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학당 온라인 진단평가에 대한 연구 - 인도네시아 A 세종학당을 대상으로

        이선현 ( Lee Sun Hy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4 한국어문교육 Vol.47 No.-

        누리-세종학당 한국어 온라인 진단평가는 배치평가이면서 범용 자가 진단 평가다. 한국어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며 이러한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세종학당에서 자신의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에 배치가 되어 원만하게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배치평가가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다. 그리고 많은 세종학당은 온라인 진단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수준을 판정하여 반배치를 하고 있으나 반 내에서 학습자들의 불균등한 수준으로 인해 학습 운영에 고충이 많다. 이에 세종학당 온라인 진단평가를 한 후에 보완 평가로 쓰기와 말하기를 추가로 하는 인도네시아 A 세종학당에서 3년 동안 배치평가를 받은 317명 학습자들의 결과를 살펴보면서 세종학당 온라인 진단평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The Nuri-Sejong Institute Korean Online Diagnostic Evaluation is both a placement test and a self-diagnostic evaluation test for general purpose. The placement test is very important as it serves to help learners by placing them in a course with a curriculum appropriate for their level at a King Sejong Institute, whose aim is to help learners communicate smoothly in Korean and improve related skills. In addition, many King Sejong Institutes place students in classes after determining learners’ levels through the online diagnostic evaluation test. However, in some cases, students of different levels end up in the same class, which sometimes makes effective class management difficult. Accordingly, the study examined the King Sejong Institute online diagnostic evaluation test by looking at the three years' results of 317 learners who took the placement test at Indonesia A Sejong Institute, which gives writing and speaking tests as supplementary tests in addition to the King Sejong Institute online diagnostic evaluation test.

      • KCI등재

        골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요인

        이선현 ( Sun Hyun Lee ),오경옥 ( Kyong Ok Oh ),강문희 ( Moon Hee Kang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1 정신간호학회지 Vol.2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Methods: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using face-to-face interviews from 87 outpatients selected at a private hospita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2.0. Results: The mean scores of disabil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ere 58.5, 18.1 and 8.3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 present job, marital status, residence with, economic status, difference in caregiver. Depress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F=51.15,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for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should include psychological care for depression as well as physical care for disability reduction.

      •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선현,이혜리,Kim, Sun-Hyun,Lee, Hye-Re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6 No.2

