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희롱-이성애제도-조직문화 그 연관성에 관한 고찰

        이성은(Lee Sung Eu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본 논문은 이성애적 실행으로서의 성희롱이 한국의 이성애 제도를 재현하는 성적순결, 결혼제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검토하고 또한 성희롱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장인 조직 내의 성별, 성문화가 성희롱의 발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28명의 사무직 여성 노동자와 심층 연접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첫째, 이성애적 제도로서 순결이데올로기와 결혼 제도 내에서의 성에서 비롯된 지배적인 이중규범은 여성을 성희롱의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로 남성을 일상화된 성희롱의 가해자로 만드는데 주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이성애제도에 근거한 남생 중심적, 이성애 중심적 성별, 성문화는 다양한 양태에 성희롱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성희롱을 유지 공고화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희롱의 문제 해결은 단지 새로운 법안의 수립, 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가능하기 보다는 이성애 주의에 대한 도전, 조직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서 가능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exual harassment as a heterosexual incident is not only perpetuated by heterosexuality as an institution but also related to gendered and sexual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In doing so, the data of this research derives from qualitative interview with 28 female clerical workers who work in Seoul in Korea.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heterosexuality is characterized as the dual norm based upon the ideology of sexual chastity and sexuality within marriage. Therefore, Korean female workers affected by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ity are unable to assertively respond to sexual harassment. Whereas women are defined as a sexual victim, men are regarded as a common harasser. Secondly, this research shows how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is linked with the gendered and sexual culture in the Korean workplace. The gendered organizational culture is featured as the first,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employment, sex-discrimination in income and promotion, the second, sex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female workers, the third, a uniform for female workers only. The sex-discriminated features contribute to see women not as a worker with an equal ability but as a office wife and a sexual object. Moreover, sexual culture of Korean organizations is mainly related to the 'drinking culture' within the institution of the 'office party'. This drinking culture is male-centered and male-dominated, so most female workers are forced into sexual service roles. In this circumstance, the various forms of sexual harassment are occurred within the office parties and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the sexualized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in cause of sexual harassment. As a result, in order to study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within each society, a research on the sexual harassment- heterosexuality-organizational culture complex is indispensible.

      • 교도권과 교부들 :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 신앙, 권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하느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서 신학의 주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오직 이성만으로 진리에 이르고자 마니교에 빠지기도 했고 아카데미 학파의 학설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러나 그는 이성만으로 진리에 도달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함을 깨달았다. 마침내 그는 이성으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권위가 필연적으로 필요함을 체득한다. 그는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자신을 맡기면서 이성과 신앙의 조화란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고, 믿기 위해서 이해하라고 권고한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통하여 직접 계시하신 진리, 곧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바로 신학의 주체가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의 대상은 하느님이시다. 어느 누구도 계시된 진리와 하느님의 도움에 힘입지 않으면 신학의 대상에 대해 알 수 없다. 신학의 대상은 신앙의 내용이다. 신앙의 내용은 신자들이 ‘살아 왔고’ ‘살고 있는’ 신앙 안에 보존되고 전승된다. 누군가 전승된 신앙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언급하면 교회는 권위를 발동하여 올바른 신앙의 내용을 지키고 보존한다. 교회는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아 신경을 선포하고 지역교회에 전해준다. 가톨릭 신학의 목적은 하느님께 이르는 것이다. 덴칭거가 교회의 권위로 최종 결정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실증적 문헌들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고 자기 임의대로 이해하는 것이 신학 연구에 가장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은 신학의 진정한 목적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덴칭거가 『신경 편람』을 편찬한 것은 새롭고 훌륭한 가톨릭 신학을 드러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God is the subject of Augustine’s theological world. In his search for ultimate truth he flirted with Manicheanism and was temporarily swayed by Neo-Platonism. His intellectual quest, however, which lead him to see the limitations of these approaches, eventually brought hi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uthority. That is, in giving himself over to the authority of Sacred Scripture and the Church, Augustine discovered the harmony of faith and reason. He came to affirm that “I believe, in order to understand; and I understand, the better to believe.” We, in other words, arrive at the truth within humans and in the Sacred Texts, through an a priori faith in God. God is, in other words, the ultimate subject of theology. Likewise, the subject of Catholic theology is God. Without God’s help, no one can understand this theological reality. The curriculum of theology is faith: the lived and living faith which believers preserve and transmit. The exercise of magisterium in the Church is to distil from amongst its competitors the faith which is to be proclaimed. The heart of this belief is found in its proclamation by the local churches. The goal of Catholic Theology is to arrive at God. Denzinger is a great help in awakening this most sacred purpose of theology and pointing to the more damaging mistakes of ignoring, neglecting or arbitrarily interpreting the teaching magisterium. Within this context, the publication of Denzinger. as a “Compendium of Faith ” is rightly to be seen as a refreshing and worth revelation of Catholic faith and doctrine.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 변화와 감성광고

