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敎와 四象醫學의 ‘醫’ 개념 - 天台 止觀書와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에 나타난 病因論을 중심으로 -

        이기운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고는 불교와 의학의 融合을 통한 心身치유라는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계획된 것이다. 연구 범위는 불 교에서 비교적 의학적 주장이 뚜렷한 天台의 醫學論과 四象醫學을 제창한 李濟馬의 의학론을 살펴보 았다. 먼저 이들의 의학적 토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학론의 대강을 살펴보고, 양쪽 인간의 신체에 대 한 입장과 병인 발생하는 원인을 비교해 보았다. 신체관에서 보면, 천태는 자신의 행위인 業이 心識으로 작용하고 色身의 四大에 들어가 있어 五臟 六 腑를 형성하고 그 장부(臟腑)사이에는 陰陽五行의 작용으로 신체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제마 또 한 장기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음양이 장부의 長短에 영향을 주어 사상의 신체를 구성한다고 하고 있다 . 인체의 병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천태는 인체를 구성하는 사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지대 화대 수대 풍대의 기운이 커지거나 작아짐으로써 몸에서 균형이 깨져서 병이 발생한다고하였다. 그 외에도 음식을 조절하지 못함, 업보, 좌선불순, 귀신이나 魔의 작용을 들고 있다. 이에 비해 이제마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받은 四端의 성품에 喜 怒 愛 樂의 감정이 결합되어 있는데 욕심이 일어나면 四象體質에 영향을 주어 이들 신체기관의 크기와 고유 성질이 상충하여 오장의 손상을 가져와 병이 발생한다는 심 정 위주의 병인론을 들고 있다. 한편 천태는 인체의 형성과 병의 원인이 자신의 선악의 행위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업설을 바탕으로 一 念心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행위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마는 희노애락의 심정의 변화가 어떻게 장부의 병인에 영향을 주는지 병인론의 구체성에서 자세히 설명하 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가의 의학론을 잘 융섭하므로써 인간 병인의 예방과 치유에 어떤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is designed as part of the research assignment in pursuit of the cure of body and mind through combined efforts to integrate Buddhism and medicine. The scope of this investigation is restricted to both Tiantai(天台)’s Theory of Medicine, which contains Buddhist opinions on medicine relatively clearly, and Lee Jema(李濟馬)’s Theor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o trace the medicinal bases of both theories, the present author compared the perspectives of the two theories as to the human body and the causes of disease. As to the perspectives on the human body, Tiantai presented his theory as follows: The karma, which is one’s actions, works as his ‘mind and its contents(心識)’. The karma, inherent in the Four Great Elements(四大) of the bod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he five viscera (i.e.,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and the six entrails (i.e., gall bladder, stomach, small and large intestines, the paunch, the bladder and the bowels). Among these internal organs, Taoistic ‘Yin- 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 further function and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body. According to Lee Jema’s Dongui suse bowon (東醫壽世保元) The Korean Medicine for Long Life by Preserving Original Nature, He also advocated that in the formation of the internal organs, the Yin -Yang influences the length of the internal organs, and thus results in the Four Types of the bodies. The next topic is the causes of disease. Tiantai said that disease arises out of the disturbances to the body’s state of equilibrium. This is especially so when the Four Great Elements, which constitute our body, are out of harmony with each other, because the energy of the earth element, fire, water and wind becomes bigger or smaller. Not only that, there are other causes of disease like inability to control what one eats, karma, erroneous sitting meditation, the action of ghosts, and evil demons. On the contrary, Lee Jema brought forth the emotion-oriented causes of disease. From the Four Beginnings(四端) granted by heaven, according to Lee, emotions lik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喜怒愛樂)’ and desires arise. These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Sasang Constitutions( 四象體質), while causing disharmony between the internal organs. This disharmony leads to the damage of the internal organs, and ends in disease. Tiantai demonstrates ethical aspects, in the formation of the human body, by listing specific standards of good and evil actions which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human body. On the other hand, Lee Jema, in his discussion of the causes of disease, makes a close explanation of how changes in emotions lik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cause organ disease. Consequently the author expects to be able to suggest some clues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by interpenetrating both theories of medicine.

