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假定과 讓步를 나타내는 補助用言 ‘보다’ 構成에 대한 硏究 - ‘-어 봐(라), -어 봤자’ 중심으로

        이금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is paper examined about the connective expressions ‘-eo pwara(-어 봐라)’ and ‘-eo pwassja(-어 봤자)’ stand for the meaning of the assumptions and concessions, which developed from the auxiliary verb form ‘-eo poda(-어 보다)’. ‘-Eo pwara(-어 봐라)’ and ‘-eo pwassja(-어 봤자)’ have been grammaticalized into connective expressions of assumptions and concessions from auxiliary verb form. In other words, they have been used for conditional clauses of assumptions and concessions, not for the meaning of attempt and experience that ‘-eo poda(-어 보다)’ had. This change was due to context-induced reinterpretation. ‘-Eo pwara(-어 봐라)’ and ‘-eo pwassja(-어 봤자)’ don’t use in objective or official situations. Because they present the condition based on the subjective decision of the speak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nnective ending of assumptions ‘-eumyeon(으면)’, ‘-damyeon(-다면)’ and connective ending of concessions ‘-eodo(-어도)’, ‘-deorado(-더라도)’. Also, These expressions are not followed by a imperative sentence or a propositive sentence. This is because ‘-eo pwara(-어 봐라)’ and ‘-eo pwassja(-어 봤자)’ have condition with the subjective conclusion of the speaker. 이금희, 2019, 가정과 양보를 나타내는 보조용언 ‘보다’ 구성에 대한 연구, 183 : 63~90 본고는 보조용언 구성 ‘-어 보다’에서 발달하여 ‘가정’과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 표현 ‘-어 봐라’와 ‘-어 봤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 봐라’와 ‘-어 봤자’가 ‘가정’과 ‘양보’의 조건절로 쓰이게 된 것은 명령과 청유의 결과 내용이 후행하면서 선행문의 내용을 조건절로 해석하는 문맥적 재해석이라는 기제가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언중들의 이런 문맥적 재해석이 관습화되면서 ‘-어 봐라, -어 봤자’에 ‘가정’과 ‘양보’의 새로운 의미가 부여돼 명령형어미 ‘-어라’와 청유형어미 ‘-자’의 인칭 제약과 서술어 제약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또한 ‘-어 봐라’와 ‘-어 봤자’는 기존의 가정과 양보의 연결어미와 달리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한 조건을 나타내기 때문에 객관적인 상황이나 공식적인 상황에 쓰이는 것이 부자연스럽고 명령문이나 청유문이 후행하는 것이 어렵다. 이는 ‘-어 봐라, -어 봤자’가 화자의 경험을 통해 얻어진 조건을 제시하는 표현으로 후행문은 대체로 화자의 단정적인 견해가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仁顯王后傳」考 : 作品의 構造 및 性格을 中心으로 Focusing on Structure and Characters

        李金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원우회 1984 원우논총 Vol.2 No.-

        In Hyun Wang Hoo Jeon (Story of Queen In Hyun) is a novel with an epic structure. It can be deduced from such reasons as follows: 1. The ancestry, birth, and growth of the heroine are the same as the structure frequent in our epic literature. 2. Th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good and evil, and reveal the moral of the days, pursuing good and punishing evil. 3. Usage of dream, a technique resorted for denouement and allusion in the old stories, is appealing with considerable important meaning. 4. The symbolic number 3, signifying the big, the abundant, and the frequent, is used as a comprehensive symbol. 5. The epilogue and comments at the end is in the same matrix of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literary forms ranging from the Sam Kook Sa Ki Yeol Jeon (Biographical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o epic poetry, Chinese short stories, old novels, and new novels. Comments within the work are narrated from the omniscient point of view of the author, and they summarize and allude the theme. Such structure reveals the social attitude regarding novels as dcrivated from the historical narratives, and, consequently, the narrative point is focused not on aesthetic expression but on pursuing ethical good. In Hyun is a novel in which historical or empiric self and fictional or epic self are in fusion. In other words, In Hyun, taking the secret of the court as the material, is not different from Kye Choog Il Ki (Diary of the Year of Kye Choog) and Han Joong Rog (Miscellany of Leisurly Mind), but the former marks wid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point. To elucidate, Kye Choog Il Ki is narrated from the side of Queen Mother In Mog to put on Kwanghae Kun more blame than he in fact deserved; Han Joong Rog is written by the victim Lady Hong of Haekyung Palace with a distinct aim of clarifying the facts of the tragedy of Royal Prince Sa Doh and clearing her native family of a false accusation. In Hyun Wang Hoo Jeon, however, is written not in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as in Kye Choog Il Ki and Han Joong Bog, but in the objective one at calm, meditative, and omniscient position. In conclusion, In Hyun Wang Hoo Jeon is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a (enovel of historical) (empiric) self and fictional (epic) self in fusion. It is also an thical work searching for "good," the foremost idea of the time.

