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산 머루주의 품질 특성 및 생리기능성

        이대형,유형은,이종수,Lee, Dae-hyoung,Yu, Hyung-Eun,Lee, Jo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5 自然科學論文集 Vol.15 No.1

        To develop a new functional fruit win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wild grape wine (WGW)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foreign grape wine (FGW). Ethanol contents of WGW was 11.0%, similar to that of FGW(10.6%), but total acidity(0.67%)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A_{520}$: 0.32) of WGW were higher than those of FGW(0.4%, 0.22). Antioxydant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WGW which is related in anti-aging functionality were 93.6% and 53.0%,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FGW(85.9%, 42.5%). from this results, we concluded domestic wild grape wine is very excellent functional fruit wine.

      • KCI등재

        에어 버블링을 이용한 침강속도 제어기법 적용 습식워터젯용 연마제 개발

        이대형,김영배,모세웅,김민호,이종무,Lee, Dae-Hyung,Kim, Young-Bea,Mo, Se-Woong,Kim, Min-Ho,Lee, Chong-Mu 한국세라믹학회 2010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7 No.3

        In recent years abrasive water jet (AWJ)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as a technology us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r cutting materials. In this paper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 new preparation method of abrasives for water jet by using an air bubbling sedimentation rate control technique. The SiC abrasives prepared by an air bubbling sedimentation rate control technique using latex resin are found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abrasives not only in surface roughness uniformity but also in lifetime. The AWJ test results also show that the former has also better impact-resistance and wear-resistance than the latt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홍길동전에 대한 이보상(李輔相)의 보수적 인식과 개작

        이대형 ( Lee Dae-hy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5 No.-

        1926년 『계명』 15호와 16호에 이보상이 한문현토체로 옮긴 <홍길동전>이 연재되었다. 이보상은 경판본 계열을 토대로 표현을 수정하여 제시하면서 기존 홍길동전에 대한 비평을 부가하였으며, 적서차별의 원인이 정도전의 탓이라는 언급을 하고 있다. 『계명』 의 <홍길동전>은 대체로 이전 <홍길동전>과 다르지 않은데, 1939년부터 1940년까지 홍길동전을 장편으로 개작하여 ‘촉규화(蜀葵花)’라는 제명으로 『매일신보』 에 연재할 때는 이전과 사뭇 달라졌다. <촉규화>는 기존 홍길동전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충효를 완성한 인물로 형상화하는 한편 환상적 요소가 많은 장편소설로 개작한 것이다. <촉규화>는 홍길동의 시대를 비정하는 등 역사적 사실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데 이는 이보상 소설의 일반적인 양상이다. <촉규화>의 독특한 점은 환상적 존재들과 도술 등이 등장한다는 점인데 이는 <봉신연의>의 영향이라고 저자가 밝혔다. 이보상은 <촉규화>에서 홍길동을 충효의 인물로 형상화하였는데 이는 작자의 보수적 성향에 부합한다. 그런데 홍길동의 행위 중에 잔인하게 가학적인 모습도 보이는데 이는 이념의 폭력성이 은연중에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In 1926 Keimyung(啓明) No. 15 and 16, Lee Bo-sang transferred Hangul edition of Honggildong-jeon to Hangul-suffixed-Chinese -story. Lee Bo-sang's Honggildong-jeon was based largely on the Gyeongpan(京板) edition, and contains criticisms of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It is unique that Jeong Do-jeon(鄭道傳) is to blame for the discrimination of legitimate children and illegitimate children, caused by the w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but the story is n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Honggildong-jeon. From 1939 on to 1940, Lee Bo-sang translated Honggildong-jeon into a new series, which was published 242 times in Maeilsinbo(每日申報) under the title ‘Chokgyuwha’(蜀葵花) which means hollyhock. Chokgyuwha critically inherited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and was adapted into a full-length novel that had many fantastic elements which was influenced by Fengshen-yanyi(封神演義). One way Lee Bo-sang has expanded into a feature novel is to add several episodes. Some of them criticize the powerful in the rural communities, but some of them are significantly weakened by the controversial issue of the ruling order compared to the existing Honggildong-jeon. Lee Bo-sang only carries a critical message to the extent that Hong Gil-dong, the child of a concubine can’t call his gather and that put corrupt persons to shame.

