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 P-coumaric Acid and Kojic Acid Derivative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이미리,노호식,최경오 한국생물공학회 2019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4 No.4

        Numerous derivatives of natural substances have been synthesized to improve their functionality while avoiding the risk of side effects. Both kojic acid and pcoumaric acid are natural products with known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n ester derivative of kojic acid and p-coumaric acid, 5- Hydroxy-4-oxo-4H-pyran-2-yl-methyl (E)-3-(3-hydroxyphenyl) acrylate (compound 3), and evaluated its synergistic anti-inflammatory effects.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mpound 3 in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the degree of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a typical inflammatory mediator, was measured. Kojic acid and pcoumaric acid individually showed no inhibition at 100 μM, whereas compound 3 showed 60% inhibition at the same concentration.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activity of NF-κB, a key transcription factor in inflammatory response, using RAW264.7 Gaussia luciferase reporter cells. Compound 3 suppressed the activation of NF-κB by approximately 32% at 25 μM. However, 200 μM of kojic acid and p-coumaric acid inhibited NF-κB activation by 20% and 15%, respectively. Taken together, our data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mpound 3 is due, at least in part, to the inhibition of NF-κB activation.

      • KCI등재

        Anti-melanogenic Effects of Kojic Acid and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이미리,Hye Yoon Park,Kyung Hoon Jung,Dong Hyun Kim,노호식,최경오 한국생물공학회 2020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5 No.2

        Melanin provides photoprotection against UV irradiation, but excessive melanin accumulation can cause several problems such as darkened skin, melasma, and freckles. Although many anti-melanogenic agents have been developed for skin-whitening cosmetics, safety issue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se products. As natural substances are often non-toxic and are considered by some to be safer than synthetic compound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ynthesize active derivatives from natural substanc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four synthesized derivatives (compound 2a, 2b, 2c, and 2d) of kojic and hydroxycinnamic acids which are natural anti-melanogenic substances. Three of these derivatives (2a, 2b, and 2c) inhibited tyrosinase, which catalyzes a rate-limiting step of melanogenesis. Additionally, cell viability and melanin form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B16F10 melanoma cells. Compounds 2b and 2c exhibited cytotoxicity towards B16F10 melanoma cells, while compound 2a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melanin formation without cytotoxicity. Thus, compound 2a may be viable as a potent skin-whitening agent derived from natural compounds.

      • 중학생들의 폭력가해행동 수준에 따른 일상적 대인맥락의 외형적, 내면적 경험 차이

        이미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03 청소년복지연구 Vol.5 No.1

        The category of interpersonal contexts include contexts alone, with family members, with friends, with classmates, and with others. The external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contexts were indicated by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during waking hours a day. The internal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contexts were indicated by psychological states in each context. Twenty hundred and seventy four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 274 students, 45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 ESM(Experience Sampling Method) was administrated. The 45 students reported their daily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context 7 times a day for a week, totaling 49 times.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 violent behavior group tended to spend more time in contexts which they could freely choose that the low violent behavior group did. The high violent behavior group boys reported more negative emotional states during the interpersonal context with classmates than during the other contexts and the high violent behavior group girls reported more negative emotional states during the context alone that during the other contexts. However, the low violent behavior group boys' and girl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did not differ across contexts. The findings suggest that daily experiences of interpersonla contexts can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early adolescents' violent behaviors in micro systematic vie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daily interpersonal context experiences violent behaviors among early adolescents.

      • KCI등재

        도시 고속도로 공사구간 용량 산정

        이미리,김도경,김효승,이청원,Lee, Mi Ri,Kim, Do-Gyeong,Kim, Hyo-Seung,Lee, Chungwo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3

