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버넌스: 신드롬 또는 새로운 행정학 이론?

        이명석 ( Myungsuk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3

        정부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으로 거버넌스라는 개념이 유행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료제 패러다임이 여전히 행정학 주류 이론의 위치를 지키고 있다. 이것이 바로 거버넌스 신드롬이다. 거버넌스 신드롬의 가장 큰 부작용은 충분하지 못한 공공부문의 개혁과 이로 인한 사회문제의 악화이다. 만일 거버넌스가 관료제 패러다임과 차별화되지 못하고 관료제 패러다임의 단점을 보완하는 수단으로만 이해된다면 거버넌스는 기각된 또 하나의 대안이 될 수밖에 없다. 거버넌스 신드롬을 극복하기 위해서 거버넌스는 계층제적 통제와는 본질적으로 차별화되는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 양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회적 조정 양식으로서의 네트워크의 논리에 근거하는 거버넌스는 집합행동의 문제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거버넌스의 출현과 성공의 조건을 설명할 수 있는 제2세대 거버넌스 이론이 요구된다. 계층제 중독 극복방안과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방식의 적용조건을 다루는 제2세대 거버넌스 이론의 구축이 새로운 행정학 이론으로서의 거버넌스 이론의 핵심 과제이다. A deep distrust of the government has ignited popularity to the term “governance.” However, the bureaucratic paradigm still remains at the core of the mainstream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It is the so-called “governance syndrome.” The most serious side effects of the governance syndrome are insufficient reforms in the public sector and the consequent exacerbation of social issues. If governance cannot be differentiated from the bureaucratic paradigm and is only understood as its complement, governance may be another rejected alternative. Governance should be understood as a new mode of social coordination that is completely differentiated from hierarchical direction, the traditional mode of social coordination. Governance, based on the logic of network mode of social coordination, is vulnerable to the collective action problems. The second generation of governance theories needs to explain and predict when and how governance is possible. The key task of governance theory as a new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is to construct the second generation governance theory, which focuses on the conditions of the new mode of social coordination and the solutions to overcome the addiction to hierarchy.

      • KCI등재

        거버넌스 신드롬?: 한국 거버넌스 연구의 경향과 한계

        이명석 ( Myungsuk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정관리연구 Vol.16 No.3

        이 논문은 6개 한국 행정학 학술지에 게재된 거버넌스 연구논문을 조사하여 한국 행정학 거버넌스 연구의 추세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한국 행정학의 경우, (i) 전통적인 정부와 관련된 관리개혁과 전통적 거버넌스 개혁을 강조하는 거버넌스 연구논문의 비중이 전체 거버넌스 연구논문의 50%를 상회하고, (ii) 거버넌스를 아무 설명 없이 사용한 연구논문의 비중 또한 15%로 무시할 만한 수준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거버넌스에 관한 관심과 인기는 높았지만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유용성과 필요성에 관한 관심은 다소 제한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가 사회문제 해결의 만병통치약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거버넌스도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정부의 시대가 지나고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시대가 도래한 것도 아니며, 그러한 변화가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필요한 것은 “정부에서 ‘정부와 거버넌스’로”의 변화이다. 한국 행정학에서의 거버넌스 인기가 병리적인 거버넌스 신드롬이라고 진단할만한 근거는 아직 뚜렷하지 않다. 계층제 거버넌스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관한 지속적인 학문적 관심이 요구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trends and limitations of governance research in Korea by examining governanc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ix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s. In the cas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i) the proportion of governance research papers emphasizing traditional government-related management reforms and traditional governance reforms exceeded 50% of all governance research papers, and (ii) the proportion of research papers using governance just as a rhetoric concept was not negligible at 15%. This implies that although interest and popularity in governance were high, but interest in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network governance was somewhat limited. Just as the government is not a panacea for solving social problems, however, network governance is not a panacea as well. It is not true that the era of government has passed and the era of (network) governance has arrived. Such changes are, more importantly, neither necessary nor desirable. What is needed is a change “from government to ‘government and governance’”. There is still no clear evidence to diagnose the popularity of governance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s a pathological governance syndrome. Continuing academic interest in network governance as well as hierarchical governance is required.