      • KCI등재

        이보상(李輔相)의 신문연재 장회체 한문현토소설 연구

        이대형 ( Dae Hyung Lee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40 No.-

        ‘조선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열풍에 따라 ‘조선학의 거벽’으로 일컬어지는 이보상은 1930년대에 『매일신보』에 한문현토소설을 10년넘게 연재하였다. 그의 소설을 읽은 독자들은 이보상이 주장하는 중세 윤리와 한문에 대해 긍정하는 ‘독자의 소리’를 보내 반응을 보였다. 이보상은 당대 풍속의 개선이 중세 이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여겼으며 그런 이념을 담은 조선의 이야기들을 나름대로 개작하여 신문에 게재하였다. 당대 풍속에 대한 비판은 여러 작품에 등장하는 졸부 형상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도입부 楔詞와 매회 일단락 짓는 收場詩 형식으로 대표되는 그의 장회체 기법은 조선의 소설에서는 구현된 적이 없던 것이다. 그러나 장회체 양식을 그대로 묵수하지는 않았고 이야기 내용에 대한 저자의 평가를 덧붙이는 등 나름의 변화를 꾀하기도 했다. 평가를 붙이는 것은 傳 양식에서 비롯되어 조선시대 한문소설에 보편화되었던 것이므로 내부적 맥락의 계승으로 볼 수 있다. Lee Bosang(李輔相) was reputed to be a best expert in Joseon Studies. Based on social interesting in Joseon Studies, he had written novels serially in the newspaper Maeilsinbo(每日申報) over 10 years(1930-1942). Even though he had translated Chinese enlightenment novel into Hangul-suffixed-Chinese-story, he emphasized on Chinese and insisted that the original novel was written by Chinese so that it needs to be change old Korean novels to original status. His readers contribute to Maeilsinbo to support his medieval ethic and opinion. Like campaign of unofficial historical story(野談) was treated as a new style even it is from mixed Japanese Gangdam(講談) and Chinese Seolseo(說書), his novel style was brought from Chinese Janghoe(章回)-novel style. His Janghoe style is represent seolsa(楔詞) which never had been found in entire Joseon novels before. However he did not adhere to his own style and tried to change his own style by adding historian criticism and so on.

