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리산국립공원 탐방객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이민하(Min-Ha Lee),한상열(Sang-Yoel Han),권헌교(Heon-Gyo Kwon),김통일(Tong-Il Kim) 한국산림휴양학회 2009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 이 자발적으로 환경을 보전하며, 갈등주체 간의 관계개선과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을 발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전국파급효과는 생산파급액은 2,770억원, 소득파급액 309억원, 부가가치 파급액 991억원, 고용파급 3,103명으로 나타났으며, 도내 파급효과는 생산파급액은 1,343억원, 소득파급액은 687억원, 부가가치 파급액은 556억원, 고용파급 2,304명으로 나타났으며, 지리산국립공원 인근지역 파급효과는 생산파급 929억원, 소득파급 146억원, 부가가치 파급은 457억원, 고용파급 1,514명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estimating the ripple effects on the reginonal economy of Jirisan National Park using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because of giving the justifiability of nature conservation policy, understanding stake holders, role and function of Nation Park. The results of the study in National Park area, indicate that in the year visitors’ expenditures to Jirisan National Park generated output impact of 930 billion won, income impact of 146 billion won, value-added impact of 458 billion won, and employment impact of 1,515 full-time equivalent gobs. In Jeolla, indicate output impact of 1,344 billion won, income impact of 221 billion won, value-added impact of 672 billion won, and employment impact of 2,292 full-time equivalent gobs, and In the nation, indicate output impact of 2,770 billion won, income impact of 309 billion won, value-added impact of 991 billion won, and employment impact of 3,104 full-time equivalent gobs.

      • KCI등재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민하(Lee, Min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8 No.-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의 지향점으로 기초학습능력 뿐 아니라 사회성과 인성을 모두 포괄하는 통합적 역량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역량 교육의 이상을 실행할 수 있는 실천 전략으로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은 일상의 여러 문제들을 학생들이 직접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과 기술 뿐 아니라, 타인에 대한 배려와 대인관계 등 인지적, 비인지적 영역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므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함양하는데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C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99명을 대상으로 디자인사고 기반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강의 기반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인 공감능력, 협업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학습효과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강의 기반 수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같은 결과는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역량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될 수 있으며, 앞으로 미래지향적인 교육 개선을 위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integrative competency education that encompasses both social skills and personality as well as basic learning capacities as a goal to foster future talent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design thinking-based course as an appropriate strategy for implementing competency education. Design thinking-based course is expected to be a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society, because it is devis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about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areas, such as knowledge and technology as well as consideration of othe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various problems of daily life.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two student groups to examine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course on competency buil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9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C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47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were taking a design thinking-based course, while 52 students of control group were taking a traditional lecture-based course. In this study, the learning effect on empathy ability, collabora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ore competenc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s results of the study, the design thinking-based cour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areas, where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not observed in the lecture-based course. The results suggest that design thinking-based course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competency education and can be a meaningful source for future-oriented education reforms.

      • KCI등재

        공학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미술 기반 융합교양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하 ( Lee Minha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창조경제’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단어로 자리 잡으면서 창의성은 경제, 사회를 주도해 나갈 필수 요건으로 주목받고 있고,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중 최근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천 전략으로 가장 적극적으로 조명되고 있는 것은 융합교육으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안을 도출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편,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던 혁신적인 기술이 하루가 멀다 하고 등장하는 공학 분야의 인재 양성은 미래 경쟁력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과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연계와 융합으로 정의되는 첨단기술의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공학도를 위한 융합교육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그간 우리나라의 공학교육은 전공에 편중된 교육과정과 단선적인 강의 방식으로 첨단 공학의 트렌드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 왔으며, 이에 최근 융합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교육 개혁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공학교육 분야에서 융합교육 관련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로, 교육 현장에서 융합교육의 구체적 운영방안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 수업의 설계 및 진행방식을 공유하고, 향후 융합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사례는 미술 기반 융합교육 수업으로, 시각적 체험과 통찰을 통해 공학 분야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수업효과에 대한 수강생 설문조사 결과, 융합교육 수업은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공학도의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creativit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key factors to drive the future society and economy, the interest in curriculum and pedagogy to foster creativity has recently been increased. Accordingly, convergence education, which aims to enhance the capac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solve problems, has been highlighted as a suitable strategy to improve creativity. Meanwhile, in the high paced high-tech sector, where new products and technologies are emerging rapidly, creativity to solve a problem or to design a novel artifact is essential for future competitiveness. However, although it is critical to educate engineers to be creative thinkers and problem solvers, fostering creativity has not been a priority in engineering education. Despite the recent efforts toward embracing creativity in college education, progress has not been significant in college engineering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a recent practice in engineering education with regard to convergence education opportunities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skills. To do this, this study introduced a convergence education course, designed for engineering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creative thinking skills by using art-based learning experiences. Throughout the cours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problem solving practices that encouraged them to wonder, discover, and innovate. Students survey results showed that convergence education was foun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creativity, especially those related to con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 KCI등재

