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Z-force 터치 제스처 정의 및 사용자 선호 유형

        유훈식(주저자) ( Hoon Sik Yoo ),정소연(공저자) ( So Yon Jeong ),김기덕(공저자) ( Ki Duk Kim ),주다영(교신저자)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Z-force는 터치 기반 디바이스에서 X축과 Y축을 넘어 압력을 인식하는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이다. Z-force와 관련된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고 그 중에서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총 29가지의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였다.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29가지 입력 방식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수행하여 ``strong touch``와 ``strong longpress``가 가장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활용 가능성이 낮은 입력 방식도 함께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개발 관점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Z-force를 활용을 위한 터치 제스처 유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Z-force refers to input interaction method that recognizes beyond X and Y-axis on the touch screen device. Z-force-related research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on the rise. In this paper, we conduct the research on Z-force touch gesture to provide more emotional and natural experience of input intera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useful touch gestures that can utilize Z-force interaction. We propose a total of 29 touch gestures that bases on eight touch types and steps of pressure that has been defined in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paper, ``strong touch`` and ``strong long press`` are the most convenient form of interaction among 29 defined gestures. This research is significance because it defines useful Z-force touch gestures from the user’s perspective.

      • KCI등재

        논문 : 스마트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

        유훈식 ( Hoon Sik Yoo ),주다영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1

        통신 기술의 발달,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확산으로 자동차는 단순한 기계장치에서 종합편의 기능을 가진 제2의 생활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써의 역할을 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탑승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스마트카 기반의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스마트카의 사용자 경험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카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기능(function), 상호작용(interaction), 표면(surface)으로 정의하였으며, UX/UI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각 요소 별로 8개의 대표 기술, 14개의 대표 기능, 8개의 유리창의 위치를 정의하였다. 이 후 100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정의된 스마트카 사용자 경험 요소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은 차량에 주요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서 안전, 주행, 감성의 순으로, 조작 방식에 있어서는 음성인식, 터치, 제스처, 물리적 버튼, 아이트레킹의 순으로,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해서는 운전석을 중심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는 2개의 기능 외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남성과 여성에 대한 가이드가 공통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ans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the car is changing from a simple mechanical device to second living space which has comprehensive convenience function and is evolved into the platformwhich is playing as an interface for this role. As the interface area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is being expanded, the research importance about smart car based user experience is rising. This study has a research objective to propose the guidelines regarding the smart car user experience element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smart car user experience elements were defined as function, interaction, and surface and through the discussions of UX/UI experts, 8 representative techniques, 14 representative techniques, and 8 locations of the glass windows were specified for each element. Following, the smart car users’ priorities of the experience elements, which were defined through targeting 100 drivers, were analyzed in the form of questionnaire surve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users’ priorities in applying the main techniques were in the order of safety, distance, and sensibility. The priorities of the production method were in the order of voice recognition, touch, gesture, physical button, and eye tracking. Furthermore, regarding the glass window locations, users prioritized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to the back.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alysis on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two functions. Therefore this showed that the guidelines of male and female can be commonly applied. Through user requirement analysis about individual elements,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s about the requirement in each element to be applied to commercialized product with priority.

      • 유기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젤리 인터랙션 디자인

        유훈식(Hoon-sik Yoo),주다영(Da-young Ju)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최근 새로운 입력 방식과 출력 방식의 가치를 발굴하는 Organic User Interface(OUI)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OUI 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기기를 구성하는 재질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젤리와 같이 부드럽고 탄력적인 소재를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했을 때 활용가능한 조작 방식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정성적인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을 기반으로 elastic handheld device 로 활용 가능한 23 가지 제스처를 정의하였으며, 20 대, 30 대 그룹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터뷰 수행을 통하여 elastic handheld device 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하여 선호하는 입력 방식, 선호하지 않는 입력 방식, 사이즈, 강도, 재질 등과 관련한 이슈에 대한 의견들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재질을 통한 인터랙션이 가지는 사용자 경험의 가치를 발굴했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를 둔다. Recently,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executed about Organic User Interface (OUI) to identify the values regarding new input and output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OUI, the material which composes the device is one of the highly important elements. This study has a research objective to define the applicable operation method when applying soft and elastic materials like jelly to hand-handled smart devices and analyze related qualitative user requirements.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23 gestures were defined which could be applied as elastic handheld devic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20’s and 30’s group. Through the interviews, opinions about various issues regarding preferred and not-preferred input methods which are related with elastic handheld device users’ experiences and related issues with size, strength and materials could be analyzed. This study has the biggest meaning to identify the user experience value of the interaction through new material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서비스 혁신을 위한 감각 중심의 디자인 접근법

