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조건에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 Coleoptera: Coccinellidae)의 각 발육단계에 친환경농자재가 미치는 영향

        강은진,강명기,이희진,이대홍,석희봉,김다아,길미라,서미자,유용만,윤영남,Kang, Eun-Jin,Kang, Myong-Ki,Lee, Hee-Jin,Lee, Dae-Hong,Seok, Hee-Bong,Kim, Da-A,Gil, Mi-La,Seo, Mi-Ja,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무당벌레(H. axyridis)는 세계적으로 진딧물의 포식자로 널리 알려지면서 농생태계내에서 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인자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농약의 사용을 억제하는 정부정책과 소비자의 요구 등으로 인하여 친환경농업이 확대되면서 친환경농자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자재의 사용은 무당벌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살충성친환경농자재(IEFAMs)의 경우 무당벌레의 각 발육단계에 대하여 대부분 안전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살균성친환경농자재(FEFAM)의 경우에도 FEFAM A를 제외한 다른 종류들은 무당벌레에 대하여 영향이 적다.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EFAMSM)인 EFAMSM C와 H는 무당벌레 알의 부화율을 떨어뜨릴 수가 있으며, EFAMSM A와 F는 1령 유충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EFAMPE)는 EFAMPE A와 D는 무당벌레 알에 치명적인 독성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외의 다른 조사된 농자재들은 무당벌레에 비교적 독성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has been commonly used with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control of several kinds of aphids in agroecosystems. Also,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have been commonly applied in crop fields because the government held down pesticide application an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s are gradually increased with consumer's desires.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s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n crop fields. The insect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EFAMs) might be saff against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Fung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EFAMs) had a miner effect to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with the exception of FEFAM A.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useful soil microorganisms (EFAMSMs) C and H might be down the hatching rate of eggs, and EFAMSM A and F had a killing effect to 1st instar of lady beetles.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plant extracts (EFAMPEs) A and D might be suffered effect a deathblow of egg hatching with lady beetles. Otherwise, there was a miner effect to lady beetles with the rest of teste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 KCI등재

        실내조건에서 친환경농자재가 포식성 칠레이리응애, Phytoseiulus persimilis(Acari: Phytoseiidae)에 미치는 영향

        강명기,강은진,이희진,이대홍,석희봉,김다아,길미라,서미자,유용만,윤영남,Kang, Myong-Ki,Kang, Eun-Jin,Lee, Hee-Jin,Lee, Dae-Hong,Seok, Hee-Bong,Kim, Da-A,Gil, Mi-La,Seok, Mi-Ja,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시설재배지 내에서의 친환경농자재는 해충방제, 식물병방제 등의 작물보호를 위해 사용하기도 하지만, 작물의 생육을 도와주는 역할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친환경농자재는 점박이응애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와 중복 사용될 수 도 있다. 이때 친환경농자재가 칠레이리응애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친환경농자재는 함유된 물질과 사용방법에 따라서 61개를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친환경농자재를 직접 칠레이리응애에 분무하였을 경우, 심각한 독성(10% 이하의 생존율)을 보이는 친환경농자재들은 IEFAM C와 FEFAM A, EFAMSM A, D, EFAMPE A, EFAMCh B, EFAMME A, EFAMMo C 등이었으며, 영향이 거의 없는 농자재들로는 FEFAM C, D, EFAMSM C, EFAML A, EFAMME C, E, H, J, EFAMMo G, I등이었다. 친환경 농자재를 살포한 후에 남아있게 될 잔효독성을 평가한 경우, 48시간이 경과한 후에 EFAMSM I, EFAMME A, EFAMMo A, C, I 등이 독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EFAMCh C와 EFAMMo B는 칠레이리응애에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칠레이리응애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any kind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used for the insect pest control and the control of plant diseases, furthermore they support the growth of crops in the greenhouses and the kindly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Phytoseiulus persimilis might be used for control of two-spotted mites with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t the same time. For testing the toxicity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gainst to p. persimilis, 61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selected by material contents and using methods. When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directly sprayed on P. persimilis, IEFAM C, FEFAM A, EFAMSM A, D, EFAMPE A, EFAMCh B, EFAMME A, and EFAMMo C killed over 90%. However, there was no effects to FEFAM C, D, EFAMSM C, EFAML A, EFAMME C, E, H, J, EFAMMo G and I against P. persimilis. P. persimilis adults were not survived in vial for 48 hours after sprayed and dried with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er examples, EFAMSM I, EFAMME A, EFAMMo A, C, and I. Otherwise, EFAMCh C and EFAMMo B were no effects to P. persimilis. Som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re of different qualities, and consequently test of their foxily have to necessary.