        본 연구는 도시 고속도로의 편도차로수별 공사구간 기본용량 산정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장 자료 및 교통관리센터자료를 수집하고, 4가지 분석방법을 적용한다. 평균 최대 관측 교통류율 분석법과 Headway 분석법, 회귀 분석법, Parameter Inspection 분석법 중 신뢰성이 높은 평균 최대 관측 교통류율 분석법 및 Headway 분석법의 결과를 값을 기반으로 공사구간 기본용량을 산출한다. 설계속도 80km/h인 도시고속도로 공사구간 평균용량은 약 1,650pcphpl로 추정된다. 편도 4차로 공사시 용량은 약 1,700pcphpl, 편도 2차로 공사시 용량은 약 1,600pcphpl이며, 용량 감소율은 각각 0.15, 0.2이다. 편도차로수가 적을수록 용량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파라믹스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편도 차로수별 용량을 산정하고, 자료분석 산출용량을 비교한다. 본 연구는 도시 고속도로의 공사구간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stimate work zone base capacity by the number of lanes for urban freeway.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survey and the database system maintained by traffic control center, and analyzed with four different methods such as the average maximum observation flow rate, headway,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er inspection. The work zone base capacity for urban freeway is estimated based on the average maximum observation flow rate and headway method, which are more reliable methods compared to others. The average capacity is 1,650pcphpl when the design speed is 80km/h. The capacity of four lanes one-way work zones was about 1,700pcphpl, while one of 2 lanes one-way work zones was about 1,600pcphpl. The capacity reduction rates for each are 0.15 and 0.2, respectively. The smaller the number of lane is, the more base capacity is reduced. For verification of results, we estimate the capacity by simulation analysis using PARAMICS, and compare with analytical results by a statistical method.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efficient and systemic management of work zone in the urban freeway.

      • 중학생의 폭력가해 행동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장소별 객관적, 주관적 경험의 차이

        이미리,유병열,정락희,이창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4 No.2

        본 연구는 일상생활 장소의 객관적, 주관적 경험이 초기 청소년의 폭력가해행동과 어떻게 관련되어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폭력가해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직접적이고 미시적인 장소맥락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3개 중학교에서 편의표집된 274명의 남, 녀 2학년생이었으며 이들 중에서 다시 폭력가해행동수준 상집단 25 명(남학생 14 명,여학생 11명), 하집단 20명(남학생 10명, 여학생 10명)의 45 명을 선별하여 일주일간 하루에 7회씩 총 49회에 걸쳐 일상생활장소에서의 경험을 경험표집방법(Exper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일상생활장소의 객관적 경험인 다양한장소에서 보내는시간의 양은 폭력가해행동수준 상, 하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폭력가해 수준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자발적으로 선택이 가능한 장소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었다. 일상생활의 주관적 경험인 다양한 장소에서의 심리적 수준은 폭력가해 행동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거의 모든 맥락에서 부정적 정서 표현이 강하고 자유선택수준, 주의집중수준, 동기수준, 중요성인지수준이 낮은 편이었다. 이와 같이 초기 청소년의 폭력가해행동 수준은 상황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그러나 일상생활을 통해 반복되는 다양한 일상생활 장소의 객관적, 주관적 경험의 차이로 변별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daily life experiences were associated with violent behaviors among early adolescents. Daily Iife experiences can be indicated by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and psychological states in each category of the daily lodation contexts. Twenty hundred and seventy four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 274 students, 45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 ESM method was administrated. The 45 students reported their daily life experiences 7 times a day for a week, totaling 49 times. The high violent behavior group tended to spend more time in contexts which they could freely choose than the low violent behavior group did. The high violent behavior group reported more negative emotional states than their counterparts did across daily location contexts. The contextual variations also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pattern between the daily Iife experiences and levels of violent behaviors. Gender differences appeared in these relationship patter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aily Iife experiences can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early adolescents' violent behaviors in rnicro systematic view.

      • 중학생들의 폭력가해행동 수준에 따른 일상활동 경험의 외현적, 내면적 차이

        이미리 韓國體育大學校 2002 論文集 Vol.25 No.-

        This study investigated how daily activity experiences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violent behaviors among early adolescents. Daily activity experiences were indicated by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and psychological states in each category of daily activities including schoolwork, leisure, and maintenance activities. Twenty hundred and seventy fou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mong the 274 students, 45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violent behavior scores and the ESM method was administered to these students. The 45 students reported their daily activity experiences seven times a day for a week, totaling 49 times. This study found that minimal object and verbal violent behaviors were a dominant type of the participants' violent behavior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s and patterns of these violent behaviors. The high violence group spent more time in passive leisure activities than the low violence group did. The high violence group reported mor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s than their counterparts did across daily activities. Contextual variations also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pattern between the daily activity experience and the levels of violent behaviors. Gender differences appeared in this relationship patter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aily activity experiences can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early adolescents' violent behaviors in micro-systematic view.