        이성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human life and science also has been innovatively developed.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as met the digital era and influenced the overall culture and society. Digital media technology, connected with a new trend, is also leading human living and the whole culture. This popularized digital media technology is able to give lots of changes to advertisements with the advent of emotions. The is the reason why emotion advertisements are generally accepted by the public as a means of attracting viewers' eyes in the various contents and kinds of ads administered by means of digital media. But the appraisal of advertising appeals via emotions is differently shown up to now.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One is a negative view of selling not merchandise but emotions through exaggerated story wrapping, and the other a positive view of purchasing emotions by stimulating innate human emotions. Besides, a variety of views are also being shown. The research is to discuss the transitions and trends of advertisements, reasonal and emotional appeals, and find out the points emotion advertisements are going to aim for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methods of the research examine the basic theories and articles on emotions and emotion advertisements, and finally discuss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emotion advertisements administered in media. As a conclusion, while executing advertising by means of either reasonal or emotional appeals. the important thing is to read consumers' trend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development of stories which can stimulate consumers and appeal to them along with sales power.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through this, advertisement contents which can naturally assimilate and touch consumers by the stories should be made and then excite consumers' emotions.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삶은 많은 변화가 있었고, 과학의 발전 역시 혁신적인 발전했다.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문화ㆍ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새로운 트렌드와 연관되어 인간 생활과 문화 전반을 이끌고 있다. 이렇게 대중화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광고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고, 이와 함께 대두된 것이 감성이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집행되는 다양한 내용과 종류의 광고 속에서 시청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써 감성광고는 대중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성을 통한 광고 소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그 평가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과장된 스토리의 포장으로 인해 상품이 아닌 감성을 판다는 부정적인 측면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자극하여 감성을 산다는 긍정적인 시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변화와 트렌드 그리고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에 대해 논의하고 감성광고가 지향해야 할 점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연구의 방식은 감성과 감성광고에 대해 기존 이론과 기사들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미디어 속에서 집행되는 감성광고의 사례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이성소구든 감성소구든 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트렌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감성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판매력과 더불어 소비자의 마음을 자극해 사로잡을 수 있는 이야기의 전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토리텔링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이를 통해서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동화할 수 있고 감동할 수 있는 내용의 광고를 만들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성흠(李聖欽),윤초희(尹蕉熙),최상봉(崔相鳳)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함께 학문공동체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 또는 행동양식이다. 이 연구는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윤리 확립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K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183(남: 142, 여: 41)명이며, 설문지는 ‘학습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항목에서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 과제물 구매 등에서는 준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중복제출과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학습윤리에 대한 실행도(준수정도)에서는 대리작성, 중복제출, 과제물 구매 등에서 높게(즉,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깁기와 표절에서는 실행도가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는 중복제출, 짜깁기, 과제물 구매, 표절, 대리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윤리 위반에 대한 이유는 ‘더 좋은 학점에 대한 욕심’, ‘시간의 부족’,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었다. 둘째, 기타 학업수행(출석, 협동과제, 시험 등) 측면에서 학습윤리 중요도는 대리시험, 시험부정행위, 무임승차에서는 높았지만 대리출석과 무단조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실행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점수 차이는 대리출석, 무단조퇴, 대리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윤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항목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표절’, ‘위조’, ‘변조’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강점 특성으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과 ‘대리시험’, ‘무임승차’, ‘시험부정 행위’가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항목은 ‘짜깁기’를 포함하여 ‘대리출석’, ‘무단조퇴’ 항목이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투자 및 집중도 조절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는 ‘중복제출’이 포함되었다. Nowadays ‘academic honesty/academic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community. The issue of ‘academic ethic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academic ethics’. For this purpose, one hundred eighty-three (142 males and 4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academic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agency creating, idea stealing, and homework buying,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weaves in writing and duplicate submission. Second, students also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surrogate test, test cheating, and free riding in homeworks,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valet attendance and unauthorized leaving early. For the items of performance, compliance scores showed a similar trend. Lastl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of academic ethics in the ‘concentrate’ area were ‘plagiarism’, ‘fake’, and ‘mod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plagiarism as a violation of academic ethics may occur when students don’t know how to appropriately quote from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ethics’ code for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we should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courses such as ‘research ethics,’ ‘academic writing,’ etc.