        도로연장에 대한 반등효과 분석-서울, 부산, 대구, 인천을 중심으로-

        이민하 ( Min Ha Lee ),조용성 ( Yongsung Cho )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2017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2000~2013년까지 14년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4개 대도시에 대한 총 주행거리, 도로연장길이, 대중교통 이용객수, 지역내총생산, 지역인구, 석유류 소비량에 대한 횡단시계열자료를 활용하여 도로연장에 대한 반등효과가 우리나라에도 적용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혼합효과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도로연장은 총 주행거리와 동반상승관계에 있는 반면, 대중교통 이용량은 총 주행거리와 역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로연장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관리형 교통정책이 도시 광역화로 자가운전의 편의성을 직접적으로 증진시키거나, “걷기 힘든” 환경조성을 통해 자가운전 외 교통수단 이용의 편의성을 절감시킴으로써 추가적인 도로 이용을 유인함을 뜻한다. 즉, 교통혼잡 및 정체 개선을 위해서는 현재의 도로연장 중심의 정책보다는 대중교통의 편의성 증진을 골자로 하는 교통수요관리 정책에 맞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existence of rebound effect from road extension in Korea has been quantitatively verified using cross-sectional, time series data on four major cities - Seoul, Busan, Daegue and Incheon - between 2000 and 2013. The linear mixed effects model was constructed from six variables: total vehicle miles traveled(VMT), road extension, public transport users,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GRDP), regional population and fuel consumption.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VMT is positively correlated to road extension while negatively with public transport users. It indicates that the road extension-centered “supply-side” transportation policy induces “additional travel” and create “generated traffic” by enhancing driving efficiencies directly, or degrading other transport modes indirectly. Hence, the ultimate goal of road congestion reduction requires public transport-centered “demand management” rather than current supply-side policies.

      • KCI등재

        브랜드커뮤니티 경험가치가 브랜드만족, 브랜드신뢰, 브랜드 공동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방탄소년단과 아미를 중심으로

        이민하(Minh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브랜드커뮤니티는 브랜드에 대한 열정을 갖고 브랜드 가치 향상에 동참하는 소비자 집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 성공을 거두고 있는 방탄소년단의 팬 커뮤니티 ‘아미’를 대상으로 브랜드 커뮤니티 경험이 브랜드 만족과 신뢰, 브랜드 공동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브랜드 커뮤니티 경험을 통해 얻은 심미적 감수성, 자아 일치감, 지적 충족감 등의 가치는 브랜드 만족과 신뢰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공동가치창출과도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관점에서 브랜드 자체에 초점을 맞춰 홍보하는 전통적 마케팅 전략보다는 브랜드 커뮤니티 양성을 통해 고객-기업, 고객-고객 간 정서적 교감과 연대를 이끌어내는 방식이 미래 브랜드 마케팅의 방향성이 되어야 한다. 둘째, 브랜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서는 브랜드와 관련한 감각적 자극 요소뿐 아니라 고객의 지적 호기심과 자아 일치감 충족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Brand community refers to a group of consumers who are passionate about the brand, and actively participate in enhancing the brand valu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brand community experience on brand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brand value co-creation, focusing on BTSs fan community, ‘ARMY’.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ue of aesthetic sensitivity, self-consistency, and intellectual fulfillment, obtained through brand community experiences,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and brand value co-cre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company-centered traditional marketing campaign strategies, future brand marketing strategies should focus on nurturing brand communities through which encourag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between consumers and companies. Second, in order to enhance brand community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to satisfy customer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elf-consistency as well as sensory stimuli related to the brand.

