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상 간호사의 역할과 부담과 기본간호 술 수행 시의 무균술 이행의 관계

        이선옥 ( Sun Ok Lee ),박경연 ( Kyung Yeon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본 연구는 2차 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역할과부담 정도와 기본간호술의 무균술 이행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병원감염 률 감소를 위한 임상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들의 역할과부담은 9.85접으로 5점 만점에서 3.28점인 것으로 나타나 중정도 이상의 역할과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같은 도구를 이 용하여 간호사들의 역할과부담을 측정한 Lee 등(2002)의 연구 결과인 3.41점보다 조금 낮았는데, 이는 본 연구는 2차 병원 간 호사만을 대상으로 한데 반해 Lee 등(2002)의 연구는 3차 병원이 포함되어 연구 대상 병원별 업무의 특성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 대상지들의 병원감염과 관련된 기본간호술 이행 시의 무균술 이행 정도는 유치도뇨관 삽입 시가 42.72점으로 5점 만점으로 4.27점9로 나타나 Lee와 Kim (2002)이 중환자실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병원감염 예방에 대한 유치도뇨관 관리 의 수행도 3.61/5점이나 응급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Park, Shin, Lee와 Kim (2008)의 4.01점보다 높은 것이다. Lee와 Kim (2002)의 연구 및 Park 등(2008)의 연구는 유치도뇨관 삽입 이후의 관리가 조사내용의 주를 이루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도뇨관 삽입절차 중의 간호사들의 무균술 이행정도를 조사한 것임을 생각할 때 삽입 절차 중의 무균술 이행이 삽입 후 관리 에서의 무균술 이행보다 더 잘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수액주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정도는 40.11점으로 5점 만점에서 3.65점인 것으로 나타나,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 관리 중 투약관리 영역이 4.4/5점(Kim & Chun, 2002)이었던 선행연구보다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선행연구에서 기본간 호술 이행 중의 무균술 이행을 측정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고 대 병원감염관련 무균술 연구는 유치 후의 관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단순 비교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 결 과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감염관리에 대한 선행 보고 는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도 조사(Choi & Park, 2002; Kim & Chun, 2002), 감염관리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업무,(Oh & Yi, 2005) 등 감염관리 전반에 대한 젓이 주를 이루어 간호술을 포함한 의료숨기 개별 행위절치마다의 무균적용에 대한 평가와 검토는 간과된 측면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들 부분은 의료인의 양심에 따른 것으로 치부하고 있었으나 잘못 인지하고 있는 것은 없는지, 인지하고 있는 것을 정 확하게 이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연구보고를 통해 더 구체적 인 감염불이행의 영역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병원감염률감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젓이라고 본다.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감염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시숨을 분명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는(Hallett,2000)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본다.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의 주요 원인의 하나가 도뇨관 삽입 절차 중의 무균술 불이행이며 도뇨관 삽입의 대부분이 간호 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Bissett,2005) 기본간호술 이행 중에 발생하는 오염발생에 대한추후반복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대상자들의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밤 근무 유무, 근무장 소,직위별로는 역할과부담 및 무균술 이행수준 모두에서 유의 한 차이기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감염예방에 대한 수 행도에서 연령, 결흔상태,교육정도, 직위에서 유의한 차이기 없었다는 Lee와 Kim (2002)의 연구와는 같은 결과를 보인 젓 이지만 연령이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36세 이 상,10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관리에 대한 중요 성을 피력하고 있는 Park 등(2008)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추후 반복연구를 통해 재규명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역할과부담 및 무균술 이행수준 측정 도구가 낮은 Cronbach`s alpha 값을 보이고 있으므로 결과의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역할과부단과 기본간호술 이행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술 이행수준과 수액주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수준 모두가 역할과부담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급실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이행이 업무의 많고 적음과는 관계가 없었다는 Park 등(2008)의 결과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표준화된 투약지침의 불이행은 간호사의 과 중한 업무량 등에서 초래될 수 있다는 Santell, Hicks, McMee-kin과 Cousins (2003)의 보고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는 Santell 등(2003)의 연구에서 표준화된 투약지침은 투약을 위 한 five right과 전반적 절차 모두에 중점을 두어 시간적 소요가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간호술의 전제 절차 중 감염관련 부분 만을 측정한 결과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역할과부담이 손씻기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던 Lee와 Kim (2002)의 연구 결과와도 차이가 나는 것인데 이는 손씻기가 본래의 간호 업무 수행의 전과 후에 시행되는, 추기되는 행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호시간이 추가되는 것인데 반해 유치도뇨관 삽입이나 수 액요법을 위한 정맥관 삽입에 따른 절차 중의 무균술 적용은 본래의 간호업무 그 자체 절차 중의 하나로 유치도뇨관 혹은 정맥 관을 삽입 시 무균술 적용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기보다 는 간호사가 의식을 집중하는 주의의무를 요구하는 측면이기 때 문이라 생각된다. 즉, 역할과부담에서 가지는 시간적 제약이나 업무부담감 등을 직접적으로 요구하지는 않는데서 기인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로써 오히려 전제 절치 중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간호술기 수행은 별도의 인력 보충없이 개개인의 노력으로 실천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각 변수별 상관관계에서는 유지도뇨관 삽입 시의 무균술이 행수준이 높을수콕 수액주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 수준이 높아유치도뇨관삽입시 무균술 이행수준과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수준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두 가지 술기 모두 기본적인 무균개념에 바탕을 둔 것이기 때문에 나타난 자연스런 결과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무균이행 정도를 자가보고형 설물으로 조사한 것이라는 제한점이 있어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병원감염 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구체 적인 간호술기 과정 중의 멸균 이행정도를 조사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보며 이러한 병원감염원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병원감염 관리 전략개밥의 기초자료로 활용됨 수 있을 젓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load and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by clinical nurses, and to decrease the incidence rate of nosocomial infection. Methods: Participants (N=283) were recruited in B city from April to June 2007.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Nursing workload was rated 9.85 out of a total score of 15. The level of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as the basis for insertion of a Foley catheter was 42.72 out of a total score of 50, and as basis for insertion of intravenous catheter for fluid therapy was 40.11 out of a total score of 55.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and nursing workloa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in insertion of Foley catheter and that of intra-venous catheter for fluid therapy (r=.279, p<.00l). Conclusions: Attention to asepsis by nurses is crucial in nosocomial infection-related clinical nursing skil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말이 연 세계, 말을 통한 성찰 ― 《마챠오사전》의 사전체 형식이 담은 의미

