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dels of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 조직 모형과 신뢰 : 다면적 구성개념으로서의 신뢰에 대한 고찰

        Dongseop Lee(이동섭),Sang-Hoon Lim(임상훈)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신뢰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본질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조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진전은 오늘날의 가변적인 조직환경 속에서 신뢰가 가지는 중요성을 반영한다. 개인이나 조직의 유효성에 있어서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은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예컨대, 조직학 및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는 신뢰를 하나의 주요한 조직 통제 메커니즘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신뢰는 대리이론이나 거래비용 경제학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기회주의에 대항하는 기제로서 주목 받고 있으며, 문화주의적 접근방식을 채택한 연구에 있어서 신뢰는 경영철학과 리더십의 핵심적 요인으로 인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찍부터 널리 인정되어온 신뢰의 중요성에 비해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기능과 발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신뢰의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며 여러 수준에서 개념화를 통해 신뢰를 파악하고 있는 까닭에, 조직이론에서조차 아직 신뢰의 역할에 대한 통일된 견해가 존재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축적된 결과물에 기초하여 널리 알려진 조직 모형들을 통해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성격과 역할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사?조직 모형으로 합리적 모형, 유기적 모형, 및 문화적 모형 등 세 상징적 모형이 사용되었으며, 이들 각각의 모형 내에서 신뢰는 세가지 수준별(즉, 대인수준, 구조적 수준, 조직간 수준)로 조명되었다. 특정한 사회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는 방법론의 유용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근은 제반 조직이론이나 경영이론들이 기본적으로 어떤 암묵적인 이미지나 메타포에 기반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각각의 이론들이 기반하고 있는 각각의 이미지와 메타포는 궁극적으로는 조직을 이해하고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 불가피하게도 어떠한 형태로든 차별적이고 부분적일 수밖에 없는 방식으로 이끌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시된 신뢰의 의미를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접근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신뢰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진단을 시도하였고, 산재된 개별 연구에서 존재하는 공통적 특성들을 분류함으로써 신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개념적 범주화를 추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조직내 신뢰의 형성과 기능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서로 얽혀 있는 다수준(multilevel)의 복합적인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다수준 분석이 신뢰의 연구에 필수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예컨대, 평판이나 사회적 규범의 역할에서 보여지듯, 거시적 수준의 신뢰 과정이 미시적 수준의 신뢰관계를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것처럼, 보다 미시적 수준의 관계가 조직간 신뢰와 같이 보다 거시적 수준의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식들로 제시되어 온 신뢰의 개념들을 다면적으로 파악하고, 그 방식들이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들간에 공통적인 의미가 존재한다면 어떠한 것인지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신뢰에 대한 정의의 모든 측면을 아우를 수 있는 보편적 개념화를 추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취지로 작동하지 않는다. 신뢰 개념에 대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This review article examines the nature and function of trust in relation to the rational, organic, and cultural models of organization at the interpersonal, structural, and interorganizational levels of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the area of research on trust seems to be fragmented in its target problems and approaches to them, which is partially due to different, confusing conceptualization of the trust construct. In an effort to provide a classification system for diverse aspects of trust, this article identifies various types of trust according to the models of organization and the levels of analysis : calculative trust, deterrence-based trust, relational trust, institutional trust, identify-based trust, procedure-based normative trust, and normative trust. The article then discusses implications of viewing trus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th multilevel analysis.

