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lementation of an open platform for 3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WebGL

        이아현,장인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ETRI Journal Vol.41 No.3

        VWorld is run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South Korea and provide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erial images,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3D structural models. We propose herein an open platform for 3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WebGL using spatial information from VWorld. WebGL is a web‐based graphics libra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atible with various web browsers. Our open platform is also compatible with various web browsers. Accordingly, it is easily accessible via the VWorld site and uses the three‐dimensional (3D) map program.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proposed platform configuration, and the requests, management, and visualization approaches for VWorld spatial information data. Our aim is to establish an approach that will provide a stable rendering speed even on a low‐end personal computer without a graphics processing unit based on a quadtree structure. We expect that users will be able to visualize 3D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VWorld open platform, and that the proposed platform will become the basis for various application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초등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통합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이아현 한국통합교육학회 2020 통합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elementary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both South Korea and the U.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in South Korea. The total of 20 universities, 10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10 universities in the U.S. were included. The results showed that (a) both countries provide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mostly in 4-year universities, but the curriculum between the universities in the U.S. and South Ko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 the universities in the U.S. required average 4.7 more credits in special education (16% of the total) in compared to South Korea (2% of the total). Additionally, almost half of the states in the U.S. required general education teacher to complete practicum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there was no such standards in South Korea. Given the results, providing additional courses in special education (e.g., practice-based courses such as methodology, instructional practice, and collaboration), improving standards for practicums to inclu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tting a board for reviewing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초등교사양성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10개 교육대학과 미국 10개 대학, 총 20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의 초등교사양성은 모두 일반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필수교과목, 학점, 교사자격시험 등에 대한 관리가 상이하였으며, 한국과 비교해서 미국은 대학별로 교육과정 편제에 큰 차이가 있었다. 둘째, 미국 대학에서는 한국 대학보다 평균 4.7학점 더 많은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을 필수로 편제하고 있었으며, 전체 대비 특수교육 교과 비중은 16%로 한국 2%보다 현저히 높았다. 또한, 미국의 절반가량의 주에서는 일반교사의 자격 요건으로 특수교육대상자를 포함한 실습 이수를 명시하였으나 한국은 관련 기준이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실제 기반 특수교육 교과목의 추가적 편성(구체적인 과목과 연계한 특수교육 방법, 다양한 학습자를 포함하는 교수법, 특수교사와의 협력이나 개별화 교육계획 수립) 및 실습 대상자 기준의 확대, 교사 교육과정 검토 및 심의기구 설치 등을 제안 및 논의하였다.

      • 프로젝터 기반의 증강현실 연구 소개

        이아현,이주행 (사)한국CDE학회 2014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8

        프로젝터 기반의 증강현실 (Spatial AR SAR)은 실세계 표면에 가상의 정보,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직접 표현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증강현실기법과 차별성을 갖는다. 본 발표에서는 ETRI에서 진행해왔던 프로젝터 기반의 증강현실 연구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소개한다. 먼저, 프로젝터-카메라 쌍과 응용의 구성울 위한 좌표계 변환 및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프로젝터-카메라쌍을 고정한 상태에서 2차원 마커를 인식하여 곡선을 디자인하는 예에서는 SAR의 효용성을 보인다. 멀티스레드 추적 방법에서는 프로젝터에 의한 빛의 가림이 있는 상태에서 2차원 사진을 추적하는 예를 보인다. 데이터 기반 기구학 제어 방법에서는 사용자 제작 로봇(UCR)과 결합한 SAR의 제어 문제를 해결하는 예를 보인다.