      • KCI등재

        <사씨남정기>의 인물 재조명

        이금희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4 No.-

        서포는 <사씨남정기>를 통해 왕조사회에서의 신하, 가부장 사회에서의 가부장과 처첩들 및 시비들의 ‘삶과 죽음의 양태’를 보여주기 위해서 <사씨남정기>의 인물들을 중국 명나라 가정제(세종) 때의 인물들과 서포 당대의 인물들을 일부 변형시키고 새롭게 창조하여 조정의 인물들과 가정 내의 인물들에 투영시켰다. 인물들의 생애를 통해 살펴본 <사씨남정기>의 인물들은 선악으로만 양분되지 않고 ‘신하, 가부장, 처첩, 시비들’에 따라 그 유형이 ‘절의형, 탐욕형’ 등으로 세분화되고, 또 이들 유형에 따라 인물들의 층위도 ‘최상위의 인물, 상위의 인물, 중간형의 인물, 하위의 인물, 최하위의 인 물’로 차별화되었다. 이들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하의 유형으로는 ‘절의형, 은사형, 탐욕형’이 있다. ‘절의형’으로는 사씨의 부친 ‘사 급사’를 들고, 그를 예와 의의 극치를 이룬 ‘최상위의 신하’로 보았다. ‘은사형’으로는 유희 부 자를 들고, 그들을 ‘상위의 신하’로 보았다. ‘탐욕형’으로는 엄숭과 동청을 들고, 그들을 ‘최하 위의 신하들’로 보았다. 둘째, 가부장의 유형으로는 ‘이상형, 멸사봉공형, 의존형’이 있다. ‘이상형’으로는 ‘유희’를 들고, 그를 ‘예와 법도’에 맞게 집안을 잘 다스리는 ‘최상위의 가부장’으로 보았다. ‘멸사봉공형’ 으로는 ‘사급사’를 들고, 사씨에게 ‘직절’의 정신을 남겨준 그를 유희와는 다른 차원에서 ‘최상 위의 가부장’으로 보았다. 의존형’으로는 ‘유연수’를 들고, 그를 ‘중간형의 가부장’으로 보았다. 셋째, 처첩의 유형으로는 ‘부덕과 절의 융합형, 부덕형,. 탐욕형’이 있다. ‘부덕과 절의 융합 형’으로는 ‘사씨’를 들고, ‘부덕과 직절’을 갖춘 그녀를 ‘최상위의 부인’으로 보았다. ‘부덕형’으 로는 유연수의 첩 ‘임씨’를 들고, ‘절의’와 상관없는 그녀를 ‘상위의 첩‘으로 보았다. ‘탐욕형’으 로는 ‘교씨’를 들고, ‘예의 폭거자’인 그녀를 ‘최하위의 첩’으로 보았다. 넷째, 시비의 유형으로는 ‘절의형, 무소신형, 맹종형’이 있다. ‘절의형’으로는 ‘춘방’을 들고, 그녀를 ‘최상위의 시비’로 보았다. ‘무소신형’으로는 ‘설매’를 들고, 그녀를 ‘하위의 시비’로 보 았으며, 그녀의 ‘이기적 자살’을 ‘타살’보다 우위의 죽음으로 보았다. ‘맹종형’으로는 ‘납매’를 들고, 교씨에게 타살된 그녀를 ‘최하위의 시비’로 보았다. 이처럼 <사씨남정기>의 인물들을 유형별로 나누고, 그 유형에 따른 인물들을 세분한 후 인물들의 층위를 차별화했다. 곧 ‘예의 결정체’인 ‘절의형’의 인물들을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최상위의 인물’로 분류한 후, 그들을 ‘숭앙의 대상’으로 삼았다. 반면에 ‘예의 폭거자’인 ‘탐욕 형’과 ‘맹종형’의 인물들을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최하위의 인물’로 분류한 후, 그들을 ‘배척 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군왕으로서의 명나라 가정제와 가부장으로서의 유연수와 같은 ‘의존형’의 인물들을 ‘중간형의 인물’로 보고, 그들의 무책임함(군왕, 가부장)을 ‘교훈의 대상’ 으로 삼았다. In order to show the lives and deaths of not only vassals under the Dynasty but also wives and concubines and slaves under the patriarchy, Seopo used Ming's Gajeongje(Emperor Sejong) in <Sassinamjeonggi> as a time period. In addition, he changed and created some figures in Sukjong‘ time as well as in Chinese history and he projects some characteristics onto characters under the Dynasty and domestic characters. The characters of <Sassinamjeonggi> investigated through characters' lives are not divided into two ways like good and evil but divid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o these types, the strata of characters are differentiated. Those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types of vassals, it can be classified into Fidelity, Retirement to hermitage, Greediness. For Fidelity, it can be Sakubsa, who