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곡학파의 지역적 전개와 사상사적 의미

        이남옥(李南沃)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이 글은 18~19세기 하곡학의 계승과 지역적 확산에 대해서 검토하여 조선후기 사상 지형에서 하곡학파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곡학파는 하곡 정제두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한 일군의 학자를 말한다. 영일정씨 정제두 가계, 전주이씨 이경직 가문의 이광명 가계ㆍ이광사 가계ㆍ이광신 가계, 평산신씨 신대우 가계 등 하곡학파 주요 가계의 족보ㆍ가승ㆍ묘도문자ㆍ행장 등을 분석한 결과 18~19세기 하곡학파는 대체로 강화에서 경기와 충청 지역으로 전개되어 간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일정씨 정제두 가계는 강화와 통진을 주요 거점으로 하면서 천안 등지로 확산되어 갔고,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이광신 가계도 충주ㆍ은진ㆍ노성 등 충청 지역으로 확산되어 가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이광명 가계는 강화에 세거하였고, 평산신씨 신대우 가계는 광주 이거 후 세거하였다. 이 과정에서 강화ㆍ광주ㆍ진천은 하곡학파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정제두의 묘와 거처를 비롯해 하곡학파 관련 유적이 있는 강화는 하곡학을 계승하는 공간이 되었고, 신작과 정약용의 학술교류가 이루어졌던 광주는 하곡학과 다산학이 접하는 공간이 되었다. 그리고 19세기 말 소론계 인물 다수가 교류한 진천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하곡학이 새롭게 부상하는 공간이 되었다. This article aimed to enhanc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Hagok school in the thought top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succession and regional spread of Hagokhak in Jose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Hagok School refers to scholars who succeeded Hagok Jeong Jedu’s scholarship and though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genealogy, family tree, inscriptions, and biography of major Hagok school families are as follow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ome of the Hagok School, represented by the Yi Gwangmyeong family, gathered around Ganghwa, and most of the families except for this spread to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In this process, Ganghwa, Gwangju, and Jincheon were used as major bases for the Hagok school. Ganghwa, where Hagok school-related ruins, including Jeong Jedu’s tomb and residence, were located, became a place to inherit Hagokhak; and Gwangju, where academic exchanges between Sin Jak and Jeong Yakyong were held, became a place where Hagokhak and Dasanhak me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incheon, where the Soron(小論) exchanged, became a place where Hagokhak newly emer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 KCI등재

        16세기 퇴계학파의 서당 경영

        이남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Like the image in Kim Hongdo's paintings drawn in the 18th century, the Seodang is generally known as an elementary education space. It was not that there was not a Dongmong Seodang(童蒙書堂) which teacher teaches young children.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dang showed various forms of existence. In the 16th century Andong(安東) area, the Seodang, which was influenced by Yi Hwang(李滉)'s aspect of Seodang, was erected since he built the Gyesang Seodong(溪上書堂) and Dosan Seodang(陶山書堂). The Toegye school basically settled in a quiet and scenic place, away from the world, and used it as space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Yi Hwang, Kim Seongil(金誠一), and Ryu Seongryong(柳成龍), who had been in office, withdrew from the mediation and used the Seodang as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By the way, while Yi Hwang and Kim Seongil used the Seodang as a place to teach their disciples, Ryu Seongryong built the Seodang as the main purpose of his discipline. Accordingly, Kim Seongil erected the Seokmun Jeongsa(石門精舍) and the Okbyeong Seojae(玉屛書齋), and Ryu Seongryong ran the Wonji Jeongsa(遠志精舍) and the Okyeon Seodang(玉淵書堂). On the other hand, Jo Mok(趙穆) expanded the Wolcheon Seodang(月川書堂), which was the traditional Jo's family school, and used it as a space for students to learn the basics of their studies. They basically managed the Seodang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However, they managed to run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academic tendency and personal preference. 18세기 그려진 김홍도의 풍속화 속 이미지처럼 일반적으로 서당은 훈장에 의한 초등교육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훈장이 어린아이들을 가르치는 동몽서당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조선후기 서당은 이보다 다양한 존재 양상을 보인다. 이황이 계상서당과 도산서당을 건립하여 강학한 이래로 16세기 안동 지역에서는 그의 서당관에 영향을 받은 서당이 건립되었다. 퇴계학파는 기본적으로 세속으로부터 떨어져 조용하고 풍광 좋은 곳에 서당을 세워 藏修講學處로 활용하였다. 관직 생활을 한 이황ㆍ김성일ㆍ류성룡은 모두 조정에서 물러나 강학처로 서당을 활용하였는데, 이황과 김성일이 문인에게 학문을 전수하는 공간으로 서당을 활용한 반면, 류성룡은 자신의 수양을 주요 목적으로 서당을 건립하였다. 이에 따라 김성일은 석문정사와 옥병서재를, 류성룡은 원지정사와 옥연서당을 경영하였다. 한편, 조목은 기존의 가숙서당인 월천서당을 확장하여 문인들에게 학문의 기본을 다지는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도학형 서당을 경영하였으나, 각자의 상황과 학문적 성향 및 개인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서당을 경영하였다.

