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팥(Vigna angularis (Willd.) Ohwi & H. Ohashi) 품종의 화학적 마커와 비교하여 항당뇨병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기 위한 대사체학 접근법

        오선민,안종민,정선인,박지윤,김두영,김정희,송석보,주영광,추지호,김문옥,이병원,류형원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7 No.-

        The metabolite changes in adzuki bean, as functional food, and their effects on its biological activity were monitored. The in adzuki bean cultivars were successfully distinguished by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electrospray ionization mode. As shown by the PCA scatter plot, volcano plot and box plot, the -glucosidase exhibited significant chemical markers derived from 355.1271, 342.1189, 666.2219, and 1133.5381 m/z, whereas the hDPP-IV exhibited tentative chemical markers derived from 666.2220 and 342.1193 m/z. The adzuki bean extracts also inhibited -glucosidase and hDPP-IV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condary metabolites composition. In detail, Milyang59, Haeoreum, Hongda, and Hongyeon inhibited α-glucosidase by 29.3, 16.6, 139.9, and 20.6% at 600 μg/mL, respectively, while Milyang59, Joongwon, Haeoreum and Hongmiin inhibited hDPPIV by 15.0, 21.0, 15.0, and 20.0% at 600 μg/mL, respectively. Importantly, discrimination was shown across the cultivars of the adzuki bean, which correlated strongly with the azukisaponin VI and their derivatives in Milyang59 and Haeoreum.

      • KCI등재

        Association Between Meat Consumption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Korea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오선민,김현창,안성복,조혜민,서일 대한예방의학회 201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3 No.6

        Objectives: The effect of meat consumption on cardiometabolic risk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but their associations are not conclus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meat or red meat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n healthy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2374 community-dwelling adults (933 men and 1441 women) who were free of cardiovascular disease or cancer, living in a rural area in Korea. Total meat and red meat intakes were assessed with a validated 103 item-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arotid IMT was evaluated ultrasonographically, IMTmax was defined as the highest value among IMT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Results: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the mean IMTmax tended to increase in higher meat consumption groups in both men an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p for trend= 0.027 and 0.049, respectively), but not in participan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Frequent meat consumption (≥5 servings/week)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IMTmax i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by 0.08 mm, p=0.015). Whereas, the association was not significant in women (by 0.05 mm, p=0.115). Similar but attenuated findings were shown with red meat intake.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a higher meat consumption may be associated with a higher carotid IMT in Korea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frequent meat consumption (≥5 servings/week), compared with the others,was associated with a higher carotid IMTmax only i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xplore optimal meat consumption in people with specific medical conditions.

      • 조팝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동정 및 정량분석

        오선민,최보람,나현선,이재원,이영섭,김금숙,이승은,이대영 한국약용작물학회 2018 한국약용작물학술대회 발표집 Vol.2018 No.05

        Background :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Rosaceae) called “Brial wreath” is a deciduous latifoliate shrub that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in Northeast Asia. Phytochemical and biological investigation of S. prunifolia have led to the discovery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Pharmac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extract of the root of S. prunifolia possess antioxidant,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Some chemical constituents such as sterols, phenolics, terpene and fatty acid, as well as ethanolic extracts from the roots of S. prunifolia,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to modulate the deleterious effects of diabetes, to prevent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nd to prevent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Our continuing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other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leavess of S. prunifolia. The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NMR and FAB/MS spectroscopic data interpretation. Methods and Results : Multiple-preparative liquid chromatography (MPLC) purifications were carried out on YMC LC-forte/R instrument (YMC Kyoto, Japan) equipped with YMC-Pack ODS-A columns (ODS gel : 5 ㎛, 10 ㎜ × 250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performed on Agilent Technologies instrument (Aglient Tec., Santa clara, CA, USA) equipped with YMC–Pack Pro C18 columns (ODS gel : 5 ㎛, 4.6 ㎜ × 250 ㎜). Next,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UPLC-QqQ/MS 3200 Q-TRAP instrument (AB SCIEX Toronto, Canada) using a ACQUITY UPLC (waters corp.) with an ACQUITY BEH C18 column (2.1 ㎜ × 100 ㎜, 1.7 ㎛). The metabolite samples was applied to preparative reversed-phase HPLC and UPLC using gradient method, solvent A [water + 0.1% formic acid (v/v)] and solvent B [acetonitrile + 0.1% formic acid (v/v)].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isolated the major metabolites from the stem of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by using MPLC and HPLC. UPLC-QqQ/MS was also used to quantify target compounds. Finally, we established methodology and perform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target compounds from the stem of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 글리세롤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첨가한 가래떡의 노화 특성

