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청도군 운문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과식생경관 관리방안 연구

        이도이,한봉호,곽정인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3

        본 연구는 청도군 운문사 주변 문화경관림의 주요 경관과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식생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문화경관림으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관 특성은 운문사에서 바라본 경관과 운문사를 바라보는 경관으로 두 가지 관점에서 8개의 경관조망점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운문사 입구의 수구막이 소나무림, 운문사 앞 전나무-소나무림, 사면 소나무림 등이 주요 경관이었다. 운문사 주변 현존식생 조사 결과, 소나무림과 소나무-전나무림이 79.2%로 넓게 분포하였다. 식물군집 구조는 총 30개 방형구를 조사하여 평지림, 사면림, 하반림의 3개의 지형 특성과 조사구별 우점종의 평균상대우점치에 따라 7개의 군집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별 식생구조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식생구조 변화 예측과 종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평지 소나무군집은 아교목층에 개서어나무가 우점하였고, 평지 소나무-전나무 군집은 관목층에 전나무의 상대우점치가 높았다. 평지 전나무군집은 교목층에 경쟁종이 없었고, 사면의 소나무 대경목군집과 소경목군집은 아교목층에 잔털벚나무, 굴참나무가 우점하였으며, 사면 관리된 소나무군집은 관목층에도 소나무 우점도가 높았다. 소나무 하반림군집은 아교목층에 때죽나무, 잔털벚나무가 우점하였다. 전체적으로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교목성상의 낙엽활엽수가 아교목층에 우점하고 있어 식생구조 변화가 예측되었다.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는 0.2360~1.4088이었으며, 상관관계 분석결과, 소나무와 부의 상관관계에 있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개암나무, 느티나무, 비목나무이었고, 전나무는 때죽나무, 소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관특성과 식물군집 구조를 분석하여 소나무 및 전나무림의 지속가능한 경관유지 및 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s located around Unmun Temple in Cheongdo-gu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manage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two perspectives including the landscape as viewed from inside and outside of Unmun Temple and eight landscape views are selected. Main views are Pinus densiflora forest and Abies holophylla forest around Unmun Temple.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existing vegetation around Cheongdo-gun Unmun Temple, P. densiflora forests and P. densiflora-A. holophylla forests are widely distributed, occupying 79.2% of the forest.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was classified into seven types according to the thre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lat forests, slope forests, and lower forests, Which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30 survey plots and the average relative importance percentage was determined. The P. densiflora community on the flat are dominated by Carpinus tschonoskii in Under-canopy. The P. densiflora-A. holophylla community on the flat had a relatively high rate of domination in the shrubs. There were no competing species for the A. holophylla community on the plat. The large standard P. densiflora and the small standard P. densiflora were expected to be confined by P. serrulata var. pubescens and the Quercus variabilis on the slopes. The managed P. densiflora community had a relatively high rate of P. densiflora domination in the shrubs. The P. densiflora community on the lowland was dominated by Styrax japonicus and P. serrulata var. pubescens. The Shanno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2360 to 1.4088.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P. densiflora, A. holophylla and other species were P. densiflora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cer mono, Corylus heterophylla var. heterophylla, Zelkova serrata and A. holophylla, and A. holophylla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S. japonicus and P. densiflora.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s are analyzed to propose management methods of maintaining and restoring The P. densiflora and A. holophylla cultural forest landscapes around Unmun Temple.

      • KCI등재

        UNet기반 Sentinel-1 SAR영상을 이용한 수체탐지: 섬진강유역 대상으로

        이도이 ( Doi Lee ),박소련 ( Soryeon Park ),서동주 ( Dongju Seo ),김진수 ( Jinsoo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5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재해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례적인 폭우 및 장마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현상은 가뭄, 홍수 등으로 이어져 2차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신속한 탐지가 중요하다. 수체탐지를 위하여 광학영상을 활용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폭우를 동반하여 발생하는 홍수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구름의 영향으로 탐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대변하기 위해 전천후 주야에 관계없이 관측가능한 합성개구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데이터로서 24시간 이내에 수집 가능한 Sentinel-1 SAR 영상을 활용하여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인 UNet을 적용하였다. 선행연구에서 SAR영상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체탐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를 대상으로 소수의 연구만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SAR 영상의 딥러닝 적용가능성을 파악해보고자 UNet과 기존의 알고리즘인 임계값(thresholding)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5가지 지수와 Sentinel-2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로 평가하였다. Intersect of union (IoU)로 정확도를 평가해 본 결과 UNet은 0.894, 임계값 방법은 0.699로 UNet의 정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딥러닝 기반 SAR영상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해상도의 SAR영상과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국내를 대상으로 주기적이고 정확한 수체의 변화탐지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The frequency of disasters is increasing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and unusual heavy rains and rainy seasons are occurring in Korea. Periodic monitoring and rapid detection are important because these weather conditions can lead to drought and flooding, causing secondary damage. Although research using optical images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to determine the waterbod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due to the influence of clouds in order to detect floods that accompany heavy rai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hat can be observed regardless of day or night in all weather. In this study, using Sentinel-1 SAR images that can be collected in near-real time as open data, the UNet model among deep learning algorithms that have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fields was applied. In previous studies, waterbody detection studies using SAR image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re being conducted, but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deep learning of SAR images, UNet and the existing algorithm thresholding method were compared, and five indices and Sentinel-2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ccuracy with intersect of union (IoU), it was confirmed that UNet has high accuracy with 0.894 for UNet and 0.699 for threshold method. Through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deep learning-based SAR images was confirmed, and if high-resolution SAR image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re applied, it is expected that periodic and accurate waterbody change detection will be possible in Korea.