      • KCI등재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내력과 지역적 전개

        이남옥(李南沃)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7

        이광명이 강화로 이거 한 이후 정제두의 문하에 출입하고 뒤이어 이광사와 이광신이 정제두의 문인이 됨에 따라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은 하곡학파의 주요 가문의 하나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광명 등의 고조인 이경직은 서인으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비정상적 현실을 인정하고 권도를 행하여 강화를 주장하였으며, 조부인 이대성은 소론으로 임금이 중정(中正)의 도리를 펼쳐 당습을 혁파하는 탕평을 주장하였다. 이는 서인으로 활동하다 노소분당 이후 점차 소론화 되어가는 정제두의 정치적 성향과 유사하며, 비상 상황에서의 권도와 양란에서의 강화를 긍정하고 국왕 중심의 황극탕평론을 주장했던 정제두의 학문 지향과 궤를 같이 한다. 이러한 정치적·학문적 유사성과 함께 이경직-이정영-이대성이 강화 지역과 인연이 깊었기 때문에 이광명·이광사·이광신 등은 정제두의 문인이 되고 그 후손들은 하곡학파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이광명의 가계(이광명-이충익-이면백-이시원-이상학-이건창)는 강화 지역에 대를 이어 묘역을 조성하고 세거지를 형성하였으며, 계속해서 과거에 급제하고 관직에 진출했다. 또한 하곡학파 주요 가계와의 세교를 유지했는데, 이는 학문적·경제적 토대의 안정을 불러와 하곡학 계승의 배경이 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이광명 가계는 이광사 가계나 이광신 가계와는 달리 계속해서 하곡학파의 주요 가계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After Yi Gwangmyeong moved to Ganghwa, he entered the school of Jeong Jedu. Subsequently, Yi Gwangsa and Yi Gwangsin became disciples of Jeong Jedu. As a result, JeonjuYissi Deokcheongunpa Yi Gyeongjik family grew into one of the main families of the Hagok school. Yi Gyeongjik was Seoin(西人), and insisted on reconciliation as a temporary measure during Jeongmyohoran(丁卯胡亂, Manchurian troops’ invasion of Joseon in 1627),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Manchurian troops’ invasion of Joseon in 1636). Yi Daeseong was Soron(少論), and he insisted on the political harmony emphasizing the role of the king. This was similar to Jeong Jedu’s political and academic disposition. He also had Seoin-Soron political stance, affirming reconciliation and insisted on the king-centered political harmony. Along with these political and academic similarities, Yi Gyeongjik, Yi Jeongyeong, and Yi Daeseong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Ganghwa, so Yi Gwangmyeong, Yi Gwangsa, and Yi Gwangsin became disciples of Jeong Jedu and their descendants could become Hagok school. However, it was for the following reason that only Yi Gwangmyeong’s household continued to occupy the position as the main family of the Hagok school. Yi Gwangmyeong’s household succeeded the generation of graveyards and formed residences in Ganghwa. In addition, they continued to pass the exam and advance into the office. Moreover, he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ajor families of the Hagok school. These brought about the academic and economic stability of Yi Gwangmyeong’s household, and could serve as the background for the succession of Hagokhak.

