, gathering information, watching advertisements and trust in advertisement claims) and 6 questions on the 6 developed advertisements (attention, understanding, sufficiency of information, sympathy, trust, and purchase). Scoring was done as per the 5 Likert scale. There was a higher proportion of females and the elderly, as compared to males and youngsters. The overall consumer attitudes were positive. Explanation of ingredients, scientific diagram of health benefit, patents and expert comments were helpful factors in increasing the advertisement evaluation by consumer, but the images were not. Advertisement evaluation of consumer did not differ with gender and age. However,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ome of the consumer attitudes (necessity of HFFs, trust in HFFs, gathering information and trust in advertisements claim) and advertisement evaluations (attention, understanding, sympathy and purchase). Our results indicate that for consumers utilizing the HFFs, advertisements with concrete tools such as diagrams, patent, and expert comments are more helpful. However, for consumers who do not have interest in HFFs, the scientific information was irrelevant. We believe that to maximize the effect of health information in advertisements, consumers should be segmented, and customized tools for each segment needs to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 외 사진첩에 재현된 일본인 거류지의 도시공간의 성격과 그 특징

        이연경 ( Yeonkyu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Background and Purpose) Pictures taken by foreigners since the opening of ports in Korea are good sources to show the urban space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and of Japanese settl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an analysis of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卷), a photograph album which was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to analyze how Japanese settlement has functioned in open port/open market cities. (Method)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卷) is a collection of photograph albums which were taken in eight open ports and open market cities in Korea in the late 1900s: Seoul, Incheon, Pyeongyang, Gunsan, Masan, Pusan, Mokpo and Jinnampo. This album includes more than 300 images, and most of them are photographs focused on Japanese settlement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of open port/open market cities. For the analysis of urban space in Japanese settl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pictures were categorized into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and the category of architecture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usage of the facility: public, educational, medical, residential, commercial and recreational. (Results) As a starting point, this study tries to find basic information about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 卷), including its author, its date and its purpose. It is assumed that this book was produced around 1907 by a Japanese photographer with the support of Japanese settlers, and it was made as an introduction of Japanese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represented in the pictures were then analyzed in three aspects: 1. Cityscape and streetscape, 2. Architecture, and 3. Urba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cases of open market cities such as Seoul and Pyeongyang, and the cases of open port cities including Pusan, Incheon and Gunsan, are different, with each city having its own characteristics. In its architectural aspect, the style of buildings is diverse: Western, Japanese and eclectic. Most of them are wooden structures with a second floor. (Conclusions) The urban space described in the pictures of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卷) is a mixed and hybridized one, and it is a result of the complex changes of Korean modern c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due to modernization and colonization and westernization and Japanization. With this study, it is also available to depict the original form of urban space and architecture in the open port and open market cities.

      • KCI등재

        한국의 산업유산 관련 제도와 현황 ― 문화재청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사업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연경(Yeonkyung Lee)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29

        탈산업화 이후 폐산업시설은 산업유산이라는 이름으로 도시재생 및 관광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초반 등록문화재 제도의 도입과 선유도 공원의 개장 이후 산업유산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한국의 산업유산 개념은 광공업 및 제조시설 및 인프라를 중심으로 하는 협의의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역사자원의 보존과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유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문화재청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유산 관련 제도와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산업유산을 둘러싼 한국의 산업유산 제도와 관련 사업,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20세기 한국의 주요 제조업 중 하나였던 주조장이었으며, 현재도 그 성격을 비교적 이어가고 있는 진천 덕산양조장과 해동문화예술촌을 대상으로 문화재청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유산 활용 사례를 비교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산업유산 관련 제도 및 활용 현황이 보여주는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After de-industrialization, unused industrial facilities are regarded as positive resources for urban regeneration and tourism. However, in Korea, the concept of industrial heritage was introduced only during the early 21<SUP>st</SUP> century, with the launch of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in 2001 and the successful renewal of Seonyudo Ecological Park (formerly the Seonyu Water Purification Plant). In Korea, the definition of the industrial heritage has embraced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s, and it is valued for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al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licy and system of CH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MC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hich are primarily address industrial heritage among the government departments, Additionally, with the comparison of two former breweries: Jincheon Deoksan Brewery and Haedong Art and Culture Platform, which were two of the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in the 20<SUP>th</SUP> century and maintain their own characteristics, reusing process and principles of industrial heritage of CHA and MCST were analyzed. Finally, this study derives the implications of industrial heritage-related systems and utilization status.

      • KCI등재

        근대도시주거로서 충정아파트의 특징 및 가치

        이연경(Lee, Yeonkyung),박진희(Park, Jinhee),남용협(Nam, Yonghyup) 도시사학회 2018 도시연구 Vol.- No.20