        오선민,권순성,최성원,김창남,김병용,백무열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04

        전분의 노화는 전분질 식품의 소화율과 기호도를 떨어뜨리고, 경도를 증가시키는 등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며 유통기한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품의 상품적 가치가 떨어지게 되어 이는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분노화 억제 소재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결정형영역에서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전분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결정형 영역과 무정형 영역의 변화의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학적 전분노화 억제제인 글리세롤(Glycerol)과 HLB 값이 16인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를 첨가한 가래떡을 제조 및 상온에서 저장하여 노화 과정 중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습식 제분쌀가루를 수분함량 45%로 반죽하여 쌀가루 기준 1, 5, 10%의 글리세롤과 0.1, 0.3, 0.5%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각각 첨가하여 지름이 1.5 cm인 가래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가래떡을 진공포장 후 상온에서 14일까지 저장하여 떡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초기 가래떡의 외관은 변화가 없었으나 저장 7일 이후부터 모든 가래떡 표면에 부분적으로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관찰하였다. 글리세롤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첨가한 가래떡이 4일차까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가래떡(Control) 보다 경도가 낮았으며, 같은 노화 억제제일지라도 첨가한 양이 많을수록 경도가 더 많이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저장 5일차부터 control과 샘플 가래떡의 경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후 14일까지 변화의 폭이 미미하였다. X선 회절도실험에서, Native 쌀가루는 15, 17, 23˚에서 peak가 나타나는 A 타입 결정 특성을 보이는 반면, 노화된 떡은 20-21˚에서 peak가 나타나는 B 타입 결정 특성을 보였다. 14일차 저장했을 때, 노화 억제제가 첨가된 샘플 떡이 control보다 상대적 결정화도가 낮았으며 글리세롤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비교했을 때, 글리세롤의 상대적 결정화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노화된 떡의 무정형 영역 및 결정형 영역의 재결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리전이 온도(Tg’)과 아밀로펙틴 용융엔탈피(ΔHr)의 변화를 DSC로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Control 떡과 샘플 떡의 Tg’은 증가하였으며 샘플 떡의 Tg’가 control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샘플 떡의 ΔHr 값과 변화 정도가 control보다 낮아 노화억제제로서 분자들 간의 결합을 방해했음을 암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화학적 전분노화억제 소재들의 전분노화억제 효과를 알려주고 이것을 이용한 전분질 식품의 저장안정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 화학적 노화 억제제를 첨가한 가래떡의 노화 특성 연구

        오선민,권순성,최성원,김창남,김병용,백무열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11

        전분의 노화는 전분질 식품의 기호도를 떨어뜨리고, 경도를 증가시켜 상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노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가소화제나 유화제와 같은 화학적 노화 억제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 억제제를 가래 떡에 첨가하여 저장했을 때, 노화 과정 중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변화 분석과 더불어 Avrami식을 이용한 모델링을 통해 노화 kinetic에 대한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습식제분 된 쌀가루를 수분함량 45%로 반죽 후, 쌀가루 중량 대비 1, 5, 10%의 글리세롤과 0.1, 0.3, 0.5%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각각 첨가하여 가래떡을 제조하였으며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가래떡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가래떡은 진공포장 후 상온에서 14일까지 저장하였고 물리화학적 변화를 경도분석기, 시차열량주사기(DSC)와 X선 회절도(XRD)로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저장 2일차에서 경도가 변곡점에 이른 반면, 노화 억제제를 첨가한 가래떡은 경도의 증가가 더디었으며 저장 4일차까지 대조군보다 낮은 경도를 보였다. 저장 5일차부터는 모든 샘플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한편, 글리세롤을 첨가한 떡은 초기 결정화도가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노화 억제제가 첨가된 샘플 모두 저장 5일차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조군과 샘플 떡의 Tg’은 증가하였고 샘플 떡의 Tg’가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한편, 노화억제제를 첨가한 시료의 아밀로펙틴 용융엔탈피(ΔHr)값과 변화율은 대조군보다 낮아 아밀로펙틴의 재결정화가 지연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vrami식을 이용하여 모델링 한 결과, R2 값이 경도에서는 0.80-0.94 넓은 범위를 보였고, 결정화도 및 ΔHr에서는 각각 0.92-0.98 및 0.95이상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Tg’의 경우에는 0.80-0.90로 비교적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화학적 노화 억제제의 노화지연 효과는 측정한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욱 정확한 노화 kinetic을 알기 위해서는 Avrami식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하고, 적용이 어려울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전분질 식품의 저장안정성을 예측하는데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hronic Disease Risk Prediction Models