      • KCI등재

        『箕田攷』와 조선후기 箕子 遺田에 대한 논의

        이남옥 ( Yi Nam-ok ) 조선시대사학회 2024 朝鮮時代史學報 Vol.0 No.109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cussions on Gijeongo and the land system of Gija in the late Chosŏn Dynasty. In 1790, during a diplomatic mission, Seo Ho-su recommended a book on the historical records of Gija’s land system to Qing officials who requested a book representing Chosŏn’s scholarly theories. He immediately reported this to the court upon returning home, leading to the creation of Gijeongo, which was then sent to Qing China. Gijeongo was compiled and edited mainly based on Han Baek-gyeom’s theory of Gijeon, including writings by Yu Geun, Heo Seong, and Yi Ik. Han Baek-gyeom had proposed that the land in Pyeongyang was not in the shape of a well[井] but rather in the shape of a field[田], suggesting that the ancient system of the Yin Dynasty which Mencius or Zhu Xi could not figure out, ha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times, a theory that gained acceptance among scholars of both the Namin[南人] and Seoin[西人] factions. However, Seo Myeong-eung, after being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refurbished the relics of Gija in Pyeongyang, especially those related to the Jeongjeon, and compiled relevant theories into the book Gija Oegi[箕子外記]. During this process, he advocated for the theory of Jeongjeon. His son, Seo Hosu, was well aware of these circumstances, which allowed him to recommend books on the historical records of Gija’s land system to the officials of Qing China. In fact, the publication of Gijeongo was motivated by the anticipation of its inclusion in the Sagojeonseo[四庫全書], but ultimately, it aimed to provide evidence that the Chosŏn Dynasty was a civilized nation influenced by Gija.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인적네트워크

