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노자공이 조성한 수미산에 대한 연구 - 일본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을 중심으로 -

        이규완,Lee, Kyu-Wa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5

        노자공이 일본 아스카시대 궁원 남정을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인도의 우주관에서는 성산(聖山:Sumeru),중국의 불교적 세계관에서는 묘고산(妙高山)의 형태를 상징화한 것으로 이해되며, 풍륜-수륜-금륜-지륜을 각각 4개의 돌조각에 조각한 조립형 석조물로 추정된다. 노자공의 수미산기록 외에, 일본서기 수미산 등장 4차례의 기록은 수미산이 옥외에 설치된 정원의 구성요소이자 주요 경물로서의 역할을 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일본서기 기록의 문구와 그 표현으로 보아 수미산을 중심으로 경물들을 조합하여 활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모두 향연을 위한 특별한 행사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이 노자공이 오교와 더불어 만든 수미산인지는 현재 확인할 수 없으나, 이후 궁원의 정원시설물로 되풀이되어 조성된 '수미산형의 석조물'은 노자공이 황궁 남정에 조성한 수미산과 동일한 것이거나, 최소한 노자공이 만든 수미산을 원형으로 그 이후 재차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수미산을 기본으로 돌과 연못을 함께 이용하며 원지를 조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노자공이 오교와 함께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불교의 수미산의 형상을 최대한 구상화한 형태인 동시에 축경수석이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수미산의 외형과 기능을 수미산석으로 미루어 추정할 때, 수미산 표면의 문양은 백제시대에 제작된 백제금동대향로나 산수산경문전 그리고 활석제불보살병립상 후면의 문양에서 표현되고 있는 여러 겹으로 겹친 산악 문양 등의 도상과 매우 흡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미산석의 형태 및 구조를 고려할 때 수미산석 분수시설에 적용된 원리는 수위 차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적용하여 물을 이동 분출한 것으로 보이며, 향연 등을 목적으로 한 실용수석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Shumi-sen(須彌山), built by Nohjagong(路子工) in the southern garden of the Palace Garden during the Asuka Period, is understood as being Sumeru based on an Indian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the origin of universe. It is also viewed as Mt. Myogoh from a Chinese Buddhist worldview. It is thought to be a type of assembled stone structure with Poong-ryoon (風輪)-Su-ryoon(水輪)-Geum-ryoon(金輪)-Ji-ryoon(地輪) carved into each of the 4 stone pieces. These building shapes are thought to have been utilized as stone for exterior construction as opposed to those structures built during the Shilla Period of China and Korea. Aside from Nohjagong's record of Shumi-sen, most of the records from Japan's period of the time suggest that Shumi-sen was an important element that played a role in the scenery of the seasonal outdoor gardens. It is also thought, from the sentences and expressions surrounding the records, that a combination of the seasonal sceneries was utilized centered on Shumi-sen, and that they were all used during festival events. From a perspective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dependent on the limited literature and on observation, it cannot be verified whether the Mt. Sumeru Stone(須彌山石) excavated from the Stone God Ruins is the same Shumi-sen that Nohjagong built along with Okyo(吳橋), but it is thought that the 'Shumi-sen type stone structure' that was later built repeatedly as part of the palace garden facilities is identical to the Shumi-sen built at the Imperial Palace's southern garden, or at least a re-built structure based on the Shumi-sen that Nohjagong built with stones and ponds used to create the foundation. Thus, Shumi-sen that Nohjagong supposedly built along with Okyo is suspected to be a figurative rock arrangement and, at the same time, a miniaturized scenic rock arrangement(縮景樹石) that maximized the shape of Buddhism's Shumi-sen.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pattern on Mt. Sumeru Stone is very similar to the multi -layers of mountainous pattern icons expressed in the patterns of the Great Golden Incense Burner(百濟金銅大香爐) or Mountain-Water Scenery Sculptural Brick(山水山景紋?) that were built during the Baekjae pcriod aod the rear side of Hwalsuk-jebul Basal Byungipsang(滑石諸佛菩薩竝立像); it is suspected that similar patterns would have been used if patterns were made on Shumi-sen that Nohjagong built. Also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theory of MI. Sumeru Stone, the Siphon theory of using a pressure difference in water level was applied to the fountain facilities of Mt. Sumeru Stone that seemed to have been built from the practical rock arrangement perspective for the purpose of feasts, et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삼국유사 색채어의 길흉표현과 오방정색론의 확산에 관한 연구