      • 통시적(Diachronique) 관점에서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1 No.-

        통시적 방법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를 살펴보면, 시기에 따른 특징적인 해석기준을 밝혀낼 수 있다. 이 해석기준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를 재조명하면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초기작품(386-388)에 나타나는 인간 이해에 대한 특징적인 면은 먼저 아우구스티누스가 하느님과 영혼에 대한 이해에 집중하는 점이다. 비록 그리스 철학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해 anima, animus, mens 등 영혼을 지칭하는 개념을 인간의 ‘이성적 영혼’(anima rationalis)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는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인 ‘하느님 모상(imago Dei)’과 ‘하느님 유사성(similitudo Dei)’을 인간 이해의 해석기준으로 분명하게 제시한다. 마니교 반박 시기(388-411)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육체가 없는 것’과 ‘영적인 것’을 모순되지 않다고 보고 이를 영혼 개념 안으로 통합시킨다. 더 나아가 인간존재의 보다 심층적인 면을 살펴보면서 ‘정신적육체적 상태’(affectio)를 통해 사람을 이해한다. 마니교도 논박을 위해 제시한 인간 이해의 해석기준은 하느님께로 '향하는 사람’(conversio)과 ‘등을 돌리는 사람’(aversio), 곧 ‘conversio - aversio’로 나타난다. 펠라기우스 반박시기(411-430)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가 심리·내면적 인간 이해를 시도한다. 펠라기우스는 신플라톤적 인간 이해의 세 요소(영 혹은 정신Νους-영혼Ψυχη-육신Σαρξ)와 육신(corpus)이란 범주에 모두를 하나로 묶는 스토아적 인간 이해를 그대로 수용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러한 펠라기우스의 인간 이해가 성경의 인간 이해와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spiritus와 mens개념을 통해 논증한다. 또한 ‘영혼’과 ‘영’을 ‘영혼’으로 통합시키면서 펠라기우스파의 주장의 오류를 밝힌다. 영혼은 사람의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영혼에 대한 이해 없이 하느님을 알 수 없고 하느님에 대한 이해 없이 사람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기준은 ‘하느님 모상’, ‘하느님 유사성’, ‘회개와 회피’(conversio-aversio), ‘육체·정신적 상태’(affectio), ‘내적 인간’(homo interior) 등이다. 이 해석기준은 그의 인간 이해에서 차지하는 ‘영혼’ 개념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 가치를 잘 드러낸다. 바로 ‘영혼’은 하느님의 모상이요 유사성이며, 회개와 회피 사이에 또한 겸손과 교만 사이에 노출된 인간존재이고, 그리스도의 은총에로 향하는 내적인간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Si nous recherchons à la manière diachronique la compréhension par Augustin de l'homme, nous trouvons sa concentration sur Dieu et l'â̂me de l'homme dans les oeuvres écrites entre l'année 386 et 388. Il adopte les conceptions de la philosophie grecque, qui désignent l'â̂me, à savoir anima, animus, mens, pour traiter de l'â̂me rationnelle, mais son critère principal de cette compréhension est l’image et la similitude de Dieu, notions que l'on emploie à propos de l'homme dans la tradition ecclésiale. A la période de la controverse contre les manichéens(388-411), Augustin relève le lien entre la conception d’incorporéité et celle de spirituel dans l’âme. Bien plus il comprend l’homme par l’affection spirituelle et corporelle, en regardant le plus profond de l’homme. Ainsi, nous découvrons que le critère principal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hez lui est l’aversion et la conversion. A la période de la controverse contre les pélagiens(411-430), Augustin, entrant dans son intérieur, essaie de comprendre intérieurement et psychologiquement l’homme. Les pélagiens acceptent la compréhension platonicienne de l’homme composé d’ésprit(Νους), d’âme(Ψυχη) et de corps(Σαρξ), et celle stoïcienne de l’homme harmonisé dans le corps. En utilisant les concepts de spiritus et mens, Augustin révèle la différence entr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dans la Bible et celle faite par les platoniciens et stoïciens. Enfin il manifeste la fausseté pélagienne, en intégrant l’âme et l’esprit dans l’âme. A cette époque-là, pour lui, l'â̂me désigne l'homme total. Car on ne peut pas comprendre Dieu sans comprendre l’âme, et l’homme non plus sans comprendre Dieu. En conclusion, les critères principaux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hez Augustin sont l’image et la similitude de Dieu, l’aversion et la conversion, l’affection corporelle et spirituelle, ainsi que l’homme intérieur. Cela trahit l’importance du concept d’âme dans sa pensée, âme qui est l’homme en tant qu’image de Dieu, située entre l’aversion et la conversion, et entre l’humilité et l’orgueil. Enfin, l’âme désigne chez lui l’homme intérieur se mouvant vers la grâce du Christ.