        이남옥(Yi, Nam-ok)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49

        霞谷鄭齊斗(1649~1736)는 주자학이 주도하고 있던 조선후기 사회에 양명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 왔다. 그 결과 그의 가계를 비롯한 교유관계 조차도 양명학과 관련하여 설명하려는 경향성을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제두의 인적 네트워크에 대해서 살펴보고 양명학적 계보가 형성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정제두 이전 가문은 정유성의 현달과 함께 서인 핵심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정제현이 효종의 부마가 된 것은 상징적인 모습이다. 정유성의 장인은 이구함이며, 정창징의 장인은 홍익한이며, 정상징의 장인은 이기조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가문은 서인·남인과 혼맥으로 모두 연결된다. 한편 정창징과 정상징의 사위는 대체로 서인-노론으로 분류할 수 있고, 사위들 가운데 이세백과 민진주가 정치적·학문적으로 명성이 높았다. 이때는 노소분당 이전이기 때문에 이 가문은 서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묘도문자 찬자를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정유성의 묘도문자는 송시열·정제두·이의현이 찬하였고, 정창징의 묘도 문자는 송시열·김수항이 찬하였으며, 정제현의 묘도문자는 서명응·정제두·이경석·김수항이 찬하였다. 이는 정유성 가문이 노론과 소론을 모두 아우르는 서인 핵심 가문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제두 가계는 정제두의 학문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소론 핵심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정제두의 장인은 윤홍거·서한주이며, 정후일의 장인은 이단상·유춘양이며, 정지윤의 장인은 이징성이다. 윤홍거·서한주는 서인이며, 이단상은 서인-노론으로 볼 수 있고, 이징성은 소론이다. 이를 통해 보면 정후일이 혼인할 때까지만 해도 정제두 가계는 노론과 소론을 모두 아우르는 서인 가계였고, 이후 소론화 경향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 가계에서 받아들인 사위를 보면 소론화 경향성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정제두의 사위는 이징성이며, 정후일의 사위는 이광명·이경호·임달호·신대우·이영익이다. 이들은 모두 소론이다. 다만, 이광명·이영익은 이진유 가문의 인물로 준소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경호는 완소계로 분류할 수 있다. 정제두가 소론의 산림학자로 명성이 높았기 때문에 이후 정제두 가계가 준소계와 완소계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소론 핵심 가문이 된 것이다. 묘도문자 찬자를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확연히 드러난다. 정상징의 묘도문자는 윤증·정제두가 찬하였고, 정제두의 신도비명은 신대우가 찬하였으며, 정후일의 묘도문자는 윤동도·이충익이 찬하였다. 이 가계의 묘도문자 찬자 역시 모두 소론이며, 윤동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인척관계에 있는 인물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정제두의 인적네트워크는 “서인+남인→서인(노론+소론)→소론(완소+준소)”의 경향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Hagok Jeong Jedu had been noted for his study of Yangm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his marriage relationship and communion relationship also tend to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Joseon Yangming school.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Jeong Jedu’s human network and verify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Joseon Yangming school. The Jeong Jedu family grew into a Seoin(西人) core family with his grandfather, Jeong Yuseong, becoming the main bureaucrat. And his cousin, Jeong Jehyeon, is the son-in-law of Hyojong(孝宗) a symbolic figure representing the political growth of the family. Jeong Jedu’s big father, Jeong Changjing, was Hong Ikhan’s son in law and Jeong Jedu’s father, Jeong Sangjing, was Yi Gijo’s son in law. Therefore, untill this time, this family was connected to both Seoin and Namin(南人). Sons in law of Jeong Changjing and Jeong Sangjing were generally classified as Seoin-Noron(老論). Among them, Yi Sebaek and Min Jinju were highly reputed politically and acdemically. So, this time, this family can be classified as Seoin. Looking at cemetery writers, this tendecy is evident. Jeong Yuseong’s cemetery was written by Song Siyeol, Jeong Jedu and Yi Uihyeon. And Jeong Changjing’s cemetery was written by Song Siyeol and Kim Suhang. Furthermore Jeong Jehyeon’s cemetery was written by Seo Myeongung, Jeong Jedu, Yi Gryeonseok and Kim Suhang.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family grew into a Seoin core family, including Noron and Soron(小論). On the other hand, as the academic status of Jeong Jedu increased, his family had grown up as a Soron core family. Jeong Jedu was a son-in-law of Yun Honggeo and Seo Hanju. And Jeong Huil, Jeong Jedu’s son, was a son-in-law of Yi Dansang and Yu Chunyang. Futhermore Jeong Jiyun, Jeong Jedu’s grandson, was a son-in-law of Yi Jingseong. Yun Honggeo and Seo Hanju were Seoin and Yi Dansang was Seoin-Noron and Yi Jingseon was Soron.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Jeong Jedu’s family was a Seoin family to include both Noron and Soron until Jeong Huil was married, but since then this family had become a Soron. This tendency can be seen from the son-in-law of this family. Jeong Jedu’s son-in-law is Yi Jingseong and Jeong Huil’s son-in-law is Yi Gwangmyeong, Yi Gyeongho, Im Dalho, Sin Daeu and Yi Yeongik. They were all Sorons. But Yi Gwangmyeong and Yi Yeongik were a Junso(峻少) and Yi Gyeongho was a Wanso(緩少). Since Jeong Jedu was highly reputed as a scholar of Soron, his family became the Soron core family that could include both Junso and Wanso. Looking at cemetery writers, this tendecy is evident. Jeong Sangjing’s cemetery was written by Yun Jueng, Jeong Jedu. And Jeong Jedu’s cemetery was written by Sin Daeu. Furthermore Jeong Huil’s cemetery was written by Yun Dongdo and Yi Chungik. This family’s cemetery was written by Soron. Except Yoon Dong-do, they were all relatives. To summarize, Jeong Jedu’s human network shows the tendency of “Seoin+Namin→Seoin(Noron+Soron)→Soron(Junso+Wanso)”.