        이규완(Kyu-Wan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2

        이 연구는 삼국시대의 대표적 사료 중 하나인 「삼국유사」에 사용된 색채어를 분석하고 색이 나타내는 길흉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삼국유사」에는 총 19가지의 색이 147회에 걸쳐 사용되었다. 우리말의 기본색채어인 하양(21.1%), 빨강(19.7%), 까망(6.1%), 파랑(14.3%), 노랑(8.2%) 등 5가지 색이 전체의 70% 정도를 차지하였다. 우리 민족이 하얀색과 빨간색을 선호하였음을 「삼국유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라색(10.2%)과 금색(11.6%)도 기본색채어 수준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들 7 가지의 색이 전체 색채어의 90%를 차지한다. 삼국시대의 정사인 「삼국사기」에 비해 야사인 「삼국유사」에서 사용된 비율이 두드러지게 높은 색은 파랑과 금색이다. 파랑은 2배, 금색은 약 3배 정도 사용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색이 길흉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비교하면 「삼국사기」에 비해 「삼국유사」에서 색이 흉한 의미로 사용된 비율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빨간색과 까만색을 흉한 의미로 사용한 비율이 감소하였다. 파란색과 금색을 길한 의미로 사용한 경우가 증가하였는데 오방정색론과 불교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또한 오방정색론이 도입되면서 전통색사상에서 하늘을 뜻하였던 하얀색에 서쪽이라는 의미가 추가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방정색론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시기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불교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시기(7∼8세기 전후)와 겹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자가 6∼7세기에 본격적으로 확산된 것과 비교하면 1세기 정도 늦은 것이다. 7세기 이전에 사용된 색의 사회문화적 의미해석은 우리민족의 우리민족 고유의 색사상이나 커뮤니케이션사상에 기초해야 하고, 확산 시기 이후에는 전통사상과 오방정색론 중에서 하나를 맥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가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olor-word in Samkukyoosa(a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and the diffusion of obangjungsak(a thought of traditional color). In Samkukyoosa, 19 color-words was used in 147 articles and the proportion of white(21.1%)/black(6.1%)/red(19.7%)/blue(14.3%)/yellow(8.2%) was almost 70% of them. The articles involving blue and gold-color were more used in Samkukyoosa compared to the Samkuksagi. The meaning of white color was changed heaven/sun to west/china in the Samkookyoousa. The obangjungsak was diffused by the blood royals and monks of Silla in 7∼8 century after the reunion of three kingdoms. It was late about 1 century to the diffusion of Hanza(Chinese letter).

      • 측정 변형률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규완 ( Lee Kyu Wan ),박기태 ( Park Ki Tae ),박홍석 ( Park Hung Seok ),박종섭 ( Park Jong Sup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5 No.2

        Bridges are important to overland traffic both on road and on railway. Preventive maintenance and structural safety of bridges may be guaranteed by the application of health monitoring system, which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detailed inspection, repair and rehabilitation of bridges. For that reason, long term monitoring system are largely constructed and various kind of sensors are used in bridge monitoring system. Especially, the strain sensors are greatly applied because strain value is useful and important to identify bridge healthy status.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practical use of measured strain, ambient vibration test was conducted on a simple steel tube beam including both intact and simulated damage state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natural frequency, strain mode shape) and deflection of test beams were estimated from measured strain. For crack detection criteria, ECoMAC(Enhanced Coordinate Modal Assurance Criteria) and MVE(Modal Vector Error) have been us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displacement could be estimated effectively using measured strain and strain mode shape is sensitive to local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