      • 중국거주 조선족 여성의 영적 안녕정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성덕,이종범,김진성,서완석,배대석,박순재,주열,염형욱,김승원,김구묘,안영록,대홍,표미자,조창열,정태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1 No.2

        자아초월 정신의학이 체계화되면서 영성(spirituality)은 인성의 한 부분이라는 이론이 대두되었는데 이 영성은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인간의 성향 중 영적 안녕 정도를 파악하여 그 정도가 정신건강 중 허위성 경향, 정신병적 경향 및 불안과 우울 경향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저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중국의 연변 조선족 자치구에 거주하는 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영적 안녕척도를 사용하여 영적 안녕정도를 파악하였다.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과 이 척도의 2개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척도 양자로 평가한 성적이 불안-우울통합척도와 정신분열증 척도 및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적 안녕척도로 평가한 조선족 여성의 총점은 68.29로 한국의 기독교 여성이 평가한 100.65보다 훨씬 낮은 점수였다. 2) 불안·우울통합척도로 평가한 총점은 44.88로 연변노인이 평가한 점수와 일개지역의 한국농촌주민이 평가한 점수와 비슷한 결과였다. 3) 허위성 척도로 평가한 성적은 평균 74.57로 70점 이상이 86%(344명)이었으나 영적 안녕 성적과 허위성 성적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4) 영적 안녕총점은 정신분열증 척도로 평가한 정신병적 경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종교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높여준데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의 성적은 정신병적 경향을 낮게 해주었다. 5) 영적 안녕척도의 총점 및 두 하위척도인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은 불안과 우울에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영적 안녕총점이 높을수록 불안·우울 총점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6) 종교적 안녕 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종교적 안녕점수가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을 각각 다소 유의하게 높여주었으며 이에 비하여 실존적 안녕하위척도와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는 실존적 안녕정도가 높을수록 불안 및 우울점수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와 같은 성적을 미루어볼 때 연변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이 평가한 영적 안녕정도는 정신병적 경향과 불안 및 우울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면 이 척도의 하위 척도인 종교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실존적 안녕정도는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산주의 사회에서 실존적 안녕은 긍정적인 가치관으로 평가되는 반면 종교적 안녕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을 입증해 주었다고 하겠다. Background: Spirituality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is believed to have a larg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because it has been systematiz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spiritual disposition on human beings along with its effects on one's mental health.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targeted 400 women residing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which is a district of the Cho-Sun tribe in China. Their spiritual well-being was studied using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Korean Version.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consists of 2 sub-scales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 study was evaluated using a lie scale, psychotic trend, and a combined anxiety-depression scale. The results were considered to be factors of one's mental heal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each tendency was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ho-Sun tribal women according to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68.29 which was much less than the 100.65 of Korean Christia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Lie trend. However, it was found that 86%(344) of Cho-Sun tribal women scored above 70 in the Lie trend with a mean score of 74.57 which is higher than normal population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tic tre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the psychotic trend became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the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anxiety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depression level was somewhat significantly high when the religious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However, the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existential well-being was at a high level.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a person's mental health among Cho-Sun tribal women in Youn-Gil city of JiLIn Prov., P.R. of China. The results found that the religious well-being, which is a sub-scale of spiritual well-being, had negative effects while the existential well-be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These results proved that a person's religious disposition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in a communitari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