      • KCI등재

        정인보의 학문 연원과 조선학 인식

        이남옥 ( Yi Nam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본고는 정인보의 학문 연원과 조선학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인보의 학문은 하곡학으로 대표되는 조선후기 전통적 학문체계 위에 중국유학 후 장병린 등에게 영향을 받은 근대학문의 방법론이 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당시 한중일 삼국의 국학 운동의 흐름과 궤를 같이 한다. 정인보는 전통학문의 전승과정에서 가문의 배경과 함께 하곡학파의 적전을 이음으로써 일제강점기 조선학에 대한 권위자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1913년 상해에서 문일평을 통해 장병린의 국학운동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국학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근대 학문체계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후 그는 조선학에 관한 권위를 통해 일제강점기 조선학운동에서 이론을 제시하고, 해방 후에는 국학대학의 설립에 관여 하였다. 정인보는 조선후기 상황을 대체로 부정적으로 보았지만, 긍정적인 면도 찾아냈다. 그것은 바로 `구시지학(求是之學)`으로 표현되는 새로운 학풍이다. 정인보가 주장하는 `구시지학`의 핵심은 `역산(曆算)`으로, 김육·정제두·최명길·황운대 등은 로 당파도 다르고 시대도 다르며 각 인물별 특징이 있지만, `역산`에 조예가 깊었으며 이들이 각각 주장하는 것이 다르지 않다고 하였다. 역산을 공통분모로 하는 양명(陽明)·경제(經濟)·경세(經世) 이렇게 세 학풍이 전승되었는데, 이것이 정인보가 주목한 조선학이다. 또한 `역산`은 천문·지리·수학 등에 관계되는 것으로, 과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정인보의 이러한 관점은 이후 `실학` 연구자들에게 선행연구로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This study is written to examine Jeong Inbo`s academic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Koreanology. The study of Jeong Inbo can be called a fusion of modern scholarship, was influenced by Jang Byeongrin, on the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s of late Joseon Dynasty, is represented by Hagokhak. At that time, the flow of the National Studies Movement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the same. He was recognized as an authority on Joseon dynas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succession of traditional scholarship, it is the successor of the Hagok School alo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Soron(小論) scholars` family. In 1913, he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Jang Byeongrin`s National Studies Movement in Shanghai through Moon Ilpyeong. S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Studies Movement and explained it as a modern academic system. After that, he presented the theory of Joseon Studies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liberation he wa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Gukhak University. The following is the main thrust of the Joseon Studies Movement Jeong Inbo claimed. He saw the situ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negative in general, but found a positive side. It is a new academic style that is expressed as `Gusijihak(求是之學)`. The core of the `Gusijihak` claimed by Jeong Inbo is `Yeoksan(曆算)`. He said that Kim Yuk, Jeong Jedu, Choi Myeonggil and Hwang Undae were well aware of the `Yeoksan`, and what they claim is not different. They were different from faction and times were different. However, the reality that they insist is not different. Furthermo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ee kinds of scholarship were handed down as Yangmyeong(陽明), economy(經濟), and management(經世) with `Yeoksan` as common denominator. Also, `Yeoksan` are related to astronomy, geography, and mathematics,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science. This view of Jeong Inbo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searchers of `Silhak(實學)` as a precedent study.

      • KCI등재

        지천 최명길의 사상적 배경과 주화론

        이남옥(Yi Namok)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1

        최명길은 정묘 병자호란 때 주화론을 주장하고 제도 개혁에 앞장선 인물이며, 양명학과 상수 학을 연구한 학자이다. 현재 그의 주화론은 병자호란 때 국난을 극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주화론은 權道論, 外藩論, 宗國保存論에 논리적으로 근거하고 있다. 첫째, 조선은 현실적 상황 변화[時]에 따라 후금(청)과의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둘째, 조선은 명나라의 外藩이기 때문에 內服臣과는 다르다. 셋째, 나라를 보존해야 한다. 최명길의 주화론은 기본적으로 유가 철학 전반에 근거하고 있다. 최명길이 양명학을 연구하였 다고 하여 주화론 역시 양명학의 영향으로 보기도 하지만 상대주의적 관점은 스승 신흠을 통해 전해 받은 소옹 상수학에서 계발된 것이다. 그는 상수학을 통해 세상을 음과 양이 서로 의지하는 관계로 인식하였고, 夷狄과 小人의 존재도 현실로 인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명길은 정묘 병자호란 때 후금(청)과 강화를 주장할 수 있었다. 다만, 척화론자들의 비난을 받으면서도 후금(청)과의 강화를 주장해 나가는 과정은 양명학의 치양지에서 영향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비난이라는 외물에 영향 받지 않고 자신의 진실된 마음을 발현 시켜 나갔기 때문이다. Choi Myeonggil(崔鳴吉) was a person who advocates a Juhwaron(主和論) and leads the system reform. And he studied the Yangming and Sangsuhak(象數學). His Juhwaron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crisis in Jeongmyohoran(丁卯 胡亂)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His argument was logically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Joseon could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Hugeum(Cheong)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change. Second, Joseon was an outer clan of the Ming Dynasty, so it was different from inner clan of the Ming Dynasty. Third, the country must be preserved. He claimed the Juhwaron basically based on Confucianism. Since he studied Yangming, it was also influenced by Yangming. His relativistic viewpoint, however, was developed in the Sangsuhak(象數學), which was passed through the teacher Sin Heum(申欽). Through Sangsuhak, he recognized the world as a relationship in which Yin and Yang rely on each other.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the barbarians and the humble people could be recognized as re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he was able to assert a peace treaty with Hugeum(Cheong) in Jeongmyohoran and Byeongjahoran. However, it was influenced by Yangming to claim the peace treaty under the criticism of the opponents. It was because it expressed the true heart of oneself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outline of blame.

