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선 Ad - 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대체 경로를 이용한 데이터 손실 감소 기법

        이상림(Sang Rim Lee),김인숙(In-suk Kim),김문정(Moon Jeong Kim),엄영익(Young Ik Eom)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최근 이동성을 가진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Ad-hoc Network)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크게 테이블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요구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그리고 혼합형 라우팅 프로토콜로 구분된다. 특히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요구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상에서 한 노드에 여러 데이터가 한꺼번에 집중될 경우 데이터 집중화 현상으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대체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줄이는 라우팅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 기법은 향후 데이터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네트워크에 응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인간 단뇌 세포에서 분화된 신경줄기세포를 이용한 백서의 척수 재생

        상림(Sang-Rim Kim),정광훈(Kwang Hoon Chung),이광복(Kwang-B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목적: 인간 단뇌에서 분화된 신경 줄기세포의 척수 재생에 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br/> ??대상 및 방법: 생후 8주의 암컷 백서(n=20, 171-237 g)에게 척수 손상 모델 중 완전 절단(transection model)을 선택한 후 척수의 자가 재생(spontaneous healing)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막(0.2×0.1×0.3 ㎝)을 삽입하여 1차 수술하였다. 대조군(n=6)은 2차 수술 시 삽입된 플라스틱 막을 제거 후 media만 삽입하였고, 실험군 (n=14)은 media와 신경줄기세포(l×10?)를 이식한 후, 5주째 척수 손상 부위를 얻어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신경세포의 재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2차 수술 후 1주째부터 1주 간격으로 5주째까지 BBB (Basso-Beanie-Bresnahan) locomotor scale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br/> ??결과: 면역조직화학 염색 상 대조군은 신경세포의 재생은 없었고, 실험군에서 이식한 인간 신경줄기세포의 생존 및 신경원세포와 성상세포로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BBB locomotor scale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회복을 보였고, 술 후 2주에서 3주째까지 점수가 상승되다가, 술 후 3주째부터는 큰 변화는 없었다.<br/> ??결론: 인간 줄기세포를 이용한 백서의 척수 재생 정도는, 이식된 신경줄기세포의 생존 및 신경원 세포나 성상 세포로 분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적으로는 어느 정도 근력 회복을 보이나 기능적 수준의 회복은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neural stem cells differentiated from a human telencephalon on the neural regeneration in the severed spinal cord. Materials and Methods: The 1<SUP>st</SUP> surgery involving the insertion of plastic membrane in the transected cord was performed to prevent spontaneous healing of adult female rats (n=20, 171-237 g) with a complete spinal cord transection. The media was inserted only after removing the previously inserted plastic membrane in the control group (n=6). In the experimental group (n=14), media and neural stem cell (1×) were transplanted after removing the membran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erfused transcardially 5 weeks after the 2<SUP>nd</SUP> surgery, and the level of neural cell regeneration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behavioral analysis, the Basso-Beatie-Bresnahan (BBB) scores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weekly from immediately after the injury until 5 weeks post-injury after the 2<SUP>nd</SUP> surgery. Results: Immunohistochemical stain revealed no neural regeneration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survival of transplanted human neural stem cells and remarkable neural regeneration (differentiate to neuron and astrocyte)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BBB locomotor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recovery in terms of control; and the score increased from postoperative 2 weeks to 3 weeks, and reached a plateau from 3 weeks to 5 weeks. Conclusion: The effect of neural stem cells differentiated from human telencephalon on cord regeneration does not produce functional recovery in the BBB locomotor scale, but there is slight recovery of the muscle function. The survival of transplanted human neural stem cells an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to neurons or astrocytes were observed.