      • KCI등재

        「최척전」의 이본(異本), 『삼국기봉(三國奇逢)』에 대한 연구

        이대형 ( Dae Hyung Lee ),유춘동 ( Choon Dong Yoo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삼국기봉』은 프랑스 기메 박물관 (Musee Guimet) 에 소장되어 있는 「최척전」의 이본(異本)이다. 이 책은 한문 필사본 (韓文筆寫本)으로 매면 10행, 행 당 15~16자, 전체 45장으로 내용을 필사해 놓았다. 이 책의 구매자는 프랑스의 민속학자였던 샤를 루이 바라(Charles Louis Varat, 1842~1893)였다. 그는 조선에 입국했던 1888년~1889년 사이에 이 책을 구입했다. 한편, 이 책을 바라에게 판매했던 사람은 바라가 자료를 수집했던 과정을 보았을 때 책을 전문점으로 매매했던 ``상업출판물업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한문으로 표기되었고 「최척전」의 내용과도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이로 인하여 단순한 이본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제목에서부터 세부 내용에 이르기까지 많은 차이가 있다. 먼저 책 제목을 『삼국기봉』으로 개명(改名)했다. 그 이유는 이 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의 기이한 인연과 만남, 이 소설이 지닌 기연기봉(奇緣奇逢)의 구조를 인식했기 때문이다. 내용에서도 부연, 확장, 변개가 이루어졌다. 부연이나 확장은 옥영의 시비였던 춘생의 죽음 과정, 최척을 되와주었던 여유문과 주학천의 행적, 옥영이 중국을 떠나 조선으로 귀환할 때 그곳 사람들과의 이별 장면 등에서 일어났다. 변개는 종사관 이민환이 명나라 패잔병들을 후금(後金) 진영으로 보내는 부분, 최척과 몽석의 도주를 돕는 조선 토병 출신의 호장(胡將) 의 진술, 작품 마지막에서 볼 수 있는 촌평, 창작시기와 저자를 기술하는 부분 등에서 보인다. 부연이나 확장은 기존본에서 간략하거나 자세히 다루지 못했던 부분에서, 변개는 민감한 사항과 서사 진행에 방해가 되는 부분에서 일어났다. 『삼국기봉』에서 주목할 점은 이 책이 한문으로 표기되었지만 한글 소설의 서사문법이나 방식을 차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화설(話說)‘선시 (先時)``와 같은 장면 전환어의 빈번한 사용, 장면 묘사나 인물 간의 대화 증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특성은 두 가지 가능성을 지닌다. 한글소설의 유행으로 한문소설에서도 이러한 형식을 차용했을 가능성과 『삼국기봉』이란 제목을 지닌 한글본을 한문으로 다시 옮겨 적었을 경우이다. 현재로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새로 발굴될 한글본이나 한문본에서 이러한 사실이 규명될 것으로 보인다. 『삼국기봉』의 이러한 특성은 17세기에 창작된 이 소설이 독자들에게 확산되어 읽히면서 후대에 어떻게 변화 및 변모되었는지의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삼국기봉』은 원작(原作) 「최척전」이본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시론적(試論的)으로 다루었다. 『Samgukgibong』 is a different version of 「Choicheokjeon」kept in the Musee Guimet in France. This book is a manuscrip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its contents were transcribed with 10 lines per page, 15~16 letters per line, and a total of 45 chapters. The purchaser of this book was Charles Louis Varat, a French folklorist. He bought this book at 20nyang between 1999 and 1998 when he entered Joseon(朝鮮). Meanwhile, the seller of this book appears to be a commercial publisher who sold books as a profession given the course by which Varat collected data and a transcripter. This book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its content are similar to those of 「Choicheokjeon」; thus, it may be simply thought of as a different version. However, from the title to the detailed contents, there are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copy. First, the title was renamed to be 『Samgukgibong』. This is because of weird relationships. Meetings of various characters appearing in this novel and this novel was recognized to show well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iyeongibong(奇緣奇逢). Next, there were amplification, extension, and alteration in contents, amplification of extension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death of Chunsaeng who was the maid of Okyeong, the whereabouts of Yeo Yu-mun and Ju Hak-cheon who helped Choe Cheok, and separation from people in China when Okyeong returned to Joseon from China. Alteration is shown in a scene where Lee Min-hwan, a military officer, sends the defeated soldiers of the Ming Dunasty to the military camp of the later Jin Dynasty, a speech by a barbaric commander from Joseon, who helped Choi Cheok and Mong Seok run away, and a description about the creation period and the author in the later part of the work. Amplification of extension appeared in a part which was simpler or was not in detail in the existing copy, and alteration was shown in a part which was sensitive or hinders the progress of narration. In particular, what is notable is that this book is similar to the novel in Hangeul (Korean letters )in terms of narrative grammar of type, although it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some transition words for scenes or conversations between characters. Such characteristics of the book are important in that they enable us to suppose the pattern how 『Choicheokjeon』is changed or transformed while it is distributed and read by readers.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승려 문집의 『장자(莊子)』 수용과 활용 - 『침굉집(枕肱集)』을 중심으로