      • 귀인과 성취동기, 친애욕구와의 관계

        李美利 부산여자대학 1985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7 No.-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 추론 능령의 성숙기인 12세, 14세 아동의 귀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취동기와 친애욕구를 귀인 과정과 연관지어 설명해 보고자 한다. 성취동기 수준과 친애 욕구 수준에 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귀인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정의적 영역의 발달에 대한 귀인 이론적 접근의 유용성을 실증해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1〉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성(sex)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문제2〉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 〈문제3〉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문제4〉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친애 욕구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 2.연구 방법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마포구와 강남구에 소재하는 2개 국민학교와 남자 중학교, 여자 중학교에 다니는 만12세, 14세 남아 123명, 여아 94명으로 총 217명이다. 이들은 성취동기 수준의 상, 하집단, 친애 욕구 수준의 상, 하집단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동기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고, 귀인 경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귀인 은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수집된 자료는 문제 1, 2, 3에 대해서는 귀인에 대한 성, 연령, 성취동기 수준의 주 효과 뿐 아니라 상호작용 효과를 보기 위해 귀인 요인 점수를 세가지 개인차 변인에 따라 삼원 변량 분석하였다. 문제4에 대해서는 귀인에 대한 친애 욕구 수준의 주효과뿐 아니라 성취동기 수준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기위해 귀인 요인 점수를 친애 욕구 수준과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이원 변량 분석하였다. 3. 연구 결과 1) 우리나라 12, 14세 아동은 외적귀인보다 내적귀인을 많이 하며, 내적 귀인 증에서도 노력 귀인을 지배적으로 많이 한다. 2) 남아보다 여아의 경우, 성취 결과는 능력이 좌우한다고 보는 정도가 높다. 3) 성취 동기 수준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경우 성취 결과는 노력이 좌우한다고 보는 정도가 높다. 4) 12세 아동보다 14세 아동의 경우 성취 결과는 과제의 어렵고 쉬운 정도에 달렸다고 보는 정도가 높다. 5) 친애 욕구 수준이 높은 아동보다 낮은 아동의 경우 실패의 이유는 행위자의 능력이 부족한 탓이라고 보는 정도가 높다. 6)친애 욕구 수준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경우 실패의 이유는 행위자의 노력이 부족한 탓이라고 보는 정도가 높다.

      • KCI등재후보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비교를 통한 청소년기 비행 관련 생태학적 맥락 분석

        이미리,이명숙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xtu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hich can discriminate delinquent adolescents from adolescent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64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on probation and 88 highschool students. The 88 high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from the middle school 2nd grade 5th wave of Korean Youth Panel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al analysis. Fiv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discriminated the delinquent adolescents from adolescent students, were found. Educational expectancy, the frequency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amount of leisure time, and the number of smoking friends had 83% in its accuracy to discriminate the differences of both groups effectively.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을 비교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청소년 비행 관련 맥락적, 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고 상대적 효과의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중인 청소년 64명(남 39명, 여 25명)과 동일 지역 소재 고등학교 재학 중인 청소년 88명(남 53명, 여 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88명의 일반 청소년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5차년도 자료에서 무선표집되었다.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로 선정된 가족, 학교, 친구, 여가 맥락 변인들과 심리적 특성 변인들 중에서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변인을 예측변인으로 하여 단계적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적 기대, 부모자녀 간 대화정도, 여가만족도, 여가시간, 흡연친구수의 순으로 집단변별에 유의하게 기여했다. 교육적 기대, 부모자녀 간 대화정도, 여가만족도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여가시간과 흡연친구수가 많을수록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으로 변별될 가능성이 높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비행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요구와 필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효과성 있는 지도방안의 하나로 청소년멘토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