      • KCI등재

        정제두와 서인-노론계의 학술 교유

        이남옥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2

        This article examines Jeong Je-du’s co-relation and academic contents. To this end, this article analyzed 267 letters, which were that Jeong Je-du sent to more than 58 people from 1667 to 173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Jeong Je-du’s co-relation showed a tendency to become the Soron with time. Nonetheless, until the latter half of his life, he continued to cooperate with the Seoin-Noron’s line at 10%.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interactions with the people in the special relationship still continued, although the partisans were different. The special relationship was a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Min Jin-juㆍSeo Han-juㆍ Yi Hui-jo or a school relationship such as Yi Jing-myeongㆍJeong Chan-hwiㆍKim Gan. Seoin-Noron’s line, who interacted with Jeong Je-du, were eleven people including Song Si-yeolㆍMin Jeong-jungㆍKim Su-hang. All of them were disciples of Song Si-yeol and interacted with him. In large part, Jeong Je-du and their relationship could be regarded as Seoin with academic homogeneity. In a small way, this relationship could be seen as a sort of school of the same teacher, who was Song Si-yeol. Jeong Je-du revised the initial method of study by arguing with Yi Jing-myeong, and proceeded with the arguments of Kim GanㆍJeong Chan-hwi. In the meantime, the Yangming argument centered on Jeong Je-du was studied as a problem inside the Soron or the school of Park Se-chea. However, Yangming argument of Jeong Je-du and Kim GanㆍJeong Chan-hwi in this paper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criticism of Jeong Je-du as a Yangming scholar in the Seoin-Noron’s line. In addition, the following academic exchanges between Jingdeo and Seoin-Noron were also conducted. It was the problem of the construction of the Jaunseowon’s costume,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about the scholarship of Seo Gyeong-deok, the preservation of Gija(箕子) Jeongjeon(井田) left in Pyongyang. Although the Jeong Je-du posed a tendency to Soron according to the temporal flow, the relationship with Seoin-Noron’s line still taked a considerable part in his co-relation. There was also no major difference in the main content of academic exchange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Jeong Je-du as a scholar who had carried out various intellectual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party, rather than confining it to the framework of the Soron’s scholars who studied Yangming. 이 글은 『하곡집』에 수록되어 있는 정제두의 편지글을 분석하여 그의 교유 관계와 학술 교유의 내용에 대해서 검토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정제두가 1667년부터 1732년까지 약 66년간 58명 이상의 사람에게 보낸 267건의 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제두는 시간이 흐를수록 소론화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애 후반까지 계속해서 서인-노론계와 10%대의 교유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당색은 다르지만 민진주ㆍ서한주ㆍ이희조와 같이 인척관계이거나 이징명ㆍ정찬휘ㆍ김간과 같이 학맥으로 연결되는 특수 관계에 속한 인물들과 교류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정제두와 교유한 서인-노론계는 송시열ㆍ서한주ㆍ민정중ㆍ김수항ㆍ민유중ㆍ민진주ㆍ김간ㆍ이징명ㆍ정찬휘ㆍ이희조ㆍ민진원 11명이다. 이들은 송시열의 문인이거나 종유한 인물로 송시열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정제두와 이들의 관계는 크게는 학문적 정치적 동질성을 지닌 서인이라는 집단으로 볼 수 있으며, 작게는 송시열을 동일 스승으로 하는 일종의 학맥으로 볼 수 있다. 정제두는 이징명과의 관계 속에서 초기 학문 방법을 수정하였고, 김간ㆍ정찬휘와의 관계 속에서 양명학 논변을 진행하였다. 정제두와 김간ㆍ정찬휘의 양명학 논변은 그동안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양명학 논변이 박세채 문하 혹은 소론 내부의 문제로 연구된 것에서 벗어나, 노소분기 이후 서인-노론계에서 정제두를 양명학자로 비판한 사례이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외에도 정제두와 서인-노론계 인물 간에는 자운서원 묘정비 건립 문제, 서경덕의 학문에 대한 논의와 기에 대한 해석의 차이, 평양에 남겨진 箕子 井田의 보존, 고조선과 고구려의 토석 보존 등에 관한 학술 교유도 진행되었다. 정제두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소론화 경향성을 띄기는 하지만 그의 교유 관계 속에서 여전히 서인-노론계와의 관계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학술 교유의 주요 내용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제두를 ‘양명학을 연구한 소론 학자’의 틀에 가두기보다는 ‘당파에 관계없이 다양한 지적 활동을 영위한 학자’로 재평가해야 하겠다.

