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중심 다학제적 융합 교육 현황 연구 - 국내외 대학의 산업디자인 전공 중심으로 -

        이길옥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s on the rise. In line with the flow of this convergence era,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change the university has been preparing for design education became the trigger for starting this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ign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o identify factor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develop futur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case study, in domestic universities, design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I, big data and AR/VR occupies a large proportion, while overseas universities not only provides technology-driven projects, but also offers projects that engage in social, environmental and ethical issu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n integrated roadmap for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an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programs were activated in various way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Korea derived from this includes securing diversity of design projects such as social and environmental innovation beyond new technology-driven education, building an integrated education roadmap connecting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and expanding extracurricula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programs. At the same time, continuous institutional and economic support is needed to build a multidisciplinary educational environment, build a shared platform fo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strengthen educators’ cap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본 연구는 홍익대학교 신임교수 in the future.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학제, 산업, 기술 간 융합 혁신을 도모하는 다학제적 융합 디자인 교육에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융합의 시대적 흐름에 맞춰 대학의 디자인 교육이 어떤변화를 준비하고 있는가라는 의문점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디자인 중심의 다학제적융합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고찰하고 국내외 대학의 융합 디자인 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하여 디자인 중심 다학제적 융합 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융합 디자인 교육지원 사업에 선정된 국내 대학과 해외 우수 디자인 대학의 융합 교과 과정 사례연구 및 분석이다. 그 결과, 국내 대학은 AI, 빅데이터, AR/VR, 자율주행 등의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접목한 디자인 커리큘럼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국외 대학은 기술 기반 프로젝트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윤리적 이슈가 개입된 거시적이고 다양한 관점의 교육콘텐츠가 특징이었으며 학부와 대학원 과정의 통합적 로드맵과 다학제적 비교과 융합 프로그램이활성화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국내 융합 디자인 교육의 발전 방향으로는 교육콘텐츠와 학습 구성에 있어서 신기술 기반 융합 교육에서 나아가 디자인 주도의 사회적, 환경적 혁신을 위한 융합 콘텐츠의 확장, 학부와 대학원으로 연결되는 통합적 교육 로드맵 구축 및 자율적인 협업과 창작을 위한 학제 간 비교과 융합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다학제 협업 교육인프라 구축, 대학 간, 대학과 산업 간의 협업 연구를 위한 공유 플랫폼 구축, 교육자의 역량 강화와융합 교육 개발연구를 위한 지속적인 정부의 제도적, 경제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의 다학제적 융합 디자인 프로그램 현황 분석을 통해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있으며 향후 융합 디자인 교육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동향 및 전략 연구

        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3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has increased as governments have strengthened domestic and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consumer awareness of responsibl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h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is age for research into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to analyze the package design in creating a sustainable life and to propose strategic direction for creating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for a more sustainable life. Firstl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ustainable product package trends were identified. Secondly, for the case studies, desig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multiple angle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five core strategic design approaches for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were proposed with detailed design methods. As a result, the core strategic design approaches are: designs that use resources and energy efficiently, designs that recycle waste, design that can reduce environmental emissions during package disposal, designs that change consumer behavior towards a more sustainable lifestyle, and designs that promote the interest of a sustainable life. In addition, as the role of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oducts, establishment of package design processes based on analyzing environmental impact information, scenario-based design that fuses consumers’ sustainable activities and multi-dimensional and creative design ideas to overcome limitations of material and processing technology need to be developed. 최근 전 지구적으로 플라스틱, 비닐 등의 패키지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패키지 개발과 생산에 대한 정부의 환경 규제 법규가 강화되고 소비자의 지속가능 패키지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환경적 트렌드를 토대로 기업에 소속된 디자이너들이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개발에 활용 가능한 디자인 전략과 세부적인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자료들을 통해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정부의 패키지 관련 환경 규제 정책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선진브랜드의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디자인 개발 방법과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다섯 가지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전략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지속가능 디자인을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지속가능 패키지 전략으로는 첫째, 자원 및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사용된 디자인 전략으로 패키지 공간비율, 재료 및 표면처리 최소화의 디자인 방법이 있으며, 둘째, 유해물 발생을 최소화한 디자인 전략으로 생분해성 소재, 친환경 잉크 사용 및 표면처리 디자인이 포함된다. 세 번째로는 재사용 및 재활용 디자인 전략으로 재활용 가능 패키지의 분해, 유지보수, 세척이 용이한 디자인을 포함한다. 네 번째, 소비자의 행동을 지속가능 라이프 스타일로 변화시키는 디자인 전략과 다섯 번째로 소비자의 지속가능 라이프의 관심을 촉진시키는 캠페인 디자인 전략이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 패키지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로써 디자인 개발, 생산, 사용, 폐기 전 과정에서 환경영향 정보 수집 및 분석에 근거한 패키지 디자인 프로세스의 확립이 필요하며, 지속가능 패키지 사용자의 지속적인 활동 유도를 위한 콘텐츠와 서비스가 융합된 디자인, 현재의 소재 및 가공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을 통한 디자이너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제안된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전략 및 방법을 통하여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스마트 홈 가전 디자인 동향 및 전략 방향