        목적 : 최근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두된 여러 생명 윤리의 문제점들 중 특히 안락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대해 점차 개방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전체적인 흐름이다.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자료가 구체적으로 나와 있고 실제로 시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들도 주로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 많아 일반인들의 인식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방법 : 2000년 5월에서 7월까지 서울의 일개 구와 경기도내 한 지역의 고등학생 이상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기재가 미비 된 것을 제외한 435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안락사에 대한 인식도와의 관계를 통계 프로그램 SAS 6.12를 사용하여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 안락사를 법제화해야 한다는 사람은 304명(73.6%)이었고 안락사의 범위를 능동적 안락사까지 허용한다는 사람이 156명(37.8%), 수동적 안락사를 허용한다는 사람이 234명(56.6%)이었다. 안락사의 대상이 본인인 경우 능동적 안락사는 35세 이상(P=0.001)에서 더 많이 시행한다고 하였고 수동적 안락사의 경우에는 학력이 낮을수록(P=0.046), 경제력이 낮을수록(P=0.040) 더 많이 시행하겠다고 하였고, 안락사의 대상이 타인일 때 능동적 안락사의 경우에는 남자(P=0.001), 35세 이상(P=0.001), 기혼(P=0.002)에서 더 많이 허용하였고 수동적 안락사의 경우에는 직업(P=0.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락사가 합법화되었을 경우 본인에게 능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는 경우는 35세 이상(P=0.001), 기혼(P=0.022)에서 많았고 수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는 경우도 나이(P=0.001), 결혼여부(P=0.001)와 관련이 있었다. 타인에게 능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고 한 경우는 성별(P=0.004), 결혼여부(P=0.001)에서, 수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고 한 경우는 나이(P=0.002), 결혼여부(P=0.017), 교육 정도(P=0.025), 경제력(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대다수의 일반인들은 안락사에 대한 법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연령과 교육, 경제력이 안락사 시행 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Purpose : Amont the various issues concerning bio-ethics, the concern on euthanasia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us, the general public tends to have more liberal opinion. They have detail research data and real practices in US, Europe and Australia, but we lack such studies in our countr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ddress the need of studies on the recognition of euthanasia among the public because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medical staff. Methods : Survey 413 people the age of 17 or more, from May to July 2000. Testify the data on the variation of demography and the recognition of euthanasia by using SAS 6.12, the statistic program. Results : 304 people (73.6%) think that euthanasia should be legislated, 156 people (37.8%) permit euthanasia to the rage of voluntary one, and 234 people (56.6%) permit passive euthanasia. When the subject of voluntary euthanasia was himself, more people whose age is 35 or more (P=0.001) responded that they will undertake euthanasia. And, on issues related to the passive euthanasia, one's educational background (P=0.046) and economic power (P=0.040) arrang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subject of voluntary euthanasia is other people, more people whose age is 35 or more than 35 (P=0.001), whose sex is male (P=0.001), and married people (P=0.002) were for allowing the matter. For the subject of passive euthanasia, survey participant's occupation (P=0.016) created meaningful difference. More people whose age is 35 or more than 35 responded that they want voluntary euthanasia for themselves (P=0.001), and in the case when euthanasia is legislated, marital status (P=0.002) also shows meaningful difference. Passive euthanasia is permitted by the more people whose age is less than 35 for respondents other people (P=0.001), marital status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case for respondent himself. In the case of legal euthanasia is more people whose age is 35 or more than 35 (P=0.001), sex is male (P=0.004) and more married people (P=0.001) responded that they want voluntary euthanasia for other people. And, age (P=0.002), sex (P=0.001), education (P=0.025) and economic power (P=0.001) show meaningful difference for case the subject of passive euthanasia. Conclusion : Most of general public responded that the legislation on euthanasia is required; and, age, education and economic power seem to have an influence on their decisions on euthanasia. Not only such a study of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orrelation; but, various basic data on the legislation of euthanasia are needed.

      • KCI등재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임상미술치료가 청소년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선현(Sun-Hyun Kim),이해선(Hae Sun Lee),최순주(Soon Joo Choi)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3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임상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청소년에게 적합한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상은 컴퓨터 사용이 익숙하며, 실험에 참여 의사가 있는 전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 10명으로 주 2회 5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뇌파측정은 2회기 전후 실시되었다. 통제집단은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았으며 뇌파 측정도 2회기 전후 실시되었다. 양적 분석으로 우울척도(BDI)검사, 자아존중감척도(SEI)검사, 뇌파 측정(Neuro Harmony)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으로는 사전ㆍ사후 만다라 그리기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통계는 사전 검사결과를 공변인(Covariate)으로 통제한 후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첫째, 임상미술치료 후 실험집단의 우울감소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둘째, 임상미술치료 후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임상미술치료 후 실험집단의 뇌파 변화에서 자기조절지수와 정서지수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using computer graphics on reducing depression and enhanc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how it could influence changes in brain waves. According to results, we aim to prepare a basis for applying clinical art therapy programs using computer graphics which are appropriate for adolescents, to reduce their depression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students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who are familiar with using computers and those who ha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10 students were designated as the experiment group, and 10 others were set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a total of 8 sessions of a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using computer graphics. Each session was 50 minutes long and was held twice a week.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kind of treatment. Brain wave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econd session, while the control group’s brain wave measurement was done without taking any sort of measure. A depression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est, self-esteem inventory(SEI), and brain wave measurement(Neuro Harmony) were performed for quantitative analysis. As for qualitative analysis, Mandala Drawing was done as a pre-test and post-test which results were compare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ession were analyzed. The SPSS WIN 13.0 program wa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ollected data. Before starting the stud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as groups with equal level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brain waves. Pre-test results were controlled as covariates and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done in order to clarify study results. The following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for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using computer graphics on reducing depression of adolescents, it wa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in the experiment group. Second, as for its effects on enhanc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self-esteem after receiving the clinical art therapy and confirmed its effectiveness on self-esteem enhancement. Third, as for the effects on brain wave changes, the clinical art therapy using computer graphics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anging brain waves in adolescents. From these study results, we were able to expand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art therapy using computer graphics as well as the range of treatment media. We were also able to find the diversity of expression. Especially, this study gained significance by performing a scientific investigation using brain wave measurements to present a direction for verify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art therapy. More various types of clinical art therapy programs using computer graphic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by continuing relevant follow-up studies.

