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해양배출 규제체계 개선의 필요성과 규제방향에 대한 연구

        이문진,김계원,강원수,Lee, Moonjin,Kim, Kyewon,Kang, Won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6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regulatory legal systems, and emission status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in these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regulatory system was present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estimated that about 1,100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re subject to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of 2007. It is estimated that 190 kinds of hazardous substances are discharged from these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nd are highly likely to flow into the ocean, of which 20 are estimated to be discharged into the water system.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whether the discharged material corresponds to an exceptional discharged material, making it difficult to effectively enforce regulations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effective regulatory enforcement is difficult in the regulatory field.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law should clearly stipulate the exceptional emission standards and types of substances, and clarify the selection system, risk assessment system, and emiss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relat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본 논문에서는 해양산업시설 현황과 규제법규 체계, 그리고 이들 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실태 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규제체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말 현재,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해양산업시설은 약 1천1백여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해양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어 해양유입 가능성이 높은 위험유해물질은 190여종으로 추정되며, 이중 해양유입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물질은 수계로 배출되는 것으로 파악된 20여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관련 법규정의 미비로 인하여, 배출되는 물질이 예외적 배출물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워,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규제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양환경관리법의 예외적 배출기준과 해당 물질의 종류에 대해 명확히 규정해야 하며, 예외적 배출물질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선정체계와 물질의 위해성 평가체계, 그리고 관련 위험유해물질의 배출정보수집 및 모니터링체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SAR 위성영상 해수유동 정보추출 및 활용

        이문진,김혜진,이승현,홍기용,Lee, Moon-Jin,Kim, Hey-Jin,Lee, Seung-Hyun,Hang, Key-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3 No.4

        A study 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ocean currents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satellite image. The curr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R satellite image is not real vector information but scalar information in normal direction of orbital path. To correct curr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 observation of currents in the field i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nd area as those of satellite image. In the analysis, curr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 is corrected by using observed ones. By this correction, the speed and the direction of current can be estimated. The extract current information seem to agree well with the observed ones.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양정보 추출을 위하여 SAR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수유동 정보 추출을 연구하였다.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영상의 도플러 쉬프트 정보를 이용한 해수유동 정보 추출은 적용기술의 근본적 한계로 인하여 실제 유속이 아니라 위성궤도의 법선방향에 대한 유속장도만을 제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촬영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해역에서 해수유동을 관측하고, 관측된 해수유동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해수유동 정보를 보완 검증하였다. 위성영상 추출 해수유동정보의 위성궤도 법선방향 유속강도는 관측된 해수유동 유향분포도에 근거하여 실제 해수유동 유향에 맞게 보정될 수 있었으며, 보정된 해수유동 정보는 실제 해수유동 분포를 잘 반영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가상시나리오 개발

        이문진,오상우,Lee, Moonjin,Oh, Sangw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0 No.6

        해양사고 발생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대응훈련 및 이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가상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가상 시나리오는 부산 해역을 대상으로 개발하였으며, 대상해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와 이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각각 개발하였다. 가상 사고 시나리오는 대상해역인 부산해역의 위험평가 및 취약성분석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를 선정하고, 가상 사고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예측하여 구축되었다.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의 피해예측에서 제시된 피해를 수습하기 위한 단계별 조치사항으로서 제시하였다. 부산해역의 위험유해물질 가상 유출사고는 부산 감천항 충돌사고로 인한 자일렌(xylene) 1,000톤 유출사고로 선정하였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자일렌의 대기확산 및 해양확산 계산을 통해 예측하였다. 또한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피해지역의 주민 대피, 자일렌 확산 방지 및 회수, 대응요원 보호조치, 사고지역 사후 관리 등에 대한 단계별 조치사항을 제시하였다. In response to possible 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spill accident, HNS spill accident scenario and response scenario were developed. The accident area listed in scenarios is the coastal area of Busan, and scenario for possible accident in the designated area and strategies to respond the accident were developed, respectively. The scenario for accident was developed by designating HNS spill according to risk evaluation of HNS and analysis of HNS spill probability along the coastal area of Busan, and then estimating possible and potential impact from the accident. The scenario for response has been suggested as a systematical responding oper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estimated impact from the accident. The possible HNS spill accident on the seas around Busan, has been designated by the spillage of 1,000ton of xylene due to collision accident in Gamcheon Port, and the possible impacts occurred by the accident has been simulated with the help of the atmospheric and oceanic dispersion model of xylene. In the responding scenario for the accident, a phased strategies regarding emergency rescue of peoples, protection and recovery of xylene, protective measures for the responders, and post management of the accident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후보