is Sassi's father, in <Sassinamjeonggi> he is described as the best vassal who is integrated manners and righteousness. For Retirement to hermitage, it can be Yoohee and his son, who are described as inferior to Sakubsa. For Greediness, it can be Umsoong and Dongchung, who are described as the worst vassals. Second, for the types of patriarch, it can be classified into Idealistic, the Public-preferred, and Dependence. For the Idealistic, it can be Yoohee, who is described as the best patriarch who dominates domestic affairs according to manners and righteousness. For the Public-preferred, it can be Sakubsa, who is described as a person who is interested in the official work more than the domestic work. For the Dependence, it can be YooYeonsoo, who is described as a weak patriarch. For the types of wives and concubines, it can be classified into Integration of virtue and righteousness, virtue, and greediness. For the Integration of virtue and righteousness, it can be Sassi, who is described as the best woman compared with Awhang, Yeoyeong and Gulwon who committed altruistic suicide. For the Virtue, it can be Yimssi, who is described as a character who brought fortune into Yooyeonsoo's home. For the Greediness, it can be Gyossi, who is described as the worst concubine who brought disaster into Yooyeonsoo's home. For the type of slaves, it can be classified into Fidelity, Non-belief, and Blind obedience. For the Fidelity, it can be Choonbang, who is described as a character who is lowerly status but has a fidelity. For the Non-belief, it can be Sulmae and the author seems to evaluate her egoistic suicide prior to murder. For the Blind obedience, it can be Nabmae, who is killed by Gyossi and described as the worst slave. Seopo differentiates characters with their personalities and the aspects of death. For the most condition to be respectful is the fidelity regardless of status.

      • 상업용 부동산의 진화

        이금희,Lee, Geum-Hui 한국주택협회 2007 주택과 사람들 Vol.204 No.-

        Simon Group, Taubman, Westfield, Hongkong Land. 이들은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해외의 유명한 부동산 전문 디벨로퍼들이다. 이들은 모두 수십 개 이상의 쇼핑몰을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들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진국의 대형 쇼핑몰은 대부분 개발회사가 개인 투자가들에게 분양하지 않고 쇼핑몰을 소유하면서 매출에 연동해 임대료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반면 국내는 선분양 형태의 분양형 상품이 대부분이다. 전문가들은 임대형이 아닌 분양형 상품으로 짓기 때문에 쇼핑몰 시장에 난기류가 형성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경매시장에 무더기로 쏟아지고 있는 쇼핑몰과 성공한 쇼핑몰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찾아본다.