        이길옥,변상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1

        There has been Internet revolution to be transformed fromwhite home appliances to smart information appliances. In 1992, ubiquitous internet was introduced to the homeappliance industry, but smart home appliances were notsucceeded. After two decades, due to the ‘Internet ofThings’ technology, market potential for the smart homeappliance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rends in smarthome appliances and to propose new product opportunityand strategic direction of smart home appliances. First,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mart home trends wereidentified. Second, for the case studies, major smart homerelated companies and recently released smart homeproducts were analyzed based on user experience approach. La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five coreuser values of smart home appliances were defined. Inaddition, opportunity areas and strategic design approachesfor smart home appliances were proposed. As a result,the core user values are convenient life, wellbeing life, safelife, economic life and pleasant life. Among them, theextensions of smart home appliance to the valueswellbeingand pleasant life-were proposed as opportunityareas. For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smart homeappliances, contextual design converging different smartdevices, user-centered lifestyle design based on real-timeexperience data analysis and collaboration and integrationof different types of industry were proposed to createmeaningful smart home appliances. 백색 가전에서 스마트 정보가전으로 탈바꿈하게 된 데는 인터넷 혁명이 있었다. 1992년 최초로 유비쿼터스 인터넷의 개념이 가전에 도입 되었지만 그 당시 스마트 홈 가전은 시장에서별다른 빛을 보지 못하였다. 이후 두 세기가 지난 2011년이되어서야 사물인터넷(IoT)이 스마트 홈 성장의 기폭제 역할을하며 2020년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큰 시장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인터넷(IoT)기술에 기반 하여 재탄생하게 된 스마트 홈 가전의 동향을 파악하고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제품 분석을 통해 스마트 홈 가전의 핵심 가치를 도출하여제품의 기회와 디자인 접근 방향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에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가전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여 어떠한 배경으로 진화되었는지 조명하고 둘째,최근 성장하고 있는 사물인터넷 (IoT)의 기술과 함께 개발된스마트 가전의 사례연구를 통해 제품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품 사례 분석에 근거해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 가전 핵심 가치를 정의하고 향후 스마트 홈 가전의 기회 및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로 사물 인터넷 기반스마트 가전 디자인의 핵심 가치는 편리한 삶(ConvenientLife), 건강한 삶(Wellbeing Life), 안전한 삶(Safe Life), 경제적인 삶 (Economic Life), 즐거운 삶(Pleasant Life)의 5가지로 정의되었으며 이중 건강한 삶(Wellbeing Life)과 즐거운 삶(Pleasant Life)의 가치로 확장된 경험을 제공하는 스마트 홈가전을 새로운 기회 영역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스마트 홈 가전 디자인에 있어서 첫째, 단일 제품 중심이 아닌 기기간의 융합 중심의 맥락 디자인. 둘째, 실시간 사용자 경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라이프 스타일 디자인, 셋째, 다양한스마트홈 기기간의 매끄러운 호환과 일관성 있는 사용자 경험창출을 위해 타 업종과의 교류와 협력, 연결과 통합이 중요해질 것으로 방향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가전동향과 제품 기회 및 디자인 전략방향 제시를 통해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 홈 가전제품을 이해하는 기초가 되는데 연구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코스메틱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디자인 동향과 전략 연구