        이선옥 ( Lee Sun-o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4 No.-

        이 논문은 한사오궁의 《마챠오사전》이 사전체 형식을 취함으로써 담게 되는 의미를 밝히고 있다. 한사오궁의 문학은 지청의 경험을 근원경험으로 하여 새로운 창작실험과 사상적 모색을 진행하였으며, 《마챠오사전》은 그 집대성이다. 《마챠오사전》은 작가가 지청시기 수집한 방언을 출발로 하고, 언어를 떠나서는 세계를 인식할 수 없다는 언어관에 기초하여 구상되었다. 그리하여 말을 주인공으로 하는 이 작품은 개별적인 개인이 아니라 집단의식을 펼쳐보이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사전편찬자로서의 화자를 창조함으로써 작가에게 자유로운 글쓰기의 공간을 확보하였으며, 작가는 마챠오의 말을 통하여 자신의 세계를 반성 성찰하게 되었다. 本文揭示了韓少功的 《馬橋詞典》以詞典體小說形式所取得的涵義。首先, 韓少功的文學是以知靑經驗作爲一種源泉體驗的, 他的文學題材不脫離農村和知靑這兩點。這意味着, 雖然他在創作試驗的創新和思想內容的深化上取得了進一步的成功, 這還是一個以知靑經驗爲中心的進步。其次, 《馬橋詞典》是以語言爲主角的作品。?是基於他揷隊落戶時搜集的方言開始的, 再加上在 “人不可能離開語言去思考與感受這個世界”這樣的語言觀念的基礎上構想出來的。因此, 這部作品裏被語言所引出來的馬橋人物不是貼在限定的時空上的個體, 而是集體意識的代表。作家把馬橋詞條當作一種門來展開了使用那些詞的馬橋人的生活方式、思維習慣和情緖感情幷且創造出??如生的馬橋人物。第三, 詞典體形式給了作家一個自由寫作的空間。作品的敍述者可以有兩個, 一個是敍述馬橋故事的經歷過知靑生活的 ‘我’, ?一個是編纂這本詞典的編纂者。作家作爲詞典編纂者的身分獲得了自由寫作的空間。站在馬橋方言和作家所依賴的普通話的錯譯上的時候, 作家可以在?硬的普通話世界上做了一些縫裂幷把?放在相對世界上。