      • KCI등재

        종결어미 ‘-(으)ㄴ걸’, ‘-는걸’과 ‘-(으)ㄹ걸’의 문법화 과정과 의미 특성

        이금희 한국어의미학회 2013 한국어 의미학 Vol.42 No.-

        This paper examines the grammaticalized processes of ‘-eungeol(은걸)’, ‘-neungeol(는걸)’ and ‘-eulgeol(을걸)’ to find the relativeness resulting from meaning of these three forms. These endings are commonly used to represent the speaker’s emphasis on claims, admiration or surprise, and regret. But in case of the ending is regret, it is not completely grammaticalized. There are three grounds for this. First, the ending is not free to combine with ‘yo(요)’ in syntactic context. Second, it can be used with the substitute ‘graessda(그랬다)’. And finally, it can return to the original form. Also, ‘-neungeol(는걸)’ combines with ‘-gess(겠)-’ to form ‘-gessneungeol(겠는걸)’, and this form is similar to ‘-eulgeol(을걸)’ in a future situation. And ‘-eossneungeol(었는걸)’ is similar to ‘-eungeol(은걸)’ in a past situation. But each ha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 KCI등재후보

        중국어의 특징과 중국인의 사유방식

        이금희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09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21

        The present paper is aimed to establish to being relationship of indivisibility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Various approach about the thinking system of the Chinese is possible. But the present paper as I examines Chinese thinking method based on feature of Mandarin, trying to increase understanding the Chinese and Chinese culture that reflect language and thought Chinese is ideogram, isolating language, monosyllabic word. The present paper induce the language features which is general from this feature of chinese. First, the Chinese changes in the fixed frame appropriately according to situation. Second, the Chinese considers seriously harmony in variety. The present paper regard the Chinese' thought system as duplicate and synthetic, explicate chinese' thought system for the phenomena of language which relate with this but because Chinese organize in Han(漢) race, 55 minority race, have various language though Mandarin is the standard language, Mandarin can't put together to the Chinse thought system. Relates with this, in future detailed, versatile research about connection of dialect, minority race must become accomplished continuously.

      • KCI등재

        지면의 미끄러운 정도에 따른 캐릭터의 걷기 동작 생성

        이금희,송미영,조형제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2

        3차원 가상현실 내에서 캐릭터 움직임 동작의 기술은 기존 방식인 키프레임 기법에 의존하던 것이 점차 동작 제어 기법을 활용하고, 보다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생성해 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 제어 기법을 통해 가상현실의 지형 성질에 따라 적응적인 캐릭터의 동작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대부분의 가상환경에서 캐릭터의 걷는 움직임은 일정하고 단조로운 동작만을 반복하여 표현하고 있어 관찰자로 하여금 지루함을 느끼게 하고, 지형의 조건이나 형태에 맞지않게 캐릭터의 발끝이 지면에 스며들거나 떠있는 등의 부자연스러운 동작으로 인해 사실감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매개변수들과 역운동학 방법을 적용하여 기본 걷기 동작을 표현하고, 지면의 성질을 마찰계수로 대표시켜 지면에 적응적인 걷기 동작의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구심력과 마찰계수를 결합한 후, 이를 근거로하여 한 주기 동안의 걷는 동작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작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지질에 따른 적응적인 캐릭터의 걷기 동작을 생성한다. In 3D virtual environment, the description of character's movement that has utilized the conventional key-frame technique is gradually being developed toward the application of motion control method to generate more realistic and natural motion. Even the motion control method, however, has the limitation for expression of character's motion adapted to the ground properties of virtual world. That is, the walking motions of character are not only, for the most part, so uniform, simple and repeated often as to feel to be tedious, but also the unnatural motion in which the tips of the toes soak through a plane or float in the air discording with the conditions of terrain lowers the semblance of reality.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motion control method for human figure locomotion in virtual environments or games, in which the walking motion is dynamiccally adapted to the ground's sliding properties. We compute an optimal parameters for one cycle of walking motion adapted to the ground properties by combin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centripetal force, and therefrom we induce a set of nonskid speed corresponding to various sliding properties of the 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