        이길옥 ( Gil-ock L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Background Recent years have witnessed collaboration design practices on cosmetic industry increasing as a strategic tool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subjects, methods, and types of collaboratio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t approaches to collaboration design and develop a guideline of collaboration strategy for designers.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chosen for this study involves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ypes of collaboration on cosmetic industry were reclassified. Second, through case studies, collaboration trends on cosmetic industry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from multiple angles. Last, four classifications of collaboration strategy and five strategic directions of collaboration on cosmetic industry were developed. Resul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findings and results cover six types of collaboration design and collaboration trends on cosmetic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four core strategic approaches to collaboration design were identified and five strategic direction of collaboration design were suggested. Conclus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dentified collaboration trends and proposed a guideline of collaboration strategy for designers on cosmetic industry in the trend of accelerating collaboration compet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in the planning and design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on cosmetic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한 펜형 인슐린 주사기 디자인 방향성 연구 : 제2형 당뇨환자를 중심으로

        김봉준,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4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8 No.2

        연구배경: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최근 제2형 당뇨병 환자 수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당뇨병은 우선 생활 습관 개선과 경구혈당강하제를 통해 치료하지만, 그럼에도 혈당이 조절되지 않으면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다. 인슐린 치료를 진행하는 환자들은 펜형 인슐린 주사기의 자가 주사와 관련된 불안과 공포를 느끼며, 자가간호이행은 인슐린 치료에 중요하지만, 관련된 디자인 연구는 미비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2형 당뇨환자 대상으로 인슐린 치료 시 느끼는 불편함을 확인하고, 펜형 인슐린 주사기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제2형 당뇨환자가 인슐린 치료 시 느끼는 불편함과 유발요인을 고찰했으며, 펜형 인슐린 주사기의 사례 분석을 진행했다. 둘째, 인슐린 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제2형 당뇨환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펜형 인슐린 주사기 사용성 평가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펜형 인슐린 주사기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 방향성에 대한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인슐린 치료를 받는 제2형 당뇨환자 대상 심층 인터뷰와 펜형 인슐린 주사기 사용분석을 통해, 인슐린 주사 시 발생하는 통증의 불편함이 가장 컸으며, 사용성을 낮추는 디자인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주사 시 나타나는 통증 완화 방향성으로 첫째, 주삿바늘을 환자 기준으로 보이지 않는 구조, 둘째, 바늘과 본체 결합구조 개선, 셋째, 인슐린 주입 버튼 구조 개선과 같은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했으며, 펜형 인슐린 주사기의 사용성 증진 방향성으로 첫째, 용량투여 표시창 구조 확장, 둘째, 인슐린 카트리지 노출 구조 확장과 같은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했다. 결론: 본 연구는 당뇨환자가 증가하는 배경에서, 인슐린 치료 중인 당뇨환자 대상 인터뷰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해 펜형 인슐린 주사기의 페인포인트 및 개선 요소를 도출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펜형 인슐린 주사기 디자인 개발에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notes a recent rise in type 2 diabetes cases. While initial treatment involves lifestyle changes and oral medication, insulin becomes necessary if blood sugar isn't controlled. Patients using insulin often experience anxiety and fear related to self-injection with pen-type insulin syringes. Despite the importance of self-care in insulin treatment, design studies addressing patient concerns are lack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scomfort during insulin treatment in type 2 diabetes patients and propose design improvements for pen-type insulin syringes. Methods: Literature review examined discomfort and triggers experienced by type 2 diabetes patients during insulin treatment and included a case analysis of pen-type insulin syringes. In-depth interviews and usabil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with five patients undergoing insulin treatment. Based on findings, design directions for pen-type insulin syringes were proposed and discussed with experts.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ype 2 diabetes patients receiving insulin treatment and analysis of pen-type insulin syringes, the discomfort of pain during insulin injection was the greatest, and the design that lowers usability was also confirmed. As for the pain relief direction that appears during injection, first, the invisible structure of the needle and body on the patient's basis, second, the improvemen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needle and the body, and third, the improvement of the insulin injection button structure were suggested. As for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pen-type insulin syringes, first, the design direction such as expanding the dosage administration display window structure and second, the insulin cartridge exposure structure was suggested.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pain points and improvement factors for pen-type insulin syringes through patient interviews and usability evalu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pen-type insulin syringe design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유도를 위한 스마트 홈 조명 디자인 시나리오 제안: 국내 1인가구를 중심으로