      • KCI등재

        ‘거울과 그림자’ 단원 수업 활동의 인지요구도와 학생의 인지수준과의 관계 분석

        이도이 ( Lee Doyi ),전영석 ( Jhun Youngseo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8 초등과학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4<sup>th</sup> graders and cognitive demand of activities in lesson ‘The mirror and the shadow.’ Also, the researchers tried to reveal how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4<sup>th</sup> graders and cognitive demand of textbook activities affects the achievement of students. To stud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ers use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iaget’s scientific thinking is used to evaluate cognitive demand of textbook activities. With several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ers discussed which scientific thinking is contained in each activities.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 (1) The third of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2) The another third of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not onl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but also other factors experimental instrument. (3) The environmental factors had meaningful impact on the other third of activities.

      • KCI우수등재

        청도군 운문사 입구 수구막이 소나무림 식생구조 및 생육 특성

        강기원,이도이,한봉호,곽정인,Kang, Gi Won,Lee, Do-I,Han, Bong-Ho,Kwak, Jeong-In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5

        본 연구는 수구막이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생육특성 연구를 통한 문화경관림의 관리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경상북도 최남단에 위치한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 입구의 수구막이 소나무림으로 면적은 45,201㎡이다. 운문사입구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역사적 근거에 대한 사료는 전무하였고, 선형연구를 통해 운문사 입구 소나무림이 위치하고 있는 곳이 풍수지리적으로 수구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육현황은 조사구 98개에 대한 격자조사를 통해 전체 수목현황과 소나무 생육상태를 조사하였다. 생육현황 분석결과, 교목층에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붉나무가 분포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가죽나무 등 28종, 관목층은 개머루 등 92종이 생육하고 있었다. 소나무 식물군집 구조는 교목층 소나무 주수와 경급을 기준으로 연구대상지 내 소나무림의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소나무림 공히 교목층은 소나무가 우점하였고, 경쟁수종은 없었다. 저밀도의 소나무림 상대우점치는 평균 46.9이었고, 중밀도는 평균 62.6%, 고밀도는 평균 50.2%이었다. 저밀도 조사구의 Shannon의 종다양도는 평균 0.7055이었고, 중밀도는 평균 0.8966, 고밀도는 평균 0.8317이었다.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표본목 25주에 대한 연륜 및 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표본목 흉고직경(DBH) 분포는 38~77cm이었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61.1cm이었다. 수령은 84~161년이었고 표본목 평균 수령은 114년이었다. 수구막이 소나무에는 일제강점기에 송진 채취를 목적으로 낸 수간상처가 대부분 있다. 현황을 보면 전체 670주 중 송진 채취목이 659주로 전체의 98.3%이다. 그중 394주는 2005년에 외과수술을 실시하였다.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보존을 위해 고사목은 대체목으로 수형을 고려하여 중남부평지형 소나무로 복원하고, 대상지내 일본잎갈나무 등 외래종 제거와 외과수술을 한 소나무는 정기적인 살균·살충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e up with a way of managing a cultural landscape forest by conducting research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This study's target site, which was 45,201㎡ in size, was Pinus densiflora forest for Sugumagi placed at the entrance of Unmun Temple, Sinwon-ri, Unmun-myeon, and Cheongdo-gun in the southernmost part of Gyeongsangbuk-do, Korea. Sugumagi means the water of the valley flows far away, and where no downstream is visible according to feng shui. The historical sources of the Sugumagi Pinus densiflora forest at the entrance of Unmun Temple isn't clear. It waw only found at that locati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at the entrance of Unmun Temple is located in the waterway in terms of Feng Shui. The present condition of growth was investigated through a grid surveys of 98 trees and Pinus densiflora grow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growth status,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Zelkova serrata, Celtis sinensis, and Rhus javanica were distributed in the conopy layer, and 28 species including Ailanthus altissima were grown in the understroy layer, and 92 species, including Ampelopsis brevipedunculata, in the shrub layer.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was divided into low, medium and high-density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number in the conopy layer and the grade of and the tree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inus densiflora dominated the low, medium and high-density Pinus densiflora forests, and there were no competitive species. The relative dominance of the low-density Pinus densiflora forests was 46.9% on average, medium-density was 62.6% and 50.2% was found in high-density. The mean species diversity of Shannon in the low-density study was 0.7055, medium-density study was 0.8966 and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of Shannon in the high-density study was 0.8317. The analysis of the age and growth of 25 sample trees in the Sugumagi Pinus densiflora fores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chest diameter (DBH) of the sample Pinus densiflora is 38 to 77cm with the average chest diameter being 61.1cm. The age was 84-161 years and the average was 114 years. I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most(670,659, or 98.3%) of the tree trunk wound was collected for rosi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 Era, Of the total 670, 659 were Pinus densiflora, 98.3% of the total. 394 were surgically repaired in 2005.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ugumagi Pinus densiflora forest, dead trees should be replaced with substitute trees appropriate to the middle and south topography. It is demanded that foreign species such as Larix leptolepis in the research area should be removed and Pinus densiflora that underwent surgical operations should be regularly sterilized. It is also emphasized that the management of insecticide i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