      • KCI등재

        雪岑의 護法論 - 『雜著』十章文을 중심으로 -

        이기운 한국선학회 2005 한국선학 Vol.12 No.-

        설잠(속명 김시습)은 조선초 유 불 도 삼교에 능통한 승려다. 그는 삼교에 관한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있어서 불교 외에 유교론이나 도교론적인 주장도 적지않다. 여기서는 이중에서 雜著』 10章文을 중심으로 그의 佛敎擁護論의 입장을 고찰하고자 한다. 설잠의 호불론은 조선초 숭유억불속에서 유생들의 배불론이 사회적 주류를 이루고 있을 때 이에 맞서 불교와 유교가 서로 상통하는 면이 있고, 때로는 불교가 유교보다 우월함을 밝히고 있다. 그는 잡저』 10장문의 호법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교와 불교의 상통성에 대해서는 유교의 인륜도덕과 불교의 자비실천 덕목들이 인의와 자애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서로 상통함을 밝히고 있다. 둘째, 불교의 우월성을 논한 내용으로는 유교의 군자는 임금과 창생을 위한 세속의 도리로 공명과 이익을 추구하는데, 불교의 고승은 三有와 四生을 허망한 것으로 보아 군자의 도리인 인륜의 작용도 결국 마음의 활용이라고 하여 불교의 우월성을 밝히고 있다. 셋째, 올바른 불교신행에 대해서는 중국 역대 황제의 신행을 예로 들어 양무제와 북위황후는 불교의 방편에 치우쳐 인애를 다하지 못했으니 사치와 헛된 사욕으로 善政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하면서, 이는 불교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이를 운용한 황제들의 잘못된 신행이 기인함을 밝혔다.넷째, 고승의 정치참여에 대해 설잠은 고승들은 세속을 떠나 도를 닦기 때문에 속세의 환경과 달라 세속정치에는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다.이와 같이 설잠은 선대 함허(涵虛)의 유불일치설에서 나아가,불교 신행의 잘잘못을 해명하고 올바른 신행을 강조하므로써 당시 불교의 우월성과 배불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하였다.이와 같이 설잠은 선대 涵虛의 유불일치설에서 나아가, 불교 신행의 잘잘못을 해명하고 올바른 신행을 강조하므로써 당시 불교의 우월성과 배불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하였다.설잠은 조선초기 生六臣의 節義의 선비로 유가에서도 추앙되었고, 탁월한 시문의 거장으로 후대 유학자들에게 칭송받았다는 점에서 그의 호불론은 조선시대 학계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으리라 여겨진다.