        고명지,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4

        연구배경 최근 에너지 절약에 대한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에 대한 해결책과 인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필 환경 시대에 있어 늘어나는 가전기기들과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 주체자의 에너지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제품을 정의하고 스마트홈 제품의 개념과 시장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속 가능한 제품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하슨의 어포던스를 토대로 고찰하였다. 둘째, 온라인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고객여정지도를 분석하였고, 이에 기반하여 소비자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페르소나 방향을 도출하고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유도를 위한 스마트홈 조명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과 심층 인터뷰에 기반하여 1인가구의 스마트홈 조명 디자인을 위한 페르소나 컨셉을 도출하고 하슨의 어포던스 이론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행동 유도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세 개의 시나리오는 첫째, 신체적 휴식활동, 둘째, 수동적 휴식활동, 셋째, 적극적 휴식활동으로 나뉘어 해당 활동에 적합한 지속 가능한 행동을 유도하는 스마트홈 조명제품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홈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유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행동유도 디자인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In the era of essential environments, there is a need for design research that can induce energy savings for increasing home appliances and energy consumption subjects. Methods First, the concept and market trends of sustainable use and smart home products were examined in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 methods that can induce the use of sustainable products were examined based on Harson's affordance. Second, customer travel guidance was analyzed through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consumer insights were derived based on this. Finally, we derive a persona and propose a smart home lighting scenario for sustainable lifestyle induction. Results Based on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 derived a persona concept for smart home light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posed sustainable behavior-inducing design directions based on Harson's affordance theory. The three scenarios derived from this were divided into physical rest activities, passive rest activities, and active rest activities, suggesting a smart home lighting product scenario that induces sustainable behavior suitable for the activity.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behavior-inducing design scenario that can induce a sustainable lifestyle of users using smart home technology.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시장의 휴대용 안마기 디자인 속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연구

        용자명,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3

        연구배경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건강 관리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건강 관리 제품 시장 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중국의 휴대용 안마기 산업은 발전 기간이 짧고, 디자인에 대한 연구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가 인식하는 휴대용 안마기 디자인 속성과 중요도를 파악하여 중국 시장의 휴대용 안마기 제품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국 휴대용 안마기 시장에 관한 문헌과 보고서를 통해 시장 현황을 파악한 후, 휴대용 안마기에 대한 소비자의 디자인 속성 인식과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와 SPSS를 활용한 신뢰도 분석과 휴대용 안마기의 디자인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시장의 소비자가 중요시하는 휴대용 안마기 디자인 속성은 심미적 속성, 상징적 속성, 기능적 속성 순이었다. 또한 소비자의 연령과 사용목적에 따른 속성별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26~40세 대상자들은 휴대용 안마기 디자인에서 색상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 대부분은 휴대용 안마기의 브랜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중국 시장의 휴대용 안마기기 디자인의 고려 요소와 속성은 향후 중국 시장을 기반으로 한 휴대용 안마기기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Due to the global COVID-19 crisi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health products. This trend is also occurring in China. However, the portable massage device industry in China has a short development period, and research on design is also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sign attributes and importance of portable massage devices recognized by Chinese consumers, provide a guidance for developing portable massage products in China. Methods This study has surveyed 210 Chinese consumers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the design attributes and importance of them in portable massage devices. The study analyzed the market status of portable massage devices in China through literature and reports. The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Likert Scale were utilized to derive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the design attributes of portable massage devices. Results Chinese consumers consider the design attributes of portable massager as aesthetic, symbolic and functional attributes. The attribut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umer's age and purpose of use. Most participants aged 26-40 considered colors really important , while most of the participants who used the device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thought brand mattered most. Conclusion This study has derived the design elements directions for developing portable massage devices. And it will be expected to become basic data foundations for designing portable massage devices for the Chinese market in the future.