      • KCI등재

        수요방정식 시스템의 이론과 실제: 한국 일본 중국과의 비교

        이선옥 ( Sun Ok Lee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1

        신고전학파 수요이론을 인용하면 소비자는 총지출로 구입한 상품들을 사용함으로서 효용을 극대화시키며, 그 수요량은 상품들의 가격과 총지출의 수준에 영향을 받는다. 이 수요방정식은 수요의 성질에 의해 제한을 받고 총지출과 가격에 의해 결정되어지는데 이것을 수요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일본 중국의 가계조사로 수요시스템을 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요시스템은 이론적 수요의 성질, 즉 가산성 동차성 그리고 대칭성을 만족시킨다. 이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실패했지만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소비자수요 이론으로 수요방정식을 추정하였으므로 대체로 이론적으로 만족스러웠고 미래의 수요변화예측의 가능성도 있다. 수요이론을 검정하는 과정에서 총가격탄력성과 총지출탄력성을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요패턴의 분석과정에서 세 나라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이 발견되었다. 삼국의 차이는 경제성장단계, 소득수준, 주택 자가률, 내구소비재 보급률, 소비에 관한 관습, 문화와 제도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수요모델로 수요성질의 이론과 실제를 검정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Neo-classical demand theory says that individual consumer maximizes his and her satisfaction or utility from commodities consumed at given income or total expenditure and quantities demanded depend on the prices of commodities and the level of total expenditure, ceteris paribus(other things equ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est the sound demand system with Korean Japanese and Chinese statistics extensively. Specifically, the complete system of demand satisfies the theoretical restrictions, which are adding-up, homogeneity and symmetry. Empirical validity was failed, which is not meaningless. As a by-product total price elasticities and total expenditure elasticities give us the insight of the demand behaviour. The conclusion was allowed us to test a alternative demand model.

      • KCI등재
      • KCI등재

        향기흡입법이 제왕절개술 산모의 주관적 수면의 질, 상태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선옥(Lee, Sun Ok),황진희(Hwang, Jin Hee) 기본간호학회 2011 기본간호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of mothers who underwent a Cesarean section delivery.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based upon data acquired through a pre-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n=33) was given general obstetric nursing care plus dry inhalation method using lavender essential oil, in which each mother put one drop on a tissue and breathe near it for 5 minutes before going to bed. Then they put 1~2 drops on their pillow for 6 nights. The control group (n=34) was only given general obstetric nursing car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or measures of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by self-report. χ<SUP>2</SUP>-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with SPSS/Win1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p<.001), state anxiety (p=.049) and depression (p=.029).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roma inhalation method can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sleep and decrease anxiety and depression in postpartum mothers suffering from stress related to a Cesarean section delivery.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 자료 읽기와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성 모색

        이선옥(Lee Sun-Ok)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Academic writing can be defined as a writing for a member of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to produce intellectual discourse. And writing is unavoidably related to reading.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method to incorporate it with writing education.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has covered various areas with vague definition. There is no doubt that curriculum of writing education necessarily includes creative writing, critical writing, political writing, and explanatory writing. But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as one part of general education, the focus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should be signifying practice through writing as social practice. In this sense, the critical writing would be a core in academic writing that presents compelling arguments with potent reasoning. The points of my argument that reading education should be a key part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are; Firstly, the reading education allows to have holistic understanding on the context, which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iscourse production as social practice; secondly, reading is important to get writing materials. To use reliable data and to make logical quotation are key factors of critical writing; thirdly, reading becomes more important for critical adaptation and acceptance in the new reading environment, created by internet. I also suggest a incorporative education method of writing with reading as the central part. It is a pilot program that will be developed into a lecture model.

