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동산 전자거래시스템 내 블록체인 도입의 가치창출 평가지표 개발 - AHP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

        이성민,김희준,이명훈,김재준,Lee, Sungmin,Kim, Heejoon,Lee, Myeonghun,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2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3 No.3

        With the introduction of proptech,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hanges and necessity of introducing blockchain technology, one of the most popular technologies, in real estate electronic transaction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that classify newly created values within real estate electronic transactions and calcul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value area through technology application. To this end, the value that can be created when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to real estate electronic transaction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and consider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are complex and the importance can be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a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HP method for experts in practical and academic fiel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eneral value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first dimension, and digitalization of real estat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second dimension.

      • 친환경 접촉점화성 이원추진제의 가능성 평가

        이성민(Sungmin Lee),강홍재(Hongjae Kang),권세진(Sejin Kwon)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2

        접촉점화성 추진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라진의 단점을 고려하여 친환경 접촉점화성 이원 추진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 가지의 연료들을 제작 후 액적 낙하 실험과 저장성 테스트를 수행하여 안정성이 확인된 ‘STOCK 0"에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그리고 충돌형 액주 실험을 통하여 로켓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점화지연시간은 액적 낙하 실험에서 10~18 ms, 충돌형 액주 실험에서 2~8 ms 로 확인되었으며 액주의 모멘텀이 커짐에 따라 점화지연시간이 줄어듦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추진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가압식 로켓 시스템으로의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Green hypergolic bi-propellant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drawbacks of hydrazine. In this research, several fuels were developed, which one of them, called as "STOCK 0", was confirmed as the most stable propellant through a long-term storage test. And the feasibility as rocket propella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drop and impinging jet test. In consequence of the drop test, ignition delay was 10~18 ms, and the result of jet test for the ignition delay was 2~8 ms. As momentum of injection became bigger, smaller ignition delay was verified. Through this research, the likelihood of green propellants was proved, and the new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pressurized rocket systems.

      • 이중압축램프 표면온도측정의 왜곡 보정

        이성민(Sungmin Lee),김익현(Ikhyun Kim),이종국(Jongkook Lee),변영환(Yunghwan Byun),박기수(Gisu Park) 한국추진공학회 2015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초음속 유동특성을 관측하기 위하여 적외선 열화상측정방식(infra-red thermography)을 사용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해당 방식은 전체 온도장 측정가능, 표면 열유량 측정시 열전대 접촉을 통한 열손실 제거, 높은 민감도와 빠른 반응 속도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풍동시험 모델의 경우 대부분이 곡선 및 경사각을 가지며, 또한 방사율과 적외선 카메라의 렌즈 왜곡률 등으로 야기되는 왜곡을 보정해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흑체보정(blackbody calibration), 카메라보정(camera calibration), 좌표변환(coordinate transformation)을 통해 보정된 모델표면을 구현하였다. 이중압축램프 모델을 사용하여 2차원적 모델에서도 왜곡보정이 고려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모델 이미지의 왜곡보정 뿐만아니라 정확한 온도측정을 통해 모델 표면의 온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Using an infrared thermography technique, a double compression ramp model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obtained to observe supersonic flow characteristics. By using this technique, one can observe broad temperature field with reduced heat leakage, high sensitivity, and short response time, but there are optical distortions caused by emissivity and camera lens. In this study, the corrected model surface data was obtained from blackbody calibration, camera calibration, coordinate transformation. From the experiment with a double compression ramp, it was found that the images taken from two-dimensional model also need distortion correction. These series of correction methods highly improve quantitative analysis of image distortions and calculation of surface temperature.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자간 회의를 위한 회의모델의 분석

        이성민(Sungmin Lee),김평수(Pyeongsoo Kim),김기용(Kiyong Kim),성동수(Dongsu Seong),이건배(Keonbae Lee)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The conference system in a ubiquitous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leading applications to connect people via audio and video. This paper compares various conference models for their efficiency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shows why the endpoint mixing model is more effective in this environment.

      • KCI등재

        추력기 모듈을 포함한 우주발사체 고공환경모사

        이성민(Sungmin Lee),오범석(Bum-Seok Oh),김영준(YoungJun Kim),박기수(Gisu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1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6 No.10

        본 연구에서는, 충격파 터널을 이용하여 한국형발사체의 발사 후 마하수 6을 돌파하는 고도 65km에서의 고공환경모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모델을 고정하는 지지대로 인한 유동교란 최소화를 위해 여러 다른 지지대 형상을 고려하였으며, 교란이 최소화된 지지대를 적용한 추력기 시험모델을 사용하여 단발-플룸의 추진기관을 포함한 고공환경모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시화기법을 통한 추력기 시험을 통해 충격파 패턴뿐만 아니라 배기 플룸과 자유류 유동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전반적인 유동 패턴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전산해석결과와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선단에서의 충격파 위치는 동일, 후단과 노즐부에서는 불필요 충격파로 인한 ±7%의 오차 발생이 확인되었다. In this work, the high-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study was carried out at an altitude of 65 km exceeding Mach number of 6 after launch of Korean Space Launch Vehicle using a Shock tunnel. To minimize the flow disturbance due to the strut support, of test model as much as possible, a few different types of strut configurations were considered. Using the configuration with minimum disturbance, the high-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experiment including a propulsion system with a single-plume, was conducted. From the thruster test through flow visualization, not only a shockwave pattern, but a general flow-field pattern from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exhaust plume and computation fluid dynamic(CFD)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in the forebody whereas in the afterbody and the nozzle the disagreement was about ±7% due to unwanted shockwave formation emanated from the nozzle-exit.