      • KCI등재

        표층 팽창형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

        이상림(Sang Rim Lee),이호원(Ho Won Lee),박종민(Jong Min Park),진성호(Sung Ho Jin),김홍(Hong Kim),정인호(In Ho Jeong),김영배(Young Bae Kim),김장희(Jang Hee Kim),조용관(Young Kwan Cho),한상욱(Sang Uk Han) 대한외과학회 2008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5 No.1

        Purpose: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SSE) has unique features such as its growth pattern and histologic aggressiveness. But its incidence rate is very low, so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SSE are not well know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gastric cancer and we propose an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y with the proper treatment modality.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894 surgically resected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was defined as a lesion more than 20 cm2. The demographic features and histopathologica l featur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hospital records. The survival rate was analyzed by the Kaplan-Meier method and the other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For the superficial and common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s of submucosal layer invasion, the histologic types and differentiation and the tumor location. But the ratio of lymph node metastas 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re were some differences concerning the operative methods between the groups. For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the portion of total gastrectomy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mmon type.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tumor and the proximal resection margin was shorter for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than that for the common type (3.78±2.79 cm vs 5.58±2.79 cm, respectively). The 5 year survival rate and the recurrence rate between the two typ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Because of the higher rate of lymph node metastasis and the higher rate of an indistinct tumor margin, wide resection with adequate lymph node dissection (D1+β or more) seems to be a proper operative method for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 New Beamforming Schemes with Optimum Receive Combining for Multiuser MIMO Downlink Channels

        이상림,박석환,문성현,이인규,Lee, Sang-Rim,Park, Seok-Hwan,Moon, Sung-Hyun,Lee, In-Kyu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0 No.4

        본 논문에서 우리는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하향링크 통신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빕 형성 기법을 제시한다. 최근 block-diagonalization (BD) 알고리즘이 기지국과 각 사용자들이 다중 안테나는 가지는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하향링크를 위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BD 알고리즘은 유저당 제공되는 스트림의 개수가 수신기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효율적이지 않다. BD 방법이 수신단의 결합을 고려하지 않고 채널 행렬에 기반한 space를 활용하기 때문에, 빔 형성을 위한 자유도는 수신측에서 전부 얻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모든 사용자간의 간섭이 0이 되는 zero forcing (ZF) 조건 하에 수신 빔 형성 벡터를 최적화 한다. 우리는 반복적인 과정에 의해 최적 수신 벡터를 찾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수신 결합 벡터를 위해 전방향 정보인 두 phase 값을 요구한다. 또한, 우리는 일반적인 복소 단위 행렬의 분해를 이용하여 단지 한 phase 값만 필요한 또 다른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에러 확률 관점에서 제안된 빔 형성 기법이 기존 BD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낫고 기지국에서 자유도를 이용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증가를 획듬함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beamforming scheme for a downlink of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s. Recently, a block-diagonalization (BD) algorithm has been proposed for the multiuser MIMO downlink where both a base station and each user have multiple antennas. However, the BD algorithm is not efficient when the number of supported streams per user is smaller than that of receive antennas. Since the BD method utilizes the space based on the channel matrix without considering the receive combining, the degree of freedom for beamforming cannot be fully exploited at the transmitter. In this paper, we optimize the receive beamforming vector under a zero forcing (ZF) constraint, where all inter-user interference is driven to zero.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to find the optimum receive vector by an iterative procedure. The proposed algorithm requires two phase values feedforward information for the receive combining vector. Also, we present another algorithm which needs only one phase value by using a decomposition of the complex general unitary matrix.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beamforming scheme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BD algorithm in terms of error probability and obtains the diversity enhancement by utilizing the degree of freedom at the base station.

      • 위암에서 복강경보조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및 비장합병절제술 좌위동맥의 보존 증례 보고