      • KCI등재

        집단신뢰와 집단성과

        이동섭(Dongseop Lee),최용득(Yongduk Choi)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mediation mechanism and a boundary cond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group trust and group performance. Drawing on the trust literatures across various disciplines, we focused on two principal forms of intragroup trust (i.e., cognition-based trust and affect-based trust) for mor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rust among group members. We then investigated how the two forms of intragroup trust affect the performance of groups by considering group 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ask interdepend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We tested the proposed relation- ships using a sample of 71 project groups consisting of 357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ffect-based intragroup trust is positively related to group efficacy, which in turn is related to group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and that cognition-based intragroup trust is related to group efficacy only when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is high. The result of conditional indirect effect test further sh0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based intragroup trust and group performance through group efficacy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The positive indirect effect of cognition-based intragroup trust was significant only under high task interdependence condition. Study limitations and implac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조직환경의 변화는 조직내 집단 활용의 필요성과 더불어 집단구성원들 간의 신뢰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집단을 이루는 구성원들 간의 신뢰는 개방적인 상호의사소통과 자발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등 집단목표의 성취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뢰의 기능에 대한 일반적 기대에 비해 신뢰의 실질적 효과와 효과가 발현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본 연구는 집단수준에서 구성원들 간의 대인신뢰를 정서기반 신뢰와 인지기반 신뢰로 구분하고 집단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집단신뢰와 집단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 집단효능감의 역할을, 집단효능감을 통한 집단신뢰와 집단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과업상호의존성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는 대학생들로 구성된 71개팀 357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실증관계에 대한 보다 명확한 해석을 위해 변수별로 시차를 두고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측정방식과 자료원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집단신뢰의 두 유형 중 정서기반 신뢰는 과업상호의존성과 관계없이 집단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기반 신뢰는 과업상호의존성이 높은 경우에만 집단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효능감은 집단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조건적 간접효과 검증을 통해 인지기반신뢰의 집단효능감을 통한 집단성과에의 영향이 과업상호의존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성과에 대한 집단신뢰의 긍정적인 효과를 전달하는 동기부여적 메커니즘과 경계조건의 이해에 기여함으로써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자기효능감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재연구

        이동섭(Dongseop Lee)/김기태(Kitae Kim)/조봉순(Bongsoon Cho)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과업성과의 예측변수로서의 자기효능감과 개인성격 변수들의 상대적 효과를 검증한다.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은 성과를 비롯한 다양한 행위 변수를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지난 30년간 많은 연구의 결과가 이를 지지하였다. 하지만 최근 Judge, Jackson, Shaw, Scott, & Rich(2007)는 메타분석결과에 의거한 경로분석을 통해, 개인성격 변수가 포함될 경우 자기효능감의 효과는 사라진다는 주장을 전개하였다. 본 논문은 Judge et al.의 연구에 내재된 방법론적인 한계를 감안할 때, 자기효능감의 과잉변수화 주장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자기효능감과 Big 5 성격 변수를 동시에 포함하는 개별연구(primary study)를 통해 고유한 자기효능감 효과의 존재 유무를 살펴보았다. 156명의 대학생을 표본으로 하여 2회에 걸쳐 실시된 본 연구의 자료 분석결과에 의하면, Judge et al.(2007)에서와는 달리, 성격 변수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자기효능감은 과업성과에 대해 일관적으로 유의한 예측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ve impacts of Big 5 personality factors and self efficacy on task performance, controlling for mental ability and experience. Self-efficacy, the central variable of human regulatory mechanisms in social cognitive theory, has been proposed to be one of the most powerful cognitive determinants of human behavior(Bandura, 1986, 1997, 2006a; Locke & Latham, 1990). Research for over two decades has shown that self-efficacy has an impact on a variety of motiva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in clinical, athletic sport, educational, and various organizational settings (Holden, 1991; Holden, Moncher, Schinke, & Barker, 1990; Multon, Brown, & Lent, 1991; Stajkovic & Luthans, 1998). However, Judge, Jackson, Shaw, Scott, and Rich (2007) recently called the validity of these findings into question. They suggested that the unique contribution of self-efficacy in predicting performance may become negligible if individual traits, which have been largely neglected in social cognitive theory, are considered simultaneously. Using meta-analytic path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Big 5 personality traits, mental ability, experience, self-efficacy, and task performance, they reported a substantially reduced incremental predictive validity of self-efficacy whe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they concluded that give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to self-efficacy, task-specific self-efficacy may simply be a superfluous byproduct of a smart and generally confident person (Judge et al., 2007). We argue that the conclusion made by Judge et al.(2007) is premature and potentially erroneous. In testing the incremental predictive validity of self-efficacy on performance with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controlled for, Judge et al. combined psychometric meta-analysis and path analysis, a procedure we found has critical limitations. First, the biggest problem in the procedure Judge et al. used concerns that relative predictive power between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self-efficac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ir model, had not been examined by any of the individual studies included in their meta-analytic synthesis. In other words, the “relative” part of data is entirely missing, and this makes their conclusion about relative predictive power in fact based on missing data. Missing data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critical problems in this procedure because estimation of certain relationships (e.g., path coefficients) in the model may become difficult or distorted due to missing data (Becker & Schram, 1994; Viswesvaran & Ones, 1995). Second, due to the systematic missing data in Judge et al.(2007), it may be possible that different parts of the model (e.g.,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 5 traits and performance, betwee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nd between Big 5 traits and self-efficacy) are based on substantially differing populations. This variation in meta-analytic correlations is a critical issue, for the test of a path model can be affected even when only one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path model is moderated by a certain other variable (Viswesvaran & Ones, 1995). A series of moderator analyses conducted by Judge et al. themselve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was stronger, for example, when self-efficacy was measured with grid type measures rather than with Likert type measures, when performance domain was relatively specifically identifiable task performance rather than overall job performance, and when performance was assessed objectively rather than subjectively. We view these results as indicating numerous sources of systematic variation in their path model. Given the scarcity of research properly evaluating the relative predictive validity of self-efficacy, more primary studies including both self-efficacy and various