      • KCI등재

        거버넌스에서 정부로?

        이명석(Myungsuk Lee)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6 No.3

          Because of the growing distrust in the traditional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way of solving public problems by the Government, network governance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ult, it is widely admitted by both scholars and general public that the change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is already an empirical fact. Contrary to this omnipresent hierarchies-to-network thesis, however. hierarchical governance is still a dominant way of doing public business. especially in Korea with a strong tradition of hierarchical governance. This study finds that the pulls of hierarchical governance are so strong that Korea organ transplant governance has changed from network governance to hierarchical governance, even though network governance has been successful in coping with organ transplant without formal legal support. It is also found that over-bureaucratization could worsen social problems.

      • KCI등재

        미래 행정수요와 거버넌스 변화

        이명석 ( Myungsuk Lee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4

        변화하는 행정수요를 예측하지 못한다면 저출산ㆍ고령화와 제4차 산업혁명 등으로 나타나는 한국 사회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미래 행정수요의 대부분은 ‘사악한 문제’일 것이다. 따라서 공식적인 권한과 강제력을 가진 정부의 중앙집권적이고 획일적인 사회문제 해결방법의 불가피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새로운 거버넌스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미래 행정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i) 정부에 의한 사회문제 해결의 불가피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ii) 거버넌스문제에 관심을 갖고, (iii) 사회문제의 본질과 유형을 파악하고, (iv) 새로운 거버넌스를 전향적으로 탐색하고, (v) 새로운 거버넌스 유도 과정의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Failure to predict the changing demand for public administration will make it difficult to successfully solve Korean social problems caused by low fertility rate, aging population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st of the future administrative demands will be ‘wicked problems’. There is a convention regarding the inevitability of using centralized and monolithic methods by the government, who holds formal authority and enforcement,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overcoming such convention and promoting new governance is a necessity.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future administrativ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 overcome the stereotypes regarding the inevitability of solving social problems by the government, (ii) to be interested in governance problems, (iii) to identify the nature and type of social problems (iv) to actively explore new governance; and (v) to take aggressive measure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inducing new governance.

      • KCI등재

        네트워크 사회의 정책학

        이명석(Myungsuk Lee)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6 No.1

          This Study revisits Lasswell paradigm form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assuming that policy studies do not successfully explain the causes of social problems because of its methodological bias towards naturalism which makes policy science deviate from the Lasswell Paradigm.   According to Lasswell, Policy Science Paradigm can be summarized by contexuality, problem-orientation, and multi-method. In the current network society, where nobody monopolizes power,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to resolve social problems, policy studies should return to Lasswell Paradigm in order to provide proper explanations of and prescriptions to social problems. Especially, policy studies, which dominated by naturalistic methodology, cannot help us understand interactions among various actors in network society. New institutionalism and its analytic tool, AID framework, could be a useful way to integrate various methodological as well as epistemological approaches.

      • KCI등재

        저출산정책의 효과성 인식 조사

        이명석(Lee, Myungsuk),장한나(Jang, Han-Na),이승연(Lee, Seung-Yun),민연경(Min, Youn-Kyoung),최상준(Choi, Sang-Jun) 경기연구원 2012 GRI 연구논총 Vol.14 No.2

        Despite government’s various efforts after the First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Saeromaji Plan) in 2006,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are still avoiding birth. This suggests that the current population policies has to be re-examined. This study carries out a survey targeting women of main childbearing age(from 25 to 40 years) to study the effects of population policies. Especially, this study is designe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future population policy by identifying the core policies recognized by the target group. Analysis shows respondents generally recognize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child care policy, which working-moms prefer, as the most effective policy. Since legislation as well as budgetary support are required for the success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legislation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the work-family balanced society, rather than temporary financial supports.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장한나(Jang, Hanna),이명석(Lee, Myungsuk) 경기연구원 2014 GRI 연구논총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effective human service delivery system through the case of Icheon city. This study found that (i) working with various consultative group, Icheon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played the role of network manager in improving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ctivities, as well as in sharing of community sense. (ii) Thanks to the collaboration mechanism, resource scarcity of Icheon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could be complemented by community resources, and consequently better collaboration was possible in Icheon than in other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needs to construct a service delivery system based on private-public-partnership, and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community via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lso, in order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to play a pivotal role in linking the public sector with the private sector in collaborative network, close cooperation among related organizations is needed.