      • SCIEKCI등재
      • KCI등재

        『동의보감』과 天台醫學의 상관성 연구 ─『동의보감』 內景編과 『마하지관』의 病患境을 중심으로

        이기운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The Donguibogam(東醫寶鑑) played a central role in curing people during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most representative medical book. It is said that the background ideas of the Donguibogam we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especially Tien‐tai medicine and the Donguibogam) and compares the causes of illness and the ideas of curing illness.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written by Heo Jun(許浚), and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ne of ten objects of meditation)” of the Mohe‐Zhiguan(摩何止觀) based on Tien‐tai thought. The Donguibogam classifies the human body into the interior and outside body and describes that the internal organs are of the interior body and the bones, tendons, and skin are of the outside body are connected to the essence, energy, and mind; consequently, they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 The essence, energy and mind are to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Many Buddhist books explain that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that compose all things in the world and significant elements in the creation of the human body, so the interaction of the elements is a reason for the mental and physical illnesses that pain. According to Master Tien‐tai(537-597), the Four Elements that organize the human mind and body have a close relation with internal organs; as a result, changes of mind and body result in disease outbreaks and have an effect on the treatment of illness. Regard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explains Taesikbup(胎息法: a breathing method like a fetus in a womb), “Energy Breathing(氣呼吸)” and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of the Five Internal Organs, citing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f the Mohe‐Zhiguan, a book about samatha‐vipasyana of Tien‐tai. In terms of mental and physical illness, both the Donguibogam and the Mohe‐Zhiguan refer to particular contents of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黄帝内经), a book of Chinese medicine. Tien‐tai considers mental and physical illness as one of illness incurred during the practice of Buddhism and cures them through practice; meanwhile, the Donguibogam aims to cure mental and physical illness through health care. 『동의보감』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속에서 중생의 치병 구제 담당했고, 이후에는 대표적인 조선 의학서가 되었다. 『동의보감』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서는 유 불 도 삼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는 불교사상, 특히 천태의학에서 병인과 치병사상을 『東醫寶鑑』의 그것과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의 일단을 고찰하였다. 텍스트는 허준의 『동의보감』 內景篇과 천태의 『마하지관』 病患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의보감』에서는 신체구조를 내경과 외형으로 나누고, 내경의 오장육부와 외형의 筋骨부터 피부에 이르는 요소들이 精 氣 神과 연계되어 있어 병의 원인이나 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정 기 신은 불교의 사대와 다르지 않다고 한다. 불교의 사대는 일체를 구성하는 근본요소로 여러 경론에 설해져 있고, 인체 구성의 중요한 요소로 그 상호작용으로 인간의 病苦가 나타나는 心身의 病因이 되는 주요 문제로 보기도 한다. 天台大師(538∼597)도 인간의 心身을 구성하는 사대는 오장육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심신의 변화에 따라 병이 발생하고 병을 다스리기도 한다. 『동의보감』 내경편에는 인체의 病因과 病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이중에 胎息法이나 氣 呼吸 五臟의 병인과 병상 등의 부문에서 천태의 지관법문인 『마하지관』 병환경의 내용이 보이고 있다. 이로써 『동의보감』이 조선후기 중기 천태의 최고 수행법인 『마하지관』의 수행법의 영향을 입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동의보감』과 『마하지관』에서 심신에 생기는 病에 관해서는 두 저서가 주로 『황제내경』을 전거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동의보감』에서는 心身養生을 위한 심신의 병을 치료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한다면, 천태는 불교 수행상에 나타나는 병환의 하나로 보아 수행을 통해 대치하여 불도를 이루는 데 나아가고 있다.

      • KCI등재

        베드로전서의 권면적 동기에 관한 고찰: 베드로전서 1:3-25에 나타난 “이미와 아직” 개념을 중심으로

        이기운 한국개혁신학회 2023 한국개혁신학 Vol.77 No.-

        Compared with other New Testament letters’ structure, 1 Peter is unique due to its paraenetic features throughout the whole letter. There has been no consensus among scholars with regar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1 Peter due to the vagueness of the boundary between theological statements of the believers’ identity and exhortations. The epistolary approach to 1 Peter has merely focused on merely examining the origins of this writing and epistolary functions assigned to each constituent part in the light of the ancient letter’s type, style, form, etc. Unfortunately, scholars’ failure to notice the internal coherency could result in a mis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1 Peter. Particularly, when discussing the introductory and body parts, some scholars have assumed that the body of the letter begins at 1:13 because after the conjunction διό imperative forms intensively occurred. In response to the scholars’ assertion,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1:13-25 cannot be separated in light of a structural and logical perspective and this part belongs to a coherent paraenetic introduction. To prove this, this study examines that Peter’s theological statement and his paraenesis in 1:3-25 are coherently interwoven. 베드로전서는 다른 신약 성경의 형식과 비교할 때 권면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신학적 진술과 권면 사이에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이 서신의 본론부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에 관하여 학자마다 다양하게 제시해왔기 때문에 이는 논의하기 쉽지 않은 사안이다. 아쉽게도 베드로전서의 구조적인 이해에 관하여 학자들 간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학자들의 베드로전서에 대한 서신학적 접근은 서신의 구성 요소에 할당된 고유 기능과 출처를 살피는 일에 국한되어 왔다. 안타깝게도, 이 서신의 통일성에 대한 인식 부족은 학자들로 하여금 베드로전서의 구조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베드로전서의 서론부와 본론부를 논의할 때, 학자들은 대체로 베드로전서 1:13 이후부터 발견되는 명령형들로 인하여 여기에서 서신의 본론부가 시작된다고 여겼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필자는 베드로전서 1:3-25가 구조적 및 담화적 관점에서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베드로전서 1:3-12는 이 서신의 권면의 근거 및 동기이며 1:13-25는 앞 절에 언급된 개념들을 반복하고 확장하기 때문에 1:3-25 단락 전체가 하나의 큰 개념적 단위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