      • KCI등재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 산정을 위한 양방향 재하시험의 적용성 평가

        이동섭(Dongseop Lee),나경욱(Kyunguk Na),이원제(Wonje Lee),김형남(Hyung-nam Kim),최항석(Hangseok Choi)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4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3 No.4

        헬리컬 파일(helical pile)은 회전 관입기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소형의 장비로 말뚝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최근 다양한 현장에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을 평가하기 위한 현장 정재하시험은 시험하중만큼의 사하중, 반력 말뚝, 반력 앵커 등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헬리컬 파일에 상대적으로 재하장치가 간단하고 시험이 간편한 양방향 재하시험을 적용하였으며, 양방향 재하시험 결과와 정재하시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양방향 재하시험은 헬리컬 파일의 중공형 중심축(shaft)에 중심축의 직경과 일치하고 중심축 내부 공간으로 유압재하용 호스가 나올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유압식 셀(cell)을 나선형 원판(helix plate)사이에 삽입한 후, 유압 셀(cell)에 가압하여 지지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양방향 재하시험은 유압식 셀을 최하단 나선형 원판 상부에 삽입한 경우와 최상단 나선형 원판 상부에 삽입한 두 가지 케이스로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방법이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말뚝 두부의 변형을 제한하였다. 시험은 89mm, 114mm의 중심축에 450mm, 350mm, 200mm의 나선형 원판을 부착하여 제작한 헬리컬 파일로 수행되었으며, 시험 결과 정재하시험으로 산정한 지지력과 양방향 재하시험으로 산정한 지지력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The helical pile has become popular with some constructional advantages because relatively compact equipment is needed for installing helical piles. However, field loading tests for estimating the bearing capacity of helical piles have drawbacks that the required dead load should be as much as the operation load, and reaction piles or anchors are required. In this paper, the bi-directional load test without necessity of reaction piles and loading frames was applied to the helical pile, and the load-settlement curves of the helical piles were measured. The bi-directional load test was performed in two separate stages with the aid of a special hydraulic cylinder whose diameter is equal to that of the pile shaft. In the first stage, the hydraulic cylinder is assembled immediately above the bottom helix plate, and the end bearing capacity of the helical pile is measured. In the second stage, the hydraulic cylinder is assembled above the top helix plate, and the skin friction of the helical pile is measured. The pile loading-test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two different helical piles with the shaft diameter of 89 mm and 114 mm, respectively.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helix plates is identical with three helix plates of 450-, 350-, 200- mm diameter. Results of the bi-directional load test were verified by the conventional static pile loading test. As a result, the bearing capacity estimated by the bi-directional load test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 of the conventional pile loading test.