      • KCI등재

        컨버전스 관점으로 본 가전제품 디자인 특성과 동향 연구: 국내 가전사례를 중심으로

        정진수,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1

        Background Home appliances, which used to be called white appliances, have recently been making repeated attempts to stimulate consumer sentiment. Although diverse types of convergence are occurring in the industry from conceptual to functional and physical convergence, systematic and analytical studies that try to understand these phenomenon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base of convergence study related to home electronics products. Method Firs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home electronics and convergence design has been stud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Next, case studies were done to discover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Lastly, by apprehending the purpose and frequency of the phenomenons, the overall design trends were derived. Results 5 convergence types were derived: function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physic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convergence between ICT technology, convergence between fashion, and convergence betwe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purposes, convergence in the home appliance industry could be classified differentl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discovering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of modern home appliances and trends from the perspective. Concerning and applying different types of convergence will be needed within a home appliance design process. 연구배경 백색가전으로 불리던 가전은 최근 소비자의 감성 요소를 자극하기 위한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이때 ‘가전의 가구화’와 같은 개념적 컨버전스부터, 기능적, 물리적 컨버전스 등 다양한 유형의 융복합 현상이 가전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디자인적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가전제품 영역에서의 컨버전스 관련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국내 가전의 역사와 컨버전스 디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사례 조사분석을 통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요소와 특징을 파악하여 가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컨버전스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컨버전스 현상의 목적과 빈도를 파악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동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가전 제품군 내 컨버전스 현상은 가전 간 기능적 컨버전스, 가전 간 물리적 컨버전스, ICT 기술과 컨버전스, 패션과 컨버전스, 가구와 컨버전스 총 다섯 가지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가전의 지능화, 맞춤화 그리고 경험 확장의 목적에 따라 그 구분을 달리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 가전의 디자인적 이해를 돕기 위해 가전의 컨버전스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동향을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가전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서 컨버전스라는 디자인 수단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컨버전스 현상을 복합적으로 고려 및 적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독거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밴드 디자인 연구

        위상우,이길옥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4

        The lonely deaths of the elderly is one of the various emerging social problems as the population aging of our society is accelerating.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ases of lonely death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9. 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lonely death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increases as we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mart wearable band design to prevent lonely deaths among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Korea. As for the research methods, first,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lonely deaths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Korea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we interviewed stakeholders related to the issue of lonely deaths in Seodaemun-gu, Seoul, and analyzed case studies of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Third, based on the design direction and design concept derived from the stakeholder interview and case analysis, we propose a smart wearable band design and a related safety protection system concept. Smart wearable bands are used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mainly to prevent lonely deaths. It is usually used in link with a safety protection system, and if a senior citizen is in danger, it will automatically deliver the content of the threat to the safety protection system. In addition to preventing lonely deaths, it can also be used as a healthcare wearable band. The safety protection system is designed mainly for community center officials, so that they can detect danger in the homes of the elderly 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Through the safety protection system, officials can immediately realize the daily situation of the elderly in their charge. As mentioned earlier, the lonely death of the elderly is an accelerating social issue. Hence, prevention work is utmost important as we might encounter unexpected consequences down the road if the neglection continues. We look forward for the research outcomes of this paper to be used as base data for preventing lonely deaths among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