      • KCI우수등재

        대안적 사회조정양식으로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홍도 유람선 좌초사고 민간자율구조 사례를 중심으로

        정수용 ( Su Yong Jeong ),이명석 ( Myungsuk Lee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3

        본 연구는 대안적 사회조정 양식으로 등장한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9월 30일 발생한 홍도 유람선 좌초사고 당시 신속한 민간자율구조사례를 공동체 프로파일링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례분석결과를 Ostrom의 IAD 분석틀과 Ansell & Gash의 협력 거버넌스 모형과 비교하고, 이익속성과 촉진요소가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는 홍도사례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메카니즘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홍도사례를 통하여 공동체가 달성해야 하는 공익이 개인의 사익과 적절히 연계되고, 여러 촉진요소들이 존재하는 경우 협력이 가능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다양하고 복잡한 공동체 문제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상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chanism of network governance and how it functions as an alternative mode of social coordination. Using the case study of the Hong-do cruise ship voluntary rescue by local residents, the reasons behind the collective action were studied. The results suggested several factors that promote and sustain cooperation for solving common problems in the community: biophysical conditions, attributes of community, attributes of interest, shared understanding of common goal, and facilitators. In particular, attributes of interest were a critical factor in forming shared understanding of common goals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managing network governance to solve social problems.

      • KCI등재

        관료의 행정가치 재고찰

        박형준(Hyung Jun Park),이명석(Myungsuk Lee),김근세(Keun Sei Kim),최상옥(Sang Ok Choi),임주영(Joo Young L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7 No.3

        행정가치란 일반적으로 공무원들이 행정활동에서 지침으로 삼아야할 행동원리 또는 규범이자, 행정이 추구하는 방향이다. 현대행정학의 발달에서부터 정치행정 일원론과 이원론에 논쟁에 따라 민주성과 효율성이 행정의 주요가치로 등장하면서 지금까지 관리적가치와 정치적가치들이 주요한 행정의 가치로서 간주되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의한 행정과 정책의 최종결정이 이루어지면서 실제 관료들이 추구하고 행동의 원칙으로 삼아야할 규칙으로서 헌법적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본 연구는 어떠한 행정의 가치들이 실제 공무원들에 의해 인되고 있으며, 행정가치간의 상대적 중요성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21개의 행정가치를 추출하고 Rosenbloom의 행정가치군 분류인 헌법적가치, 관리적가치, 정치적가치로 분류하여 계층화하였다. 또한, 행정가치간의 상대적 중요성과 가중치 탐색을 위해서 계층적 분석과정기법(AHP)를 적용하여 중앙공무원 93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헌법적가치가 가장 상대적 중요도가 높았으며 정치적 가치의 상대적 중요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21개의 행정가치중에서 헌법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이 가장 중요한 가치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청렴성, 합법성 등의 순서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예상외로 효율성과 민주성 등의 가치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boundaries and comparative meanings of administrative value among 21 various public administrative values.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ve values is often fundamental problem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We need to revisit the Rohr and Rosemblem"s argument of administrative value and Wilson"s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idea" and should re-think the public administrative value and bureaucrat role. We classify three administrative values, consitutional, managerial, and political vale and compare these values how to consider an importance. For this, we use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AHP) and data collected from 93 Korea national government officials. The results show us constitutional value is regard as the most important administrative values and next is managirial value. Political values such as democracy and equality are the lowest among these categorized values. The right of human diginity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values among all administrative values, the second is integrity, the third is legality. The least important value is balance and reconcilability. Interesting is efficiencey and democracy is not too high score in this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