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삼·백년초 복합물이 관절염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승현,이창현,김홍준,김영식,신민지,김지현,마상용,이세연,권진,오찬호,Lee, Seung-Hyeon,Lee, Chang-Hyun,Kim, Hong-Jun,Kim, Young-Sik,Shin, Min-Ji,Kim, Ji-Hyun,Ma, Sang-Yong,Lee, Se-Youn,Kwon, Jin,Oh, Chan-Ho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21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9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complex mixture of natural substances of ginseng and baeknyeoncho on the arthritic rats. Methods : In vitr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complex. After setting toxicity and concentration by MTT assay, the antioxidant effect was measured throug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complex,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β, TNF-α) were measured in LPS-treated macrophage cell lines (RAW264.7). We injected monosodium iodoacetate (MIA) 50 μl (60 mg/ml) into knee joints of rats to induce osteoarthritis.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n=5), control (n=5), and OR (n=5) group). The control group consumed 2 mg/kg of physiological saline once a day for 4 weeks, and the OR group was mixed at a concentration of 416.5 mg/kg of Baengnyeoncho (O) and 208.25 mg/kg of red ginseng (R) and ingested 1 mL each 5 days a week. Results : This complex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rate. The complex decreased NO produc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of macrophages. In the OR group, the secretion of cytokine in serum was decreased.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 joint tissue of the composite showed less damage to the synovial membrane, cartilage, and fibrous tissue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is study, natural complexes hav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cartilage protection effects. Therefore, we expect the complex to be effective in treating osteoarthritis.

      • KCI등재
      • KCI등재

        용수공급을 고려한 홍수기 저수지 운영방안

        이승현,김영오,Lee, Seung-Hyeon,Kim, Young-Oh 한국수자원학회 200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5 No.6

        홍수기 동안의 저수지 운영은 효율적인 홍수조절과 갈수기를 대비한 용수량 확보를 모두 고려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세트 컨트롤 알고리즘(SCA)을 홍수기 저수지 운영방안으로 적용하였다. SCA의 개념은 유입량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주어질 경우에 저수지의 상태가 허용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저수량과 방류량의 조절 세트(Control Set)를 저수지 운영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입량 세트는과거자료를 이용하는 경우와 합성된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그리고 앙상블 예측(ESP) 시나리오를 이용하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SCA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현행제한수위와 가변제한수위를 이용한 방안과 비교하였다. 이를 충주댐에 적용하여 총 5년(1996~2000) 동안의 모의운영을 실시한 결과, SCA를 이용하는 운영방안이 현행제한수위나 가변제한수위를 이용하는 운영방안보다 우수하였고 SCA 중에서는 앙상블 예측기법(ESP)을 이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Reservoir operations during the flood season should consider both the flood control and water supply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d Set Control Algorithm (SCA) as a reservoir operation method, which guarantees both objectives. The concept behind SCA is to provide operators with a set of actions that guarantee feasibility, given a set of operational constraints, and to let them select decisions within a set that satisfies other considerations. The inflow se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observed data, synthetic data, and ESP(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scenarios. Applied to the Chungju Dam operations, SCA was compared to the variable flood restricted elevation, as well as the current flood restricted elevation. A 5-year simulation analysis showed that SCA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operation methods, and that SCA coupled with ESP performed best among the SCA cases.

      • SCOPUSKCI등재
      • 체적 홀로그래픽 메모리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이승현,선광철,김은수,Lee, Seung-Hyeon,Seon, Gwang-Cheol,Kim, Eun-Su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7 No.2

        본 논문에서는 체적흘로그래픽 메모리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각다중화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페어의 다중 홀로그램들이 방대한 저장 능력과 실시간 랜덤 엑세스의 장점을 갖는 동일한 광굴절 매질에 기록되었다. 브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입사파는 기록된 회절 격자에 의해 산란되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페어의 방향을 따라 회절된다. 디스플레이 평면으로 회절되어 투사된 연속적인 좌안과 우안 영상으로부터 입체 비디오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We present a sequential stereoscopic display system using volume holographic storage. Multiple angular multiplexed stereoscopic image pairs are recorded into a photorefractive crystal that can store data with high density, transfer them with high speed, and select a randomly chosen data element. The reference beam with Bragg selectivity is scattered by the index grating and the diffracted beams are propagating along the directions of the stereoscopic image pairs. The images are to be suitably projected on the left and right display plane sequentially for stereoscopic video viewing.