      • KCI등재

        제주 목사 이형상의 풍속 교화와 폐정 개혁 정책

        이남옥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7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had cultural element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land in terms of language and customs due to its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ecificity. And there were the region where excessive subordinates such as Mokyeok(牧役: A kind of tax paid cattle, horses, etc. to the state.) and Poyeok(鮑役: A kind of tax paid fish, shellfish, seaweed, etc. to the state.) were imposed. Byeongwha Yi Hyeong-sang(1653-1733), who took office as the governor of Jeju in 1702, had a great impact on the lives of Jeju residents by strongly implementing the policy of cultural customs edification and submitting reform proposals to the court. He implemented the policy of prohibiting incestuous marriage, double marriage, and mixed bathing between men and women. He also eliminated 129 shrines and 5 temples that caused various harm, and turned 285 shamans into farmers.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Jeju region surrounded by the sea, various ceremonies were held to prevent disasters. However, the shrines were demolished and the shamans turned into peasants because the shamans who performed the ritual and the crowds following them deceived and plundered the Jeju people. On the other hand, Yi Hyeong-sang recognized that the reason why Jeju's cultural custom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land was fundamentally because the soil was poor and the people were poor, and various taxes in the region were very heav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Yi Hyeong-sang report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Jeju region to the court, submitted a reform proposal, and obtained the permission of King Sukjong. Through his efforts, cultural customs and policies that should be abolished in the Jeju region were urgently reformed. His policies did not settle down there as he resigned after a year in office and some of his reform policies were abolished. However,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he tried various reform policies while he was the Jeju Provincial Governor. 조선시대 제주는 지리적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언어와 풍속 등에서 육지와는 다른 이질적 문화 요소를 가지고 있었고, 목역牧役과 포역鮑役 등으로 과도한 수탈이 이루어지는 지역이었다. 1702년 제주 목사로 부임한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1653~1733)은 강력한 풍속 교화 정책을 실시하고 조정에 폐정 개혁안을 제출함으로써 제주민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동성同姓·근친近親과의 혼인 금지, 혼인 때 교배례 시행, 중혼 금지, 남녀 혼욕混浴 금지 등의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각종 폐해를 일으키는 신당神堂 129곳과 사찰 5곳을 훼철하였고 무격巫覡 285명을 귀농시켰다. 제주 지역은 바다로 둘러싸인 지역적 특성 탓에 재앙을 막기 위한 음사淫祀가 이루어졌는데, 무당과 그 무리들이 백성들을 속여 부려먹거나 수탈하였기 때문에 음사를 혁파하고 무당을 귀농시켰던 것이다. 한편, 이형상은 제주 지역 풍속이 육지와 다른 것은 근본적으로 토질이 척박해서 백성들이 가난할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부역이 매우 무겁기 때문이 라고 인식하였다. 당시 제주는 목역牧役과 포역鮑役 등 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과중하게 부과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형상은 비변사에 장계를 올려 제주 지역의 실상을 보고하는 한편 폐정 개혁안을 건의하여 국왕 숙종의 허락을 얻어냈다. 이형상의 노력으로 제주 지역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폐습과 폐정이 개혁 되었던 것이다. 다만 부임 1년 여 만에 체직되면서 그의 풍속 교화와 폐정 개혁 정책 일부가 회귀되면서 제주 지역에 안착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재임 기간 동안 시급히 해결해야 할 폐습과 폐정을 개혁하고자 한 이형상의 노력은 기억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