      • KCI등재

        여성 리더십 함양을 위한 토론수업 모형 연구

        이선옥(Lee Sun-o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2

        여성 리더십은 협동적ㆍ수평적 조직 운영을 중시하며, 양적 성장보다 질적 과정을, 권위적 통제보다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존중한다. 이러한 여성 리더십을 갖추기 위한 교과과정으로 토론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았으며, 토론교육을 통해 논리적 텍스트 구성력을 신장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논리적 텍스트 구성력은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민주적으로 할 수 있는 논리적 설득 능력을 키우게 되며, 수평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학에서의 여성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토론교육이 주요하게 부각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1차적으로 논리성을 키우는 토론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 중심을 두었지만 앞으로 여성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토론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논제 개발이나 토론모형의 다양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importance of debate-based classes as a women's leadership course. Women's leadership emphasizes cooperative and horizontal management of organization, and also respects qualitative and reasonable decision making process, rather than quantitative growth and authoritative control. Therefore, this article introduces a class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to construct a logical text. The ability to construct a logical text, this paper argues, is essential for logical persuasion and ultimately for horizontal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While presenting a class debate model is a primary object of this current stud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women's leadership program, more discussion topics and various debate models must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문학 번역에 있어서 작품 구조 분석의 의의 ― 『마교사전』을 중심으로

        이선옥 ( Lee Sun-ok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1 No.-

        본 논문은 韓少功의 『馬橋詞典』을 번역한 『마교사전』(심규호, 유소영 역, 서울: 민음사, 2007)을 대상으로 하여 문학번역에 있어서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문학적 안목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번역본을 읽을 때에 부분적인 흥미를 느낄 수는 있지만, 전체적인 이야기의 전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작품을 통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알아내기가 쉽지 않은데, 그 이유가 번역가가 작품의 구조를 충분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번역본에 드러나는 작품 구조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번역본은 이 소설이 사전체소설의 형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의 문학적 의의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소설의 외형을 사전의 형식으로 처리하지 않고 있으며, 표제어를 표제어답게 번역하지 않아 이 소설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중심지표로서의 표제어의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하였으며, 표제어가 소설 본문 속에 재등장할 때에 동일한 번역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역시 표제어 재등장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둘째, 소설에서 화자와 시점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번역본은 이야기에만 주의하고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의 존재에 주의하지 않아 시제 파악, 이야기의 시간적 배경, 사건의 전개 과정을 잘못 파악하고 있다. 셋째, 장면과 요약이라는 소설의 서술방식의 사용에 주의하지 않고 있다. 번역본은 원텍스트의 모든 대화를 직접화법으로 바꾸고, 원텍스트의 단락을 자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작가의 장면과 요약에 따른 서술방법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suppose that literary perspective is important as well as language ability in literary translation by examining the novel 마교사전, that was translated by 심규호 유소영 from 馬橋詞典 of Han Shao-gong. While reading a translation may be of partial interes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volution of the whole story and it is not easy to find out what the writer was trying to express through the work, because the translator seems to have failed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work. An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work revealed in the transl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translator is not fully aware of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novel`s using the form of a dictionary. Thus, it does not take an appearance of the novel in the form of a dictionary, and does not translate the headwords as a headword―-bringing the headwords not playing a enough roles as a central index. In addition, the headwords can`t play their roles also in reappearing in the novel text with non-same translators. Second, the translator ignores the importance of the speaker and viewpoint. The translation pay attention to the story only and do not pay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the narrator who communicates the story, so that it has failed to grasp the understanding of the tense, the time of the story, and the progress of the story. Third, it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use of narrative methods of novels such as scenes and summaries. The translation does not convey the writer`s thoughts according to the scene and summary by changing all conversations of the original text into direct speech and changing the paragraph of the original text freely and arbitrar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