      • KCI등재

        PCA 기반 특징 되먹임을 이용한 중요 영역 추출

        이승현(Seung-Hyeon Lee),김도연(Do-Yun Kim),최상일(Sang-Il Choi),정구민(Gu-Min Jeo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논문에서는 손글씨 숫자 데이터셋, 얼굴 데이터셋의 중요영역 추출을 위한 PCA 기반의 특징되먹임방법을 제안한다. 이전의 LDA 기반의 특징되먹임 방법을 확장하여 PCA 기반 특징되먹임 방법이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에서 데이터에 차원 축소 머신러닝 알고리듬 중 하나인 PCA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중요한 특징 차원들로 축소한다. 차원 축소과정에서 도출되는 weight를 통해 축소된 각 차원 축에서의 데이터 중요 지점을 확인한다. 각 차원 축은 축의 고유값의 크기에 따라 전체 데이터에서의 가중치가 다르다. 이에 각 차원 축의 고유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차원 축에서의 데이터 중요 지점을 합하는 연산 과정을 거친다. 연산 과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에 Threshold를 적용하여 데이터의 중요 영역을 구한다. 그 후 도출된 데이터의 중요 영역에 원본데이터로 역매핑을 유도하여 원본 데이터 공간에서 중요영역을 선택한다. MNIST 데이터셋에 대한 실험 결과를 확인하고 기존의 LDA 기반의 특징되먹임 방법을 통한 결과와 비교를 하여 PCA기반 특징되먹임을 기반한 패턴 인식 방법의 유효성과 가능성을 확인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CA-based feature feedback method for extracting important areas of handwritten numeric data sets and face data sets. A PCA-based feature feedback method is proposed by extending the previous LDA-based feature feedback method. In the proposed method, the data is reduced to important feature dimensions by applying the PCA technique, one of the dimension reducti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rough the weights derived during the dimensional reduction process, the important points of data in each reduced dimensional axis are identified. Each dimension axis has a different weight in the total dat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igenvalue of the axis. Accordingly, a weight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eigenvalues of each dimension axis is given, and an oper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add important points of data in each dimension axis. The critical area of the data is calculated by applying a threshold to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calculation process. After that, induces reverse mapping to the original data in the important area of the derived data, and selects the important area in the original data spac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the MNIST dataset are checked, and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the patter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PCA-based feature feedback are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existing LDA-based feature feedback method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간질발작의 임상양상과 뇌파검사의 관계

        이승현(Seung Hyeon Lee),손동우(Dong Woo Son),은병욱(Byung Wook Eun),심소연(So Yeon Sim),최덕영(Deok Young Choi),선용한(Yong Han Sun),조강호(Kang Ho Cho0, 류 일(Eell Ryoo),전인상(In Sang Jeon0, 차 한(Hann Tchah) 대한소아신경학회 200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7 No.2

        목적:발작의 분류는 발작의 원인, 예후를 추정하거나 항경련제를 선택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뇌파검사는 발작의 종류를 구분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해 시행하는 중요한 검사이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임상적 발작이 확실한 경우 간질발작의 임상양상과 뇌파검사 간의 일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2000년 1월 1일부터 2008년 9월 30일까지 1회 이상의 간질발작을 주소로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방문한 환자 중 본원에서 처음으로 뇌파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작의 임상양상은 목격자와 본인의 설명을 기록한 의무기록지를 기준으로 하여 부분발작과 전신발작으로 분류하였고 뇌파검사는 발작간간질양방전을 기준으로 정상과 비정상으로 분류하였으며 각성과 수면상태 모두에서 시행하였다. 결과:총 461명의 환자의 뇌파검사 시의 평균 연령은 6.7세였고 남자는 247명, 여자는 214명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발작의 임상양상은 부분발작이 310명, 전신발작이 187명이었다. 각성뇌파검사에서 비정상은 158명으로 부분발작파가 118명, 전신발작파가 59명, 두 가지 발작파가 한 환자에서 나온 경우가 19명이었고, 수면뇌파검사에서는 비정상이 239명으로 부분발작파가 196명, 전신발작파가 77명, 두 가지 발작파가 한 환자에서 나온 경우가 34명이었으며 전체 환자에서는 비정상이 273명으로 부분발작파가 216명, 전신발작파가 97명, 두 가지 발작파가 한 환자에서 나온 경우가 40명이었다. 간질증후군은 전체 환자 중 90명에서 관찰되었다. 146명(41.5%)의 부분발작과 44명(23.4%)의 전신발작 및 79명(87.8 %)의 간질증후군이 뇌파소견과 일치하였다. 결론:영유아 및 소아에 있어 발작을 진단할 때에는 발작양상 분 아니라 정확한 뇌파소견을 세심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Electroencephalography(EEG) is an essential method carried out for classifying seizures and taking appropriate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ordance between clinical findings of epileptic seizures and EEG in children. Methods:We enrolled 461 patients from those who visited Gil hospital from January 1, 2000 to September 30, 2008 with the chief complaint of epileptic seizure more than once and checked their first EEG at the same hospital. The clinical findings of seizure were based on the charts and interictal waking and sleep EEGs were done. Results: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7 years old. 497 epileptic seizures occurred and its clinical finding included 310 of partial seizures and 187 of generalized seizures. In 315 waking EEG 158 were abnormal including 118 of partial seizures, 59 of generalized seizures and 19 of both seizures, in 431 sleep EEG 239 were abnormal including 196 of partial seizures, 77 of generalized seizures and 34 of both seizures, and in waking and/or sleep EEG 273 were abnormal including 216 of partial seizures, 97 of generalized seizures and 40 of both seizures. Epileptic syndromes were observed in 90 patients. 146(41.5%) of partial seizures, 44(23.4%) of generalized seizures, and 79(87.8%) of epileptic syndromes accorded with EEG. Conclusion:When diagnosing seizures in children, we must consider not only clinical findings but also accurate EEG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