        유훈식 ( Hoon Sik Yoo ),반영환 ( Young Hwan Pan ),주다영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6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아지면서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의료 서비스, 교육 서비스, 관광 서비스, 공공 서비스 등을 혁신한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서비스 혁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 관점의 연구들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을 위해서 감각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실제적인 디자인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들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고객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활용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기는 하지만 이와 관련된 개념이 정립되지 못하였고 실제적인 디자인 수행 방법 또한 구체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서비스 혁신을 위한 감각 중심의 디자인 접근법은 감각 중심으로 서비스를 혁신하는 새로운 관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실제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체계화된 방법론을 함께 제안한다. 연구에서 제안된 감각 경험 조사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고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받아서 실용화를 위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As the expectation on the service innovation through design is increasing, cases which have innovated the service targeting the medical service, educational service, tourism service and public service through service design is emerging. This study has a purpose of proposing methodologies for conducting actual design studies by newly spotlighting the potential value have by the sense in order to innovate the service through design. Although there has been a recent appearance of cases which have strengthened the competitiveness of service utilizing the elements that can stimulate the senses of the customer, but the concept related to this was not established and also the actual design implementation method was not materialized. The sensors-centered design approach for service innovation establishes the concept on the new perspectives that innovate the service centered on senses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a systematic methodology that enables the actual implementation. The sensors-centered design approach becomes materialized through investigation methodology on the sensual experience felt by the customer through the service and through the idea workshop methodology centered on senses that can derive the service concept centered on new senses.

      • KCI등재

        감각 중심의 컨셉 도출을 위한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

        유훈식 ( Hoon Sik Yoo ),반영환 ( Young Hwan Pan ),주다영 ( Da Young Ju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4

        산업의 중심이 제품에서 서비스로 이동하면서 보다 경쟁력을 갖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고객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활용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디자인 관점의 방법론과 관련된 연구는 찾기 쉽지 않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을 위해서 감각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감각 중심의 제품·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워크숍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기존의 아이디어 워크숍과 감각 중심의 제품·서비스 혁신사례 및 감각의 가치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에 감각의 관점을 정립한 방법론을 체계화 하였다. 정립한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서 수행된 사례연구를 통해서 워크숍 방법론에서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안된 감각 중심의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고,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감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법을 제안한 것에 가장 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접근을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을 제안하고 검증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Corporations continue to make a lot of efforts to provide more competitive services as the focus of industry is migrating from products to services. This study aims to shed new light on the potential values of the sense for service innovation through design and propose the workshop methodology for deriving sense-based product and service concept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 cases based on the conventional idea workshop and sense and also the value of sense. Moreover, it systematized the methodology tha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sense to the conventional idea workshop methodology. To verify the established methodology, this study extracted the elements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workshop methodology through the previous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validity as to the sense-based idea workshop methodology and reflect the opinions as to the improvement dire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is regarded meaningful for proposing the approach of a new perspective as to the sense. Also, this study is deemed meaningful for proposing and verifying the specific idea workshop methodology for the approach hereof.

      • KCI등재

        주기적으로 배치된 렌즈 배열 픽업에서의 요소 영상 크기와 3차원 물체 위치와의 해석과 컴퓨터 집적 영상 복원 화질 개선 방법

        유훈,Yoo, H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논문에서는 주기적으로 배치된 렌즈 배열을 이용한 광학 픽업과 평면기반 컴퓨터 집적 영상 복원 (CIIR) 기술에서 요소 영상 크기와 3차원 물체의 복원 깊이 위치에 따른 복원 성능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주기적으로 배치된 렌즈 배열에서는 3차원 물체를 픽업할 때 주기성으로 인한 희박 표본화가 발생함이 보고된다. 또한 희박 표본화가 발생하는 3차원 물체의 위치는 요소 영상의 크기와 관계식을 제시한다. 희박 표본화를 회피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론의 평가를 위해서 컴퓨터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는 이론을 잘 뒷받침함을 보였다. This paper describes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l image size and object locations in the computational integral imaging reconstruction and in the pickup using a periodically-distributed lenslet array. A sparse sampling effect arises from a periodically-distributed lenslet array in the pickup of 3D o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l image size and object location is also reported. Based on the analysis, a method to eliminate the sparse sampling is propos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al results are carried out. It turns out that the theory works.

      • KCI등재

        영상 압축을 위한 이진 순방향 분류 기반 엔트로피 부호기

        유훈,정제창,Yoo, Hoon,Jeong, Je-Chang 한국통신학회 200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5 No.4

        Entropy coders as a noiseless compression method are widely used as end-point compression for images so there have been many contributions to increase of entropy coder performance and to reduction of entropy coder complexity. In this paper, we propose some entropy coders based on binary forward classification (BFC). BFC requires overhead of classification but there is no change between the amount of input information and that of classified output information, which we prove this property in this paper. And using the proved property, we propose entropy coders which are Golomb-Rice coder after BFC (BFC+GR) and arithmetic coder with BFC(BFC+A). The proposed entropy decoders do not have further complexity Son BFC. Simulation results also show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 entropy coders which have similar complexity to proposed coders. 엔트로피 부호화기는 무손실 압축 방법으로써 영상 압축 및 기타 압축 분야에서 최종단 압축 방법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고 엔트로피 부호화기의 성능 향상과 복잡도를 낮추려는 많은 노력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순방향 분류(Binary Forward Classification)에 의한 엔트로피 부호화기를 제안한다. BFC는 매 심벌마다 분류를 위한 추가 정보를 부가하게 되지만 분류 전 정보량과 분류 후의 전체 정보량은 변화가 없다는 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 특성을 증명하고 BFC를 응용한 압축 방법인 BFC와 Golomb-Rice 부호기를 결합형태 (BFG+GR)와 산술 부호기와 결합형태(BFG+A) 등을 제시한다. 설계된 엔트로피 부호기는 BFG를 응용하여 복호기의 복잡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성능 분석결과 유사한 복잡도를 갖는 엔트로피 부호기와 비교하여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 KCI등재