      • KCI등재

        L-system을 이용한 음악 시각화

        이동섭(Lee Dongseop),김효영(Kim Hyoyoung),박진완(Park Jin 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본 논문에서는 음악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음악 시각화 방법 및 절차에 관하여 기술한다. 음악 시각화를 위해 먼저 MIR(Music Information Retrieval)을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인 Processing의 Minim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음악에서 소리의 여러 요소를 추출하여 그 정보들을 분류 및 정리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소리의 요소들을 음악의 특징적인 요소들과 결합시켜 각 음악이 갖는 고유한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제안한다. 이러한 절차로 도출된 소리의 특징들을 데이터화 하여 L-system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음악에 대한 한 장의 이미지 결과물을 생성한다. 음악 요소의 시각적 매핑(mapping)을 위해 '나무'라는 메타포를 사용하였고, 음악에 사용된 악기, 화성에 따라 나무의 가지가 뻗어나가는 방향, 각도 등의 요소를 변화시켜 각 음악이 고유의 나무 이미지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시각화의 결과 이미지들은 직관적으로 음악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음악 시각화 관련 타 선행연구 및 사례와 비교하여 정보 전달의 직관성과 심미적 완성도를 병행한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described visualization and procedure of the music that could reproduce music visually. To visualize music, Minim library of processing, a program that could make use of MIR(Music Information Retrieval), was used to find out various kinds of factors of the sound from the music and to classify the information. Factors of the sound were combined with factors of the music to suggest conversion process that could express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made data to apply to L-system and to produce outcome of one sheet of image on the music. Metaphor of 'tree' was used to do visual mapping of music factors, and stretch direction and angles of tree branches made change depending upon musical instrument as well as harmony to have inherent tree images of each music. After visualization, images could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tuitively, and precedent researches and cases of music visualization were examined to have intuition of information transfer and aesthetic completion.

      • KCI등재

        하모니서치 알고리즘을 이용한 헬리컬 파일의 형상 및 재료비 최적 설계기법에 대한 연구

        나경욱,이동섭,이현지,최항석,Na, Kyunguk,Lee, Dongseop,Lee, Hyungi,Choi, Hangseok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2

        헬리컬 파일은 한 개 이상의 나선형 원판을 중공형 강재 축에 부착한 후 지반에 회전 관입시켜 지지력을 발현하게 하는 말뚝기초의 한 종류로서 별도로 천공작업 및 그라우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시공의 편의성과 말뚝 항타 등에 의한 소음이 없다는 장점이 있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Cylindrical shear method로 산정된 헬리컬 파일의 요구 지지력을 최소의 자재비용과 최적의 헬리컬 파일의 형상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하모니서치 알고리즘(Harmony search algorithm)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설계법을 제안 하였다. 또한 헬리컬 파일의 최적 설계 결과를 2009 International building code (이하, 2009 IBC)를 참고하여 규격화시킨 설계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두 설계법의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재료비 최소화를 위한 헬리컬 파일 형상의 최적 설계 기법은 헬리컬 파일의 경제성을 향상하여 헬리컬 파일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The helical pile is a manufactured steel pile consisting of one or more helix-shaped bearing plates affixed to a central shaft. This pile is installed by rotating the shaft into the ground to support structural loads. Advantages of the helical pile are no need for boring or grout process, and ability to install a pile foundation with relatively light devices. In this study, an optimized design method for helical piles is proposed to minimize the material cost with consideration of the load bearing capacity obtained by the cylindrical shear method. The harmony search meta-heuristic algorithm was adopted for optimization process. The optimized design wa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2009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t is noted that the optimization for the configuration of helical piles along with material cost proves to be an out-performed tool in designing helical pile foundation with economic fea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