      • KCI등재

        16세기 양반 남아(男兒)의 성장 과정과 교육 - 이문건의 『묵재일기(默齋日記)』와 『양아록(養兒錄)』을 중심으로 -

        이성임 한국고문서학회 2023 古文書硏究 Vol.63 No.-

        In the above, the growth process and study method of Sook-gil were examined using Lee Moon-gun’s Mukjae Ilgi and Yanga-rok as data. As “Yangarok” is based on “Mukjae Ilgi,”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review these data in order to properly grasp the growth process of Sukgil.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ext to comprehensively compare and review these materials. In a strict sense, Lee Moon-gun’s Mukjae Ilgi corresponds to a general parenting diary, and Yanga-rok is a collection of poems that focuses on specialties in the parenting process. With the birth of Suk-gil, the Lee Mun-gun family turned around Suk-gil. In his diary, Lee Moon-gun carefully depicted Suk-gil’s movements and every move from the perspective of a third-person observer. This contains the hope that Sukgil will continue generations and prosper the family. There were originally four children between Lee Mun-geon and his wife Kim Don-yi, but all of them grew up to the end. When he was young, he was relatively smart, but when he was young, he suffered from fever and bad temper, making it difficult to live a normal life. At that time, the couple was constantly worried and worried about their son. Fortunately, On remarried to Kim Jeung-soo’s daughter in Cheongju and had four children between them. Among them, Sook-gil was the object that Lee Moon-gun was interested in and put his heart into. Expectations for his son have shifted to his grandson. In that sense, Lee Moon-geon also wrote a collection of poems called “Yangarok.” His preference for boys was quite clear, so he classified five rice paddies. I tried to systematically study Lee Moon-geon’s long-cherished path. However, Sook-gil was not talented and weak-willed, and it was difficult to study properly because he suffered from various diseases. Moreover, Sook-gil indulged in alcohol and eventually came further away from studying due to the symptoms of being drunk. Despite e Mun-geon’s great success, Suk-gil failed to pass the examination in the past.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Sukgil served as a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 War. Since then, the Seongju Lee family has not flourished much, but it is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to maintain the aspect of the family with Lee Mun-geon’s interest and sincerity.

      • KCI등재

        스트레스와 인구학적 특성의 연관성 분석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이성임,김상균,서미경 통계청 2018 통계연구 Vol.23 No.4

        Recent surveys indicate that a high percent of Koreans feel a lot of stress. In this paper, we construct the five-dimensional contingency tabl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n 2015. We als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sex, age, smoking status, economic activity, and stress by fitting a proper log-linear model. The odds ratio between gender and stress differ across age groups. The odds of feeling more stress appear higher in women than in men especially in the age group ‘over sixty years’. Unlike men, women had little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group ‘between forty years and sixty years’ and group ‘over sixty years’. The odds ratios between age groups and economic activity also differ across gender. The odds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is the highest in group ‘between forty years and sixty years’, and the difference among age groups i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hat all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d in the analysi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tress. 최근 우리나라는 다양한 조사를 통해 스트레스를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통해 성별, 나이, 흡연 여부, 경제활동 상태 및 스트레스 간의 연관성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고, 5차원 분할표에 로그선형모형을 적합하여 변수 간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성별과 스트레스 인지 정도 간의 오즈비는 나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성과 달리 여성은 중년층과 노년층의 스트레스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한, 중년층이 경제활동을 참여할 오즈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나이와 경제활동 상태 간의 오즈비는 성별의 영향을 받아 남성일 때 연령층별 오즈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특성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분석에 사용한 모든 특성은 스트레스와 유의한 연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