        신호 종속적인 웨이블릿 변환과 무 손실 영상 압축

        유훈,정제창,Yoo, Hoon,Jeong, Je-Chang 한국통신학회 200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6 No.10

        영상 압축 분야에서 많은 정수 웨이블릿 변환들이 손실 압축 성능, 무 손실 압축 성능, 그리고 복잡성을 기준으로 비교되었다. 응용분야에 따라서 상대적인 조건에 의한 최적인 웨이블릿 변환을 선택함에 따라서 여러 웨이블릿 변환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변환들이 존재함이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웨이블릿 필터들을 리프팅 기법을 응용해서 통합한다. 이들 우수한 몇 개의 변환들은 간단한 파라미터로 표현이 가능하고 이들 파라미터들은 주어진 입력 영상에 종속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파라이터를 구현하는 이론적인 결과와 실험결과를 제공한다. 제안된 방법이 S+P[2] 방법보다 대다수 경우에서 우수함을 실험결과로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오염된 퇴적물로부터 해양저서 단각류 Leptocheirus plumulosus의 은(Ag)축적에서 흡수경로의 상대적 기여도 평가

        유훈,이인태,이병권,Yoo, Hoon,Lee, In-Tae,Lee, Byeong-Gweon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2

        해양퇴적물 오염평가에 널리 쓰이는 단각류 Leptocheirus plumulosus를 이용하여 오염된 퇴적물에서 Ag을 축적하는데 있어서 각 매질(퇴적물, 공극수, 먹이)의 상대적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퇴적물 중 중금속의 생물 이용도와 독성을 조절하는 인자로 잘 알려진 황화물(AVS)이 공극수 중 용존 Ag 농도와 생물내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안 퇴적물을 임의로 4개의 농도구배(0.1${\sim}$3.3 ${\mu}$mol Ag/g)로 오염시킨 후, AVS농도를 40 또는 <0.5 ${\mu}$mol/g로 조절하여 실험생물을 35일 동안 노출시켰다. 실험생물이 배양되는 동안 Ag으로 오염된 것과 오염되지 않은 $TetraMin^{(R)}$을 보조 먹이로 공급하여 생물 체내 Ag축적 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L. plumulosus의 체내 Ag농도는 퇴적물 내 Ag의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증가하였다($r^{2}$=0.87, p<0.001). 퇴적물 중 AVS의 함량은 공극수 중 용존 Ag의 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로 확인되었으나, AVS 농도는 L. plumulosus의 Ag축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Ag으로 오염된 먹이가 제공된 L. plumulosus는 오염되지 않은 먹이가 제공된 L. plumulosus보다 최고 1.8배 정도 높게 Ag을 체내에 축적하였다. 즉, Ag으로 오염된 퇴적물에서 L. plumulosus의 Ag축적은 공극수나 해수 중의 용존 Ag의 흡수보다는 퇴적물이나 먹이의 섭식을 통한 흡수가 주요 노출경로라는것을 시사한다. A amphipod, Leptocheirus plumulosus was exposed to Ag contaminated sediments to evaluat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uptake routes (sediment, porewater, supplementary food) for Ag bioaccumulation in sediment-dwelling marine invertebrates. Additionally, influence of AVS (acid-volatile sulfide) on the partitioning of Ag to porewater and on the Ag bioavailability was determined to evaluate the utility of AVS criteria for the management of metal contaminated sediment. The experimental sediments were spiked with 4 levels of Ag (0.1-3.3 ${\mu}$mol Ag/g) and AVS concentrations were manipulated to 40 or <0.5 ${\mu}$mol/g, then equilibrated for >2 months to allow pore water/particulate distributions similar to nature. A L. plumulosus was incubated in the contaminated sediments with overlying water for 35d. During the exposure, the amphipods was fed with supplementary food ($TetraMin^{(R)}$) with or without Ag contamination. Following exposure, tissue Ag in L. plumulosus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weak acid extractable Ag in sediments ($r^{2}$=0.87, p<0.001). The ratio of AVS to Ag-SEM (Ag extracted simulaneouls with AVS) had a strong influence on porewater Ag concentration,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However, Ag bioaccumulation in L. plumulosus was not influenced by AVS concentrations. The amphipods fed Ag contaminated food took up ${\sim}$ 1.8 X Ag accumulated by the amphipods fed uncontaminated supplementary diet.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benthic invertebrates exposed to metal contaminated sediments would accumulate metals largely via ingestion of contaminated sediments and food, with minor contribution from dissolved sources of porewater and overlying w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