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펠러 설계 형상에 따른 식품 고속기류식분쇄기 성능 분석

        이다연 ( Da Yeon Lee ),박세준 ( Se Jun Park ),장예림 ( Ye Rim Jang ),박건수 ( Keon Soo Park ),이충호 ( Choo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대두를 비롯한 식품의 영양성분을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하여 거의 모든 원료를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는 기류식 분쇄기 기술의 개발이 활성화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lidworks S/W Flow Simulation을 활용하여 두께를 변화시켜 분쇄기에 가장 최적화된 임펠러의 형상을 비교하는 CFD를 수행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유동 해석을 수행하기에 앞서 기존 임펠러의 두께인 약 33mm와 공차가 10mm인 약 23mm와 43mm의 임펠러 모델링을 설계하였다. 분쇄부를 제외한 분쇄기의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하여 모델링을 단순화하였다. 외부로 유형을 설정한 후 회전 영역을 z방향으로 각 임펠러의 형상에 동일한 RPM 값을 부여하였고 대두를 활용하여 유동 해석을 진행하기 위해 유체 중 비뉴턴 액체에 대두의 물성치를 입력하였다. 임펠러 영역에 중점적으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분쇄부 모델링은 경계 조건인 실제 벽(Stator)을 대입하였고 유입구 질량 유량 및 유출구 질량 유량을 각각 모델링에 설정하여 질량은 연구 목표인 10kg/h이상을 부여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각 임펠러에 해당하는 압력 및 속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23mm, 33mm 임펠러의 경우 최대압력이 3.18, 1.51Pa이고 최대속도가 132.4, 222.4m/s로 도출되었다. 43mm 임펠러는 같은 속도와 조건을 부여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 대두가 임펠러 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고 분쇄부 영역 안에서 순환되어 정체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해석결과,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고 질량유량이 높은 33mm의 임펠러가 가장 최적화된 형상으로 사료된다. 향후 기류식분쇄기의 최적설계인자를 도출할 계획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파사드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사고를 통한 조명언어에 관한 연구

        이다연 ( Da Yeon Lee ),이재규 ( Jae 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파사드 디스플레이는 공간과 인간을 매개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장으로서 비언어 요소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파사드는 주간과 야간에 따른 다양한 표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조명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에 비하여 조명의 비언어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조명을 인지하는 시각적 사고의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조명언어의 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이 목적이다.(연구방법) 파사드 디스플레이의 시각요소들을 조명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맞추어 조명언어의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디자이너의 다양한 표현성이 나타난 일본의 플래그쉽 스토어 6곳을 주, 야간을 비교하여 조명언어의 분석틀에 따른 표현성과 시각적 사고 현상의 결과를 도출한다.(결과) 조명언어는 다른 시각언어의 시각적 변이(비 물성, 광원색, 시각적 질감, 패턴의 형성)로서 나타난다. 시각적 재구성을 통한 조명언어는 신체의 시각적 사고(공간성, 감각의 중첩, 시간성, 경험과 기억의 연상, 상호작용)를 통하여 다양한 현상으로 인지되며, 결과적으로 공간의 비언어적 메시지 전달로서 체험적이고 감각적인 요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Facade display is a field of nonverbal spatial communication that mediates space and humanity in an era when nonverbal element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in the past. A facade represents a variety of expressions that can even be presented at night (with lighting). Therefore, it seems that the nonverbal characteristics of lighting have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This research, therefore,is intended to attestto the possibility of a lighting language based ona theoretical study of visual thinking and perceived lighting. (Method) The framework for this analysis was based on the visual elements of facade displa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rough lighting, ; accordingly, six Japanese flagship stores designed with various expression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by day and by night. The results are explained in terms of expressivity and visual thinking. (Result) Lighting language appears as the variation of visual language (i.e., immateriality, source colors, visual texture, and formation of patterns). When it is reconstructed visually, this languages perceived as various bodily phenomena (i.e,. spatiality, superposition of senses, temporality, association of experiences and memories, and interactions). The findings support the possibility of experiential and sensuous elements in the communication of spatial nonverbal messages.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CPS)의 문제 이해 단계를 위한 중등학생용 온라인 지원 도구 개발