      • KCI등재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원의 추구가치 분석 : 방탄소년단과 아미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하(Min-ha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브랜드 커뮤니티는 브랜드에 대한 신념과 열정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으로, 보상에 대한 기대 없이 브랜드 홍보를 자발적,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으로부터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지속적 운영을 위해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원의 추구 가치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브랜드 커뮤니티 참여 동기와 추구 가치에 관한 연구는 그간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사후 만족도를 측정하는 양적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참여를 강화하기 위한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단-목적 사슬이론과 래더링 기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브랜드 커뮤니티의 대표적 사례인 방탄소년단팬 커뮤니티‘아미’4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원의 적극적인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해서는 첫째, 구성원이 양질의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브랜드 관련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둘째, 회원 간 상호작용과 정보교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여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함께 나누면서 재미와 행복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브랜드 커뮤니티가 단순히 브랜드를 사랑하는 팬 공동체에 머무르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과 함께 브랜드 가치 공동창출에 기여하는 파트너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구성원의 자아존중감이나 성취감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A brand community refers to a group of people who have a passion and loyalty for the brand,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brand equity because it actively tends to support and promote the brand without expecting compens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re needed for sustainable brand community management. Existing studies on brand community management have mainly been conducted by quantitative methods measur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owards brand community activities, however, this study applied qualitative methods using means-end chains and laddering approaches in order to deeply identify a consumer’s desired value on brand community activities. An in-depth interview of 41 members of BTS ARM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brand community, has been condu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order to encourage active brand community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brand community members with a variety of high-quality brand-related content for a unique aesthetic experience, and a forum where all members can interact and exchange information and ideas to enhance brand value and experience. Finally, to nurture a strong brand community as a partner to co-create brand equity, rather than just a fan community, it is needed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fosters opportunities for brand community members to increase self-respect and fulfillment through their brand community activities.

      • 미술관 경험 : 개념 확장과 새로운 방향 모색

        이민하(Lee Minha) 한국미술경영학회 2022 한국미술경영학회 논문집 Vol.- No.1

        본 연구에서는 미래 미술관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미술관 관람객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미술관 관람 객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관람객의 방문 경험과 관련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양적 연구 중심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술관의 주요 신규 고객층으로 등장한 MZ세대의 미술관에 대한 수요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관을 자주 방문하는 MZ세대 관람객 29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 MZ 세대의 미술관 경험은 미술관을 자기 개발 뿐 아니 라 자신의 문화적, 지적 취향을 표현함으로써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장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미 술관에서는 새로운 고객층의 추구 가치를 발 빠르게 받아들이고 이를 프로그램과 서비스 개발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 요가 있다. 특히 이들 고객층과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그들의 자존감 향상과 감성 충전을 동시에 충족시 킬 수 있는 창의적인 미술관 경험 설계가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s pursued by museum visitors to find creative solutions for future museums. Existing research on museum visitors was mainly conducted by apply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however,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means-ends chain theory was used to specifically grasp the demand of Generation MZ, which recently emerged as a major new visitor base of museu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9 MZ generation museum visi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MZ gener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using art museums as a place to form social identity by expressing their cultural and intellectual tastes. Therefore, in order to build a strong,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museums, it is needed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fosters opportunities for the MZ generations to increase their self-respect and fulfillment through their total museum experiences.

      • KCI등재

        미술대학 졸업생의 취업 현황 연구

        이민하(Lee Minha)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3

        경제 불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청년 실업이 심각한 경제․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술 분야에서도 청년 취업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보다 전략적으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 시내 미술대학의 2011년-2013년도 순수미술 전공 졸업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미술 분야 청년 일자리 실태를 알아보고, 졸업생 및 미술 분야 종사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순수미술 전공자의 사회 진출 관련 문제점과 대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향후 미술대학 졸업생들의 원활한 사회 진출을 위한 교과과정 및 교내 지원 프로그램, 제도 및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has been hard on all sectors in a nation, and art college graduates are not an exception. In this situation, understanding working conditions for young artists and artistic workers, and provide a road map for improvement has been a significant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labor-market experience of recent fine art graduates and to investigate specific features of the working conditions in art sectors using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data.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most graduates have been employed in art-related fields, while most of them are not content with their jobs due to low wages and insecure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provides alternatives for the current art college curriculum and policy support for young artists: 1) developing practical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elp students advance career exploration and field experience, 2)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programs for art college graduates including artist fees, working spaces, and networking opportunities, 3) raising awareness of artists as a profession and promoting investment for the expansion and activation of the art market in the long te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