      • KCI등재

        지상시험장비를 통한 우주발사체 고공환경모사 기법 연구

        이성민(Sungmin Lee),오범석(Bum-Seok Oh),김영준(YoungJun Kim),박기수(Gisu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1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5 No.11

        우주발사체 고공환경모사의 실험적 연구는 우주발사체 발사 및 임무완수에 대한 독자적 기술력 확보를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형발사체(Korean Space Launch Vehicle; KSLV-II)의 발사 후 마하수 6을 돌파하는 고도 65 km 조건을 선정하였다. 지상시험장비중 하나인 충격파 터널을 이용하여 고공환경모사를 수행하였다. 유동발달 이후 공기열역학적 특성과 수직 및 경사충격파 확인을 위해 선두부 모델의 정체 압력과 정체 열 유량, 그리고 반구형상 모델의 충격파 이탈거리 측정을 통해 유동검증을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발사체 측면과 저부면 현상연구에 사용되는 시험모델의 자유류 회복을 위한 충격파 상쇄 기법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세 가지 유동검증 결과를 통해 이론값과 약 ±3% 이내의 오차를 갖는 정확한 유동이 발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충격파 상쇄기법을 갖는 천이구간 축소 모델의 경사충격파 경사각과 수평 평판모델의 경사각, 그리고 모델 측면 정압력의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각각 2%, 그리고 1% 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충격파 상쇄 기법의 합리적인 효과가 검증되었다. The experimental research on a high-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of space launch vehicle is important for securing independent technologies with launching space vehicles and completing missions. This study selected an altitude of 65 km for the experiment environment where it exceeded Mach number of 6 after the launch of Korean Space Launch Vehicle(KSLV-II). Shock tunnel was used to replicate the flight condition. After flow establishment, in order to confirm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normal and oblique shockwaves, the flow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stagnation pressure and heat flux of a forebody model, and shockwave stand-off distance of a hemispherical model. In addition, a shock-free technique to recover free-stream condition has been developed and verified. From the results of the three verification tes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was replicated with the error of about ±3%. The error between the slope angle of inclined shockwave of the scaled down transition section model using the shock-free shape and the slope angle of the horizontal plate model, and between the theoretical and the experimental value of the static pressure of the model were confirmed to be 2% and 1%,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he shockwave cancellation technique has been verified.

      • KCI등재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표면온도측정의 왜곡 보정

        이성민(Sungmin Lee),김익현(Ikhyun Kim),이종국(Jong Kook Lee),변영환(Yunghwan Byun),박기수(Gisu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4 No.7

        적외선 열화상 방식을 사용하여 초음속 풍동모델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표면온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 감지신호의 흑체 보정, 카메라와 렌즈의 불완전한 평형 등으로 야기되는 왜곡 보정, 그리고 모델표면 시야각에 따른 방사율 보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표면온도측정의 왜곡보정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공력특성 실험을 통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차원 시험모델 사용시 정성적일 뿐만 아니라 정량적인 계측을 위해서는 왜곡보정이 고려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Surface temperature of supersonic wind tunnel model was measured using an infrared thermography technique. To measure the temperature quantitatively, various calibration techniques such as blackbody calibration which converts detected camera signal to temperature, distortion correction due to the camera lens and an imbalance of camera pose, and emissivity calibration which considers viewing angles to the model surface, were employed. Throughout the study, for the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 it was verified that the distortion correction must be considered even for the use of two-dimensional model in aerodynamics testing.

      • KCI등재

        전복방지를 위한 가변 구조 이동 로봇의 설계와 구현

        이성민(Sungmin Lee),박정길(Jungkil Park),박재병(Jaebyung Park)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5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1 No.4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mobile robot with variable structure for tip-over prevention. The mobile robot i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stable drive and work in outdoor terrain. The outdoor terrain is rough and uneven. In this terrain, the tip-over of the mobile robot can occur while driving and working.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mobile robot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table drive and work. The proposed structure is defined as an X-shape for overall balance of the mobile robot. The shape is designed by using a multi-level structure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robo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design, we analyze the tip-ov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eight of gravitational center and the extension length of the robot. Finally, we develop a prototype of the mobile robot with variable structure, taking the results of the tip-over analysis into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