        한국 남해의 구난환경 위험성 분석을 위한 극치 조석 산정

        이문진,Lee Moon-Ji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2 No.1

        In marine salvage, extreme tide heights and tidal currents are necessary to anchor an accidental ship. In order to meet this requirement, a simple scheme was developed which yields the spatial informations on the extreme tide from the distribution of approximate highest astronomical tide heights using a relationship between extreme and highest astronomical tides at the standard port. This method is the inference method based on horizontally homogeneity of tide. This scheme was applied to estimate extreme tide heights and tidal currents in the Namhae (southern sea of Korea). The highest astronomical tide heights are computed by amplitude of four major constituents (M2, S2, K1, O1 tide). The estimated extreme tide heights are ranged from 70 to 260 cm for return period 50 years and from 80 to 270cm for return period 100 years, respectively. For return period 100 years, extreme tidal currents show value of 1.55 times as strong as those of normal state. 해난사고 선박의 구난환경 위험성 분석을 위한 극치조석 산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항에서 관측된 해면변위에서 주요 4대분조($M_2$조, $S_2$조, $K_1$조, $O_1$조)의 진폭과 극치조석의 진폭을 산정하고, 조석 공간분포의 균일성에 근거한 유추(inference)방법을 이용하여 둘 간의 상관관계를 수치모델로 계산된 주요 4대분조의 공간분포에 적용함으로써 극치조석의 공간분포를 산정하였다. 극치조석의 분포는 한국 남해를 대상으로 산정하였으며, 50년 주기와 100년 주기의 극치조석을 각각 산정하였다. 한국 남해의 50년 주기 극치조석 진폭은 $70cm{\sim}260cm$의 분포를 보였으며, 100년 주기 극치조석 진폭은 $80cm{\sim}270cm$의 분포를 보였다. 극치조류의 유속은 100년 주기의 경우 평균상태 조류 유속에 비하여 약 1.55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 개발

        박일혁 ( Il Hyeok Park ),이기봉 ( Gee Bong Lee ),조성일 ( Sung Il Cho ),김연수 ( Yeon Soo Kim ),이성운 ( Sung Woon Lee ),이우형 ( Woo Hyung Lee ),이문진 ( Mun Jin Lee ),민진영 ( Jin Young Min ),이온 ( 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질문지 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다양한 특성의 성인 32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질문 영역과 질문지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총 223명의 도시 거주 성인을 표집하여 가속도계, 심박수계, 일일기록지로 신체활동을 측정하고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인타당도의 부분적 검증을 위하여 성별, 직업종류별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재검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신체활동의 영역을 직업활동, 가사활동, 여가활동, 계획적 운동, 이동 5개로 구분하였으며 이 영역들을 기준으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남자의 경우 .59-. 74로 중간에서 비교적 높은 정도, 그리고 여자의 경우 0.34-. 75로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 총량 및 영역별 신체활동량의 집단별 비교에서는 성별, 직업유무별, 직업유형별로 대체로 기대한 차이를 나타내 질문지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검법에 의한 신뢰도는 .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타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와 비교하여 그 타당도가 유사하거나 더 높아 대규모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at is valid for measuring physical activity level of Korean adults who reside in city area. The research team identified the physical activity domai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 and developed the questions that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each domain. Developed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experts`s review and pilot test. A total of 223 adults (102 males and 121 females) participated in completing questionnaires along with 7-day recording of accelerometer, heart rate monitor and diary measuremen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examine criterion validity. Gender and occupation variables were used to examine group-divergent validity. Five physical activity domains, occupation-, household-, leisure-, planned exercise-and transportation-related do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criterion validity coefficients of the questionnaire ranged from .59 to .74 for males and .34 to .75 for females. These values are regarded as low to relatively high. The calculated reliability coefficient was relatively high at .90. The developed questionnaire may be useful in a large scale physical activity study.

      • 부산지역의 위험ㆍ유해물질 유출사고 가상시나리오 개발

        이문진(M.-j. Lee),윤이(Y. Yoon),최종욱(J. W. Choi),이승환(S. H.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위험ㆍ유해물질 해상물동량이 전체 물동량의 18%이상 차지하고 있고, 매년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어 이로 인한 대형유출사고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위험ㆍ유해물질은 독성ㆍ유해성이 있어 사고 발생시는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부물질은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까지 오염이 확대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험ㆍ유해물질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고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마련하여 비상시 대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해역의 위험평가 및 취약성분석을 통해 위험ㆍ유해물질 유출사고를 가정한 사고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측한 다음, 해당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조치해야 할 사항을 단계별로 작성, 제시하였다. 위험ㆍ유해물질 가상사고 선정시에는 발생가능성과 피해영향범위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해역에서의 위험ㆍ유해물질 운송현황과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자일렌을 사고물질로 선정하였고, 부산 해역의 자일렌 물동량인 약 1,000톤을 사고발생시의 유출량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1982년부터 2007년까지 약 25년동안 부산해역에서 발생한 10톤 규모이상의 해양오염사고 현황을 분석하고, 사고발생시 예상되는 피해규모 등을 고려하여 감천항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해역의 해ㆍ기상조건은 사고가 발생한 시점인 2007년 10월 19일 오전의 해ㆍ기상상태를 적용하여 풍속은 4m/s, 풍향은 남서풍, 기온은 20℃로 하였다. 가상사고의 피해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기확산 및 해양확산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기확산 결과에서는 사고지점으로부터 영도대교 방향으로 약 2㎞~7㎞까지 인체에 유해한 정도의 자이렌 증기확산이 예상되었다. 한편, 해양확산 평가 결과 사고발생 1시간이 경과한 후부터는 유출된 자일렌이 해안에 부착하기 시작하였으며, 8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유출 자일렌의 대부분이 해안에 부착되었다. 따라서, 현장 대응시는 자일렌의 피해확산범위에 포함되는 감천항과 영도대교, 부산항 인근의 주민과 근로자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져야 하며, 감천항ㆍ부산항의 선박 입항을 통제하고 신속하게 확산방지용 펜스를 전장하여 자일렌의 해안부착을 최소화 해야 한다. 또한, 자일렌은 노출시 구토ㆍ구역 및 피부자극을 일으키는 유독성물질로 호흡기 피부 등을 통해 인체에 노출되므로 현장 대응요원과 방제요원은 개인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해수 및 대기모니터링을 통해 오염지역과 방제범위를 결정하고 자일렌의 회수ㆍ처리에 필요한 조치를 단계별로 시행해야 하며, 사고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지역의 사후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