      • KCI등재

        歷史敎科書를 通해 본 日本軍 '慰安婦' 問題 : 韓·日 中等學校 歷史敎科書 敍述을 中心으로 韓·日中等學校歷史敎科書分析

        李雅賢 한일민족문제학회 2002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 No.-

        日本軍'慰安婦'は、日帝による人力收奪の一つとして見なされる。占領地區で日帝は、軍人らの張姦を防止し、性問題を解決するということで、本土だけでをく、植民地·占領地域から、わかい女性たちを動員した。國家が主體になって、政策として企刻、體系的に女性の性的搾取を施行したことと、日本車の大多數が關聯された規模の尨大さということで、この問題は世界でその類例のをい組織的な犯罪であった。 現在、韓國と日本では、新しい敎育課程を準備し、それにともなう敎科書編築作業をしている。兩國の敎育課程には、'世界化·情報化'という共通した意圖で施行され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おおきな差異點もある。韓國では歷史敎育が縮小されている反面、日本は歷史敎育を强化する方向で進んでいる。これは、最近、日本內での右翼勢力のうごきとも密接な聯關を持っている。 このような敎育課程の改編のなかで、韓·日歷史敎科書での'軍慰安婦'にかんする記述をみると、きわめて簡單·單純で、軍慰安婦が歷吏のなかでどんな存在であるか、どうして問題なのかというのが理解できない場合が多い。日本の敎科書には1990年代半ば頃、日本軍'慰安婦'關連の敍述が大いに登場したが、軍の關與問題や强制連行をみとめることにおいては純一的ではなかった。しかし連行の方式、連行された人數などで多樣な接近の仕方を見ることはできる。なお、今頃の市民運動や訴訟運動と關聯した敍述は、この問題にたいする現在的意味を持って、一定な意義があると言える。韓國の場合、1968年から'挻身隊'に關する記述は見えるが、現在の敎科書の敍述と比べ、大きな變化は認められない。現在使用される敎科書では、挻身隊と日本軍'慰安婦'を同義語として表現し、かえって混亂を加える。 日本軍'慰安婦'問題は、敎科書敍述の面でも重要であるが、韓·日兩國の新しい關係の定立のために、かならず檢討すべきである懸案で、とても敏感、かつ根本的な歷史的課題である。これは植民地支配と第二次世界大戰にかけての日本の戰爭犯罪に對しての嚴しい批判を通した戰爭責任を問うことから始まらなければならない。ここにおいて韓國政府の積極約な態度が要請されるものである。 日本の右翼勢力は、'新しい歷史敎科書をつくる會'を中心として動いているが、このようなうごきがもっと憂慮されるのは、かれらの主張が、過去の戰爭犯罪からにげたがる國民意識に便乘した政治人·言論と連繫され、おおきな勢力を形成しているし、最近日本政府、特に文部省の歷史歪曲を牽引して軍國主義的な基盤を强化しつつあるという默にある。2002年から使用される豫定の敎科書檢定で、'軍慰安婦'敍述が縮小·隱蔽去れたことからもわかるように、日本の歷史敎科書での'軍慰安婦'敍述は、これからも一回的、かつ形式的になる可能性がとても多い。 こんな時點で、日本軍'慰安婦'問題を韓國の歷史敎科書でとう取り扱うかに對する眞劍な模索が切實に要請される。日本にむかっての反對の聲を緩むことができなければ、韓國內での'軍慰安婦'問題の扱い方についての反省とともに、敎育的な側面を考慮した、敎科書のただしい敍述を求めるべきである。用語の使用の正確性、多樣な副敎材の開發など、國家的次元での充實な硏究基盤のとで、果的な學習資料を作り出すのが時急である。これが敎室のなかでひろくつかれ、兩國の學生らがこの問題をより正確に認識することを希望する。

      • 경산시 PM<SUB>2.5</SUB> 농도 측정 및 성분 분석

        이아현,백강산,유승연,최재진,황인조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최근 현대 사회에서 국민들의 소득수준 및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대기질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장, 매연, 황사 등으로 오염된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국민들은 공기 청정기 등의 사용이 대폭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대기질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 맞춰 대기질 측정 및 분석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이 꾸준히 수행하고 있는 기본적인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산시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초미세먼지를 측정하고 그에 대한 농도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대기질 개선을 위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PM2.5는 초미세먼지 샘플러(KMS-4200)를 이용하여 채취한 후 각각 이온성분 분석, 무기원소 분석, 질량농도 분석을 통해 초미세먼지에 대한 모니터링 및 농도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초미세먼지 중 무기원소, 이온 성분분석들을 통해 각 성분의 농도 경향을 파악하고 쾌적한 대기질 유지를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대기질 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및 쾌적한 대기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경산시의 쾌적한 대기질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분노반추와 대인관계문제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이아현,이아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분노반추와 대인관계문제에서 인지적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전국에 있는 대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92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for SPSS V3.0 Model 1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분노반추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인지적 유연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이 높을수록, 분노반추가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하위요인에 따른 분석결과, 통제 요인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대안 요인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분노반추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인지적 유연성의 보호기능을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분노반추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 상담 및 교육에 있어 인지행동 개입의 가능성을 강조하고, 구체적인개입 전략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Z세대 금융 마이데이터 인식 제고를 위한 사용자 경험 연구

        이아현,김승인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2 No.4

        This study is a user experience design study for generation Z to raise awareness of financial MyData and revitalize services. Starting with MyData's pilot service on February 21, the financial sector is actively implementing the MyData industry. However, the perception of MyData is still low, and research in terms of user experience to activate the service is insufficient. Therefore,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Kano model were conducted for financial MyData service users in their 20s. Through this, MyData recognition according to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quality according to functions were classified.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function was identified and how each function affects the user experienc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terms and conditions of use to enhance the transparency of MyData and awareness of al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ost of the functions of MyData were found to be attractive, but due to the nature of Generation Z, it was found to be indifferent to the recommended function. After tha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revitalize user-centered MyData services. 이 연구는 Z세대를 금융 마이데이터의 인식 제고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이다. 21년 2월 마이데이터의 시범서비스를 시작으로 금융권에서는 마이데이터 산업을 적극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마이데이터의 인식은 낮은 상황이며,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의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20대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카노 모델을 기반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 요소에 따른 마이데이터 인식 및 기능에 따른 품질을 분류하였고, 기능별로 만족도를 파악하여 각 기능이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이데이터의 투명성 및 모든 특징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용약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마이데이터 대부분 기능을 매력적으로 느끼지만, Z세대 특성상 추천기능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가 사용자 중심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