      • RFID를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모델 연구

        이선현,김민홍,Lee, Sun-Hyun,Kim, Min-Hong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4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5 No.8

        컴퓨터의 등장으로 메인프레임, PC, 인터넷 시대를 거치면서 국내에 유비쿼터스 (Ubi -quitous) 시대로 소개 된지는 2~3년에 불과하다. 본 논문은 대학 내에 유$cdot$무선 인터넷이 구축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기술인 RFID(Raid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EPC 플랫폼을 이용하여 획기적인 자산관리 시스템의 모델 방안을 제시하고 현재 운영중인 자산관리 시스템의 문제점인 시간, 인력, 비용 낭비와 관리운영 절차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제안하는 자산관리 시스템의 모델을 통하여 현재는 해결할 수는 없는 문제점들을 차세대 IT 분야의 표준화와 규격화 및 상용화가 이루어질 때, 향후 연구 과제로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It is only 2 ~ 3 years in the interior to be introduced as a Ubiquitous era after going through mainframe, PC and internet era on account of the advent of computer. This thesis intends to present a model device of an epoch-making cas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EPC (Electronic Product Code) Platform which are core technologies of the Ubiquitous Computing on the assumption that cable and wireless internet is constructed in university. Also this sets up a purpose to minimize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s well as the waste of time, people and cost which are problems of the cash management system operating now. Therefore as a research project hereafter, it will be able to present an imporvement device about the problems which cannot solve these days through the model of the proposing cash management system when the standardization, norm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advanced IT department are accomplished.

      • 웹 환경의 실시간 일괄처리 성능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선현,Lee, Sun-Hyun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4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5 No.5

        The demands of users have become variety and diversification by the conversion of application to Web environment from C/S(Client/Server) enviroment as well as by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which puts into practie an information technology with the advance of internet basic technology. Therefore if it attempt to satisfy their all demands, the services like a real time batch processing are faced with a difficult obstacle that the limited existing system cannot manage. Finally it is come to a conculsion that the extension of system or the induction of new system is necessar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a ragular tuning and an examination about infra of web environment. This thesis intends to propose about inter- relation and improvement plan as well as considerable facts in case of the introduction of system through the efficiency analysis process of the system. 인터넷 기반 기술의 발전과더불어 정보 기술을 응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따라 C/S(Client/Server) 환경에서 Web 환경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는 다양, 다변화되었다. 이에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다 보면, 실시간 일괄처리 성격의 업무들은 제한된 기존 시스템으로써는 감당하기 어려운 난관에 직면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웹 환경의 인프라에 대해 정기적인 튜닝과 진단을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확장 내지는 새로운 시스템 도입에 결과적으로 도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개선 방안과 시스템 도입 시 고려할 사항, 상관관계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HTML 교수-학습방법의 연구

        김갑수,이선현,Kim, Kap-Su,Lee, Sun-Hyu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0 No.1

        We expected that PBL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e has good effectiveness for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a test was conducted in which a PBL method and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method were applied to an HTML class, and compared the level of educational accomplishment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methods. PBL applied was based on the IMSA model of problem-based learning center. Educational accomplishment was evaluated base d on evaluation of theory and application skills.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oretic learning between the two methods of learning. However, in application skills, the PBL was proved to be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 an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method. Through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PBL has a mor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that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 KCI등재