        이상림,박종민,한상욱,조용관,Lee, Sang-Rim,Park, Jong-Min,Han, Sang-Uk,Cho, Young-Kwa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Usually in the subtotal gastrectomy, the left and the right gastric arteries, as well as the left and the right gastroepiploic arteries are ligated. Thus, to avoid a blue stomach surgeons preserve the spleen and the short gastric arteries. When a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with splenectomy is performed, meticulous caution is necessary; otherwise, the subtotal gastrectomy might have to be changed to a total gastrectomy to prevent a blue stomach. We report the case of a 67-year-old woman who had distal stomach cancer with a splenic solitary mass, for which splenic meatastasis could be excluded. We planned and performed a laparoscopy-assisted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with splenectomy as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option. In this case, to avoid a remnant stomach infarction or total gastrectomy we saved the left gastric artery and vein with clearing perivascular soft tissue, lymphatics, and lymph nodes. Thus the radical therapeutic goal was reached, and serious complications were avoided. 원위부 위암으로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할 때는 잔위의 경색을 방지하기 위해 비장을 보존하여 단위동맥으로 하여금 잔위의 혈액공급을 할 수 있게 한다. 위아전절제술을 하던 중 비장손상을 받아 지혈을 위해 계획에 없던 비장절제술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blue stomach을 방지하기 위해 종종 위전절제술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본원에서는 2개월간의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한 67세 여자환자가, 내시경상 원위부 위암의 소견과 함께 술 전 복부 CT에서 비장의 전이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없는 1.5 cm 크기의 혈관종 의증 소견이 보여 확진을 위한 검사 및 치료의 목적으로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및 비장절제술을 계획하였으며 복강경보조로 좌위동맥과 정맥을 보존하면서 림프절 곽청을 포함한 근치적 위아전절제 및 비장 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후 잔위 경색을 비롯한 합병증 없이 만족스러운 경과를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비장의 종양은 림프관종이었다. 병기는 T1 (sm1) N0 (0/26) M0으로 1aI기로,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 KCI등재

        목포지역의 경제적 특성에 따른 보험제도의 효과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이상림(Sang Rim Lee),박송춘(Song Choon Park) 한국국제회계학회 2004 국제회계연구 Vol.11 No.-

        최근 들어 국민 대다수의 경제적 안정을 위협하는 위험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동시다발적인 양상을 띠어감에 따라 국민 개개인이 직면하게 되는 경제적 불안 요인의 파악을 통해 평생에 걸친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특히 독특한 경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특정지역의 주민이 직면하게 되는 경제적 불안정의 모습은 경제적 특성이 서로 상이한 지역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될 것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특성과 관련하여 지역주민이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 불안정의 양상을 파악하고 사회보험과 민영보험을 포괄하는 보험제도를 통하여 지역주민이 강구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경제적 불안정 해소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목포지역의 경제적 특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결과 목포지역주민은 1차 및 3차 산업의 비중이 매우 높은 취약한 산업구조와 함께 대부분 10명 미만의 종업원을 가진 지역 사업체의 영세성으로 말미암아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정규부문에 의한 불안정한 고용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 목포지역의 주민은 노후생활대책 등과 같은 장기적인 측면의 경제적 불안정 요인보다는 자신과 가족의 건강, 물가ㆍ경기와 같은 매일의 경제상황, 그리고 자녀교육비 등과 같은 단기적인 경제적 불안정 요인에 대해서 더 큰 우려를 나타냈다. 그리고 목포지역의 주민은 경제적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적연금과 함께 생명보험을 모두 활용하고 있었으나, 가입건수ㆍ가입률ㆍ가입형태ㆍ가입금액등과 같은 측면에서 충분한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지역경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주민이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 불안정을 체계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첫째, 사회보험제도가 적용대상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보다 단기적이고 현실적인 경제적 불안 요인의 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보험과 민영보험을 모두 포함하는 체계적인 보험보장을 위해서는 사회보험제도와 민영보험제도를 연계하는 「제도적 협력관계(PPP)」의 운영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In a rapidly changing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neither the government nor the market can provide sufficient social security for the informal sector workers of the local and rural areas. And because of vulnerable industry structure and the large proportion of small business enterprise such as self-employed, casual and home workers, informal sector workers constitute a large and increasing part of the labour force in Mokpo area.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many of them more worry about their daily practical and urgent concerns such as expenses for health and education, etc., rather than the social insurance benefits which do not meet their priority need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of the specific situation in Mokpo area for the institutional re-design of a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is paper also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a public-private partnership(PPP) which could act as complement to and substitutes for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