        충정로3가의 충정아파트는 건축 당시에는 소유주 도요타(豐田種松)의 이름을 딴 도요타(豊田)아파트로 불렸던 일제강점기 공동주택으로, 1937년에 신축된 철근콘크리트조 4층의 건물이다. 이 아파트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들 중 하나로, 80여년의 시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도시주거로서 그 기능을 하고 있으나, 건립 당시의 사료 부족으로 인하여 충정아파트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은 상황이다.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아파트가 얼마 남지 않은 지금의 상황에서, 역사적인 도시주거 건축물로서 충정아파트가 가지는 특징과 가치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충정아파트에 관련된 사료들을 분석함으로써 충정아파트의 특징을 파악함과 동시에, 20세기의 격변하는 도시적 변화 속에서 주거건축물로 작동한 충정아파트의 가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시간적으로는 충정아파트 건립 당시 뿐 아니라 건립 전·후의 도시적 상황을 폭넓게 다루었으며, 공간적으로는 충정아파트가 위치한 250번지 일대부터 충정로3가까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충정로3가의 지역적 특징과 도시화과정, 1937년 충정아파트가 신축될 당시의 도시적·건축적 상황, 건립이후 도시 변화와 충정아파트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근대도시주거로서 충정아파트의 특징과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정아파트는 도시변화 과정에서 생성된 도시적 산물(産物)이다. 충정아파트는 근대도시주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던 상황에서 등장하였으며, 그 형태는 도시적 맥락, 즉 필지 및 주변 건물의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시적 결과물이다. 둘째, 충정아파트는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역사적 장소성을 가지고 있다. 일제강점기-미군정시기-6.25전쟁-전후복구의 복합적인 과정을 거치는 동안 충정아파트는 주요한 장소로 등장하였으며, 시기에 따라 각기 다른 장소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충정아파트는 1930년대 건설된 다른 공동주택과는 차별되는 근대도시주거로서의 아파트라는 특징을 가진다. 넷째, 충정아파트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철근콘크리트 아파트이자 1960~70년대 등장한 비정형의 중정형 아파트의 특징과 연계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The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located at Chungjeong 3<SUP>rd</SUP> Street, is an urban housing that was built in 1937 by Toyota(豊田種松). This four floor story building was called the Toyota Apartment, at first. It was one of the most oldest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To date, it is still being used as urban housing. However,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has not been clearly understood until no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ngjeong apartment with analysis of historic materials. The study also aims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this building as a modern urban housing related with the urban changes.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s of Chungjeongro, 3<SUP>rd</SUP> Street, as well as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in the whole 20<SUP>th</SUP> century. It focuses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rbanization process of the Chungjeongro 3<SUP>rd</SUP> Street,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ing process of the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Chungjeong apartment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the Chungjeong apartment building is a result of the modern urbanization process. It was built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of modern urban housing in the 1930s. Its irregular shape was due to its urban context. Secondly, the Chungjeong apartment has a historical place-ness. It has been a significant place for urban housing, headquarters for military command and hote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S military government, Korean War and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Thirdly, the Chungjeong apartment has functioned as the modern apartment hous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housing types in the 1930s. Finally, the apartment building is the oldest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 building. It is thus meaningful in that it is related with urban housings of 1960-70s, which have irregular shapes and courtyards.

      • AHCISCOPUSKCI등재
      • 합성 집적 영상과 산란 매질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영상 화질 개선

        이연경(Yeonkyung Lee),유훈(Hoon Yoo) 대한전기학회 2014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14 No.10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enhancement method to remove noises in scattering medium using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cattering medium and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High-resolution images are obtained by using a pickup system with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We analyz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cattering medium for enhancement of the high-resolution image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we conduct an experiment with turbid water. Optical and computational experimen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image quality. In addition, the method provides 3D location information object in turbid water.

      • KCI등재후보

        근대적 도시가로환경의 형성

        이연경(Yeonkyung Lee) 도시사학회 2014 도시연구 Vol.11 No.-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 동안 종로가 근대도시가로로 변모하는 과정은 조선정부와 대한제국의 자주적 근대화 노력으로 시작하여 1910년 이후 일제 식민지하에서의 식민근대 도시화 과정의 일환으로 그 물리적 틀이 구축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종로를 포함한 서울의 근대 도시가로에 나타난 교통, 상업, 건축의 변화는 종로의 도시가로환경이 형성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그 변화는 1925년을 기점으로 전,후 시기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렇게 구축된 종로의 도시가로환경은 각각 도로, 가로시설물, 가로변 건축물의 세 가지 요소로 구분되어 분석될 수 있었는데, 도로가 관의 도시계획이나 교통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부분이었다면 가로시설물의 설치는 도시 기반시설이 설치됨에 따라, 또한 도시 상업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었다. 가로변 건축물의 경우에는 건축에 관한 법령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하였지만, 건축기술의 발전과 상업의 발전에 따라 점점 고층화,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종로의 도시가로환경의 변화는 결국 시스템화되는 도시가로환경 체계의 구축과 도시가로공간의 상업적 변용이라는 특징으로 압축되어 설명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식민지화된 서울의 한국인 중심가로로서 종로가 가지고 있었던 독특성 역시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로의 근대도시가로환경의 형성은 당시 서울의 도로들이 근대도시 가로화되면서 가지고 있었던 보편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인의 중심 가로로서 가지고 있었던 특수성 역시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1896 to 1939, Jongno Street, one of the main streets of Seoul, was rapidly modernized. First, r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can be analyzed chronically. The turning point in modernization of Jongno streetscape came in 1925 when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street were executed and height regulation was set. In this paper, the whole process of modernization from 1896 to 1939 is divided into two phases: (1) 1896-1925: independent modernization by Koreans before 1910 and stagnant period due to Japanese colonization after 1910. (2) 1925-1939: establishment of a basis of modern street, and growth of modern streetscape and modern culture. Modernized urban streetscape of Jongno can be analyzed in three aspects: evolution of transportation into urban street system, development of street environment as an urban street surroundings and growth of buildings in the street as urban artifacts. Consequently,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Jongno Street was driven by physical and social changes under peculiar condition of Korea at that time. Transformation of street environments and changes in everyday life are common phenomena in modern cities; however, the modernity found in the modernization of Jongno had an accepted and modified form driven by Koreans with Japanese and Western influences. Japanese colonization and introduction of machin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were the main factors to influence modernization of Jongno Stre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