        국내의 비암성 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를 중심으로

        신진영,윤석준,선현,이언숙,고수진,박진노,Shin, Jinyoung,Yoon, Seok-Joon,Kim, Sun-Hyun,Lee, Eon Sook,Koh, Su-Jin,Park, Jeann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2017년 8월부터 말기 암 이외에도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 환자들에게도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질환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 내용 및 적용 방법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생각, 인식, 태도에 대해 살펴보아, 국내 실정에 맞는 비암성 호스피스 완화의료 진료 모델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반구조적 심층 면담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이다.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는 네 명의 임상 의사가 85편의 문헌 검색을 통해 핵심 질문을 선정하여 총 11명의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에게 면담을 하고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전문가들은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를 정의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와 내용은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하였지만, 통증보다는 다른 신체 증상과 정서적 문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말기라고 진단할 수 있는 시점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질환 별로 특수한 점들(AIDS 환자들의 항바이러스제 사용, COPD 환자들의 호흡곤란, LC 환자들의 간이식)과 의료진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 시 환자들이 자신을 포기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고 정부의 재정 지원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결론: 비암성 질환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입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에 대한 정의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암성 말기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진과 현재 말기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의 협력이 필요하다. Purpose: From August 2017, hospice-palliative care (HPC) will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liver cirrhosis in Korea. To contribute to building a non-cancer (NC) hospice-palliative care model, NC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 goals, details, and provision methods of the model. Methods: Four physicians specializing in HPC of cancer patients formulat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questions extracted from literature review of 85 articles on NC HPC. Eleven NC disease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Results: The interviewees said as follows: It is difficult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HPC for cancer patients and that for NC patients share similar goals and content. Howev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alleviating other physical symptoms and emotional care rather than pain control. Timing of the care provision should be when patients are diagnosed as "end stage". Special issues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NC disease (e.g., use of anti-retroviral drugs for AIDS patients, oxygen supply for COPD patients suffering from dyspnea, liver transplantation for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healthcare professionals. NC patients tend to negatively perceive HPC, and the government's financial assistance is insuffici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through in-depth discussion to minimize issues that will likely accompany the expansion of care recipients. This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medical staff caring for NC patients and HPC givers for cancer patients.

      • KCI등재

        AI 스피커의 시각적 피드백 제시가 청년 및 중·장년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승철(Seung Chul Lee),선현(Sun Hyun Moon),노수림(Soo Rim Noh)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3

        인공지능(AI) 스피커는 스마트홈 구축과 다양한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기능으로 많은 사용자가 있으나, 만족도는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만족도의 저하는 기기에 대한 지속사용의도를 감소시켜 사용자들이 더 이상 기기를 사용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AI 스피커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 61명(21~39세)과 중·장년 61명(42~62세)을 대상으로 시각적 피드백 제공이 AI 스피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정서경험과 호감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AI 스피커와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 대화가 단절되는 경우의 영상을 촬영하여 절반의 참가자들에게는 촬영한 영상을 그대로 제공하고(통제집단), 나머지 절반의 참가자들은 촬영한 영상 내 상황과 관련된 아이콘을 AI 스피커 전면부에 합성하여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하였다(실험집단). 분석 결과, 중·장년 집단에서는 시각적 피드백 제시가 긍정적인 정서경험과 호감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지속사용의도를 증가시키는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청년에서는 정서경험과 호감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AI 스피커와 대화가 단절되는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 제공이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연령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중·장년 사용자들에게는 AI 스피커와 대화 단절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기기의 지속적인 사용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s are widely used in smart home environments, but user satisfaction is low, which can discourage us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device. To address this, researchers have suggested adding visual feedback to AI speake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AI speaker usage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product attitude in younger and middle-aged adults. Videos of AI speaker disconnection situations were filmed,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shown the videos (control group). The other half watched videos with visual feedback where context-related icons were added to the AI speakers (experimental group). For middle-aged group showed that visual feedback increase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which in turn increased attitude toward the AI speaker, ultimately leading to great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However, in younger participants, emotional experience and product attitud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eedback and usage inten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influence of visual feedback on usage intention in user-AI speaker disconnection situations is depends on age, whereby visual feedback is especially efficacious for augmenting the usage intention of middle-aged AI speaker.

      • RBAC 기반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

        원재강(Jae-Kang Won),이선현(Sun-Hyun Lee),정관희(Kwan-Hee Chung),김광훈(Kwang-Ho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기술과 기업과 정부의 다양한 조직 체계를 반영하고 워크플로우의 현실적/효율적 운영관리 및 정보 보안을 위해 적합한 접근제어 모델인 역할기반 접근제어(RBAC : Role Based Access Control)를 이용한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RBAC 기반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은 워크플로우 시스템에 다양한 접근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워크플로우와 역할기반 접근제어 기술을 접목한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은 기업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정보 보안 분야에 있어 정보 보안성 증대 및 정보보안정책을 구현하는데 유연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