        이다연 ( Da-yeon Lee ),임철일 ( Cheol-il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중등학생의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문제 이해 단계를 위한 온라인 지원 도구를 개발하고, 학습자 및 교수자의 반응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문제 이해를 위한 온라인 지원 도구는 어떻게 설계 및 개발되는가? 둘째, 창의적 문제 이해를 위한 온라인 지원 도구에 대한 중등학교 학습자 및 교수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분석, 도구 설계, 도구 개발 및 사용성 평가, 도구 사용 및 현장 평가의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두 차례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개발된 창의적 문제 이해를 위한 온라인 지원 도구(CPS-U )는 소개 페이지, 기회의 구성 페이지, 자료의 탐색 페이지, 문제의 골격 구성 페이지, 요약 및 공유 페이지, 도움말 페이지로 구성되었다. 학습자 및 교수자의 평가를 통해 온라인 도구가 창의적 문제 이해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구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이해하는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도구의 인터페이스, 기능 및 디자인에 대한 학습자 및 교수자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결과물을 동료 학습자 및 교수자와 공유할 수 있는 것을 강점으로 언급하였다. 하지만 기회의 구성, 자료의 탐색, 문제의 골격 구성과 같은 표현이 중등학교 학습자들이 이해하기에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영상, 비디오 등의 자료를 첨부할 수 없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도구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학습자 및 교수자용 활용 지침을 개발하였으며, 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 개발된 도구를 통해 중등학교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n online support tool that can assist secondary school learners in the creative understanding of problems and to analyze the learner and educator responses to that tool.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twofold. First, how can an online support tool that assists in the creative understanding of a problem be designed and developed? Second, what are the responses of secondary school learners and educators in regards to the online support tool?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design and development methodology and consisted of four steps. The online support tool for the creative understanding of problems(CPS-U) consists of an introduction page, constructing opportunities page, exploring data page, framing problems page, a summary and sharing page, and a help page. The online support tool(CPS-U) was utilized in a 9th grade English class, with the learners’ and educator’s responses to the online support tool being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 support tool effectively supports the creative understanding of problems. The learner and educator’s response to the tool’s interface, functions, and design were generally positive. The online support tool is expected to be used in secondary school contexts and enable learners to understand problems creatively, further contributing to the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공간구문론을 통한 아돌프로스 단독주택의 공간 구조 특성 연구

        이다연(Lee, Da-Yeon),전병권(Jun, Byung-Kweon) 한국주거학회 2016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Architecture is a field that embodies human behavior, and depending on the function and importance of space, each architecture shows difference in size, variety in height and form. In terms of composing space, among modern architects, Adolf Loos utilizes freedom and interconnectivity the best. In his work Ornament und Verbrechen, he stated that ornaments are relics of barbaric customs and all architecture should be deprived of ornaments. He also wholeheartedly believed that, even by fulfilling only the necessary functions, art form can be achieved. Such philosophy of Adolf Loos, as the first architect to attempt European rationalism in architecture, influenced great architects like Gropius and Le Corbusier.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Adolf Loos’s house, which emphasizes the functional aspect of space, and uses space syntax, a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to make a comparison with Villa Savoye, one of Le Corbusier’s representative works. In the process, spatial structure features of Adolf Loos’ house will be studied.

      • KCI등재후보

        기독교철학과 상담심리와의 만남 예배공간과 멀티테라피 -성막에 나타나는 오방색의 의미분석 중심으로-

        이다연 ( Da Yeon L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1 기독교철학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obang-saek(color) that appeared in the tabernacle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o suggest that combine of therapeutic environment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reactions of real users in worship space. The Bible looks at a process in God command to Moses for detailed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about the tabernacle and the tabernacle of the things that almost takes the form of Fine Arts. And it takes a new aspect about the side of the art that has been the subject of a moderately indifferent by the dichotomy paradigm of the Christianity has evolved along with the diversity on unity, the type of worship and theology to believe in God and to serve in the huge histo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ill be discussed with a focus about the meaning of obang-saek(color) and worship space. In the life of the modern Christians, the worship space in which for the human in the God and whole people dimension, the mutual reversal is made gives the effect that it is abundant in the change of the form in the worship space reflecting the chronometry actually and organization Therefore, because of the art is used in the space and belonging to the range for the kind sieving, thats in availability in the worship space aren't the lateral. Certainly it installs including the concern about the art to be principal to the Christian which receives the binding against 's clerk and which it lives a life in the norm under of the Bible along 's guidance of Jesus. In this middle, the meaning that the obang-color aspect shown up among the film formation process is used is not. However, the object of the eagle focuses on the meaning of the obang-color and worship space and tries to consid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