        오선민,김현창,Katherine M. Stefani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4 Yonsei medical journal Vol.55 No.4

        Currently, non-communicable chronic diseases are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and a large proportion of chronic diseases are preventable through risk factor management. However, the prevention efficacy at the individuallevel is not yet satisfactory. Chronic disease predict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to assist physicians and individuals in clinical decision-making. A chronic disease prediction model assesses multiple risk factors together and estimates an absolute disease risk for the individual. Accurate prediction of an individual’s futurerisk for a certain disease enables the comparison of benefits and risks of treatment,the costs of alternative prevention strategies, and selection of the most efficientstrategy for the individual. A large number of chronic disease prediction models, especially targeting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ancers, have been suggested,and some of them have been adopted in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of many countries. Although few chronic disease prediction tools have been suggested in the Korean population, their clinical utility is not as high as expected. This article reviews methodologies that are commonly used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a chronic disease prediction model and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chronic disease prediction in Korea.

      • 화학적 노화억제제와 효소의 첨가가 가래떡의 노화 특성에 미치는 복합 효과

        오선민,권순성,최성원,김창남,김병용,백무열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8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8 No.04

        호화 된 전분은 무정형 구조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분 분자들 간의 재결합으로 인해 결정형 구조를 갖게 되며, 이 현상을 노화라고 한다. 전분의 노화는 전분의 소화도와 텍스쳐의 품질을 낮춤으로서 전분질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떨어뜨린다. 이러한 전분질 식품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으로는 화학적 노화억제제 또는 효소 첨가가 대표적이다. 유화제와 가소화제, 또는 효소를 단독으로 사용한 문헌은 많지만, 효소와 첨가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노화에 대한 복합적인 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노화억제제와 효소를 첨가한 가래떡을 제조하였고, 저장기간 동안 노화 된 가래떡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에서 화학적 노화억제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SE)와 글리세롤(Gly)을 사용하였으며, 효소는 내열성 α-amylase인 Termamyl (TER)과 glucoamylase인 AMG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첨가제와 효소의 양은 예비실험을 통해 선정하였고 SE와 Gly, TER은 Steam 전, AMG는 Steam 후 첨가 해 주었다. 습식제분 멥쌀가루를 사용하여 수분함량이 45%가 되도록 반죽하였고,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가래떡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조 된 떡은 진공포장 후 상온에서 저장하였으며 물리화학적 특성을 경도분석기, 시차열량주사기(DSC)로 분석하였다. 경도에서 모든 샘플 떡이 저장초기 대조군 보다 낮음을 보였다. SE와 AMG를 함께 넣은 샘플은 SE와 AMG를 단독으로 사용 했을 때 보다 경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다른 샘플들이 저장초기에만 노화 지연 효과를 보인 것에 반해, 저장 9일차 동안 노화에 영향을 미쳤다. DSC 결과에서, 글리세롤을 단독으로 첨가한 떡뿐 만 아니라 TER을 함께 첨가한 떡의 유리전이 온도(Tg’)는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두 가지를 동시에 첨가했을 경우 역시 가소화 효과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AMG가 단독으로 또는 노화억제제와 함께 첨가 된 모든 떡의 경우 Tg’가 대조군과 다르게 감소하였으며 얼음용융엔탈피(ΔHi)에서도 대조군과는 다르게 3일차 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부터 감소함을 보였다. 이러한 AMG의 Tg’와 ΔHi특성은 glucoamylase의 활성으로 생성된 환원당과 그로 인한 빙점강하가 저장 초기에 우세하게 작용하였지만, 저장 후기에서 전분 분자들의 재결정화가 우세해 지면서 다음과 같은 경향을 띤 것으로 보여진다. 아밀로펙틴용융엔탈피(ΔHr)의 경우 모든 샘플이 대조군 보다 낮은 엔탈피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전분의 재결정이 지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분 노화에 대한 효소와 노화억제제 간의 복합적인 효과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