        이대형(Lee Dae Hyung)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8 No.-

        불교에서 『장자』를 대하는 태도는 대체로 우호적이다. 불가의 필독서로 꼽히는 『치문경훈(緇門警訓)』에 『장자』에서 유래한 표현들이 보이고, 사상면에서 『장자』에 대해 부분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차이는 있지만 긍정한다는 점에서는 다를 바 없다. 조선시대 승려 문집에서 『장자』를 대하는 태도 역시 대체로 긍정적이다. 청허휴정처럼 비판한 경우도 있으나 그 이후로는 대개 불교와 같은 진리로 여기는 입장을 보인다. 그래서 조선후기 승려 가운데는 『장자』의 표현을 법호로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발견된다. 『장자』 가운데서도 특히 붕새이야기가 기재된 「소요유」와 호접몽이 기재된 「제물론」이 핵심사상으로 자주 언급되곤 하였다. 『장자』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은, 조선시대 불가에서 자기만의 특색을 강조하기보다는 삼교회통의 관점이 주도적이었다는 점과 관련된다. 이는 성리학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조선사회라는 틀에서 불교가 생존하기 위한 방안일 수 있다. 『장자』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므로 글쓰기에서 그 표현을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불가 문집 가운데 『침굉집』은 특히 빈번하면서도 다채로운 방식으로 『장자』를 활용하였다. 『침굉집』에는 『장자』의 문맥을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을 해체하여 자신의 문맥에 맞게 재조합하는 경우가 여러 차례 발견된다. 기존 번역서를 검토한 결과 『장자』 문맥과 다르게 활용한 표현들에 대해서 그 차이를 유념하지 않고 『장자』 문맥대로 번역한 경우들이 보인다. 사실 『장자』만이 아니라 다른 문헌들에 대해서도 원래 표현과는 다른 방식으로 활용한 경우가 발견되는데 이는 침굉의 문장력을 보여주는 측면이기도 하다. Buddhists have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Chuang-tzu (『莊子』). Chimunkyunghun (『緇門警訓』), one of the must-reads for Buddhists, is a good example. It has used similar expressions and ideas from Chuang-tzu. This friendly attitude tended to be stronger in the Joseon Dynasty.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Buddhist monks still keep this friendly attitude, with the exception of Cheongheo Hyujeong (淸虛 休靜), who expressed criticism of Chuang-tzu. In the later Joseon Dynasty, some Buddhist monks used words from the Chuang-tzu for their own Dharma name as well. For example, there are Buhyu Seonsu (浮休 善修), Soyo Taeneung (逍遙 太 能), Heobaek Myoungjo (虛白 明照), etc. I think t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Chuang-tzu suggests that Buddhists have treated Taoism and Confucianism as similar kinds of truth. Two especially well-known stories from Chuang-tzu, a story of a roc and a story of a butterfly dream, were frequently mentioned. The intermixture of those three religions could be the means for Buddhism to survive through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dominated the nation. Since Buddhists accepted the ideas of Chuang-tzu, they have used the expressions in Chuang-tzu in various ways. Chimgoengjip is outstanding in this manner and displayed creative variations. Chimgoeng Hyeonbyeon (枕肱 懸辯), the writer of Chimgoengjip, frequently quoted Chuang-tzu and changed words, putting them in another way in his context. Later, translators sometimes misinterpreted such cases. They mi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meaning in Chuang-tzu and the transformed meaning in Chimgoengjip. In fact, Chimgoeng utilized many expressions not only from Chuang-tzu but also from other literature such as The Book of Odes etc., which proved his remarkable writing skill.

      • KCI등재

        11세 여아의 소음순에 발생한 체모압박증후군 증례보고

        이대형 ( Dae Hyung Lee ),고민환 ( Min Whan K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3

        Hair tourniquet syndrome refers to the strangulation of appendages by a thread of human hair. This condition can lead to ischemic injury of these appendages. Thus, to avoid constrictive injury, prompt recognition and treatment are very important. Affected areas include fingers, toes, and genitalia. Hair tourniquet syndrome involving the labium minora is extremely rare. We here report a case of hair tourniquet syndrome involving the labia minora in an 11-year-old gir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