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물과 석회 처리 수준이 토양의 Trichloroethylene 흡착에 미치는 영향

        이군택,류순호,이민효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 지하수토양환경 Vol.1 No.1

        본 실험은 산업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유기용제인 Trichloroethylene (TCE)이 저장탱크누출, 작업장에서의 취급 부주의, 매립지 침출수 유출 등을 통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물질이므로 토양내에서의 TCE의 흡착성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위해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석회 시용량을 달리하여 TCE에 대한 Freundlich 등온흡착식 상수 k와 n을 결정하였다. 유기물함량은 sewage sludge cake을 0ton/ha, 50ton/ha, 100ton/ha 수준으로 처리하고 S1, S2, S3라 명명하였다. 석회는 2ton/ha, 4ton/ha, 6ton/ha, 10ton/ha.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sewage sludge cake을 수준별로 처리한 실험에서 구한 Freundlich 등온흡착식은 다음과 같다. (단, TCE 처리 농도범위가 0.5~2.5ng/g soil 일 경우임) S1 : x/m = 0.393 $C^2$, S2 : x/m = 0.436 $C^2$, S3 : x/m = 0.636 $C^2$위 식에서 보듯이 k값이 sewage sludge cake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0.393, 0.436, 0.636으로 증가하므로 TCE 처리농도가 같다면 sewage sludge cake 처리수준이 높은 토양일수록 TCE에 대한 흡착효율이 좋았다. 반면 석회시용 수준이 증가할수록 토양의 pH는 증가하였고 TCE 흡착능력은 감소하였다. Trichloroethylene(TCE) is the organic compound which is used variously at the industrial areas. It contaminates soils and groundwater by leaked storage tank, careless treatment in field and the effluent from waste landfil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dsorptive behavior of TCE by soil.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different soil-organic matter content and lime treatment to determine Freundlich isothermal adsorption equation constant, k and n, for TCE. Sewage sludge cake was applied to make different soil-organic matter content with the level of Oton/ha(S1), 50ton/ha(S2), 100ton/ha(S3). Lime(calcium hydroxide) was treated with the level of 2ton/ha, 4ton/ha, 6ton/ha, 10ton/ha. Freundlich isothermal adsorption equations obtained from experiment with sewage sludge cake were as follows (on condition that the level of TCE applied to soil ranged from 0.5ng/g soil to 2.5 ng/g soil.) : S1 :x/m = 0.393 $C^2$, S2 : x/m = 0.436 $C^2$, S3 : x/m = 0.636 $C^2$Value of k was increased in higher order of 51, 52, 53 with increased level of sewage sludge cake application. From this results, soil which was applied higher level of sewage sludge cake had a good ability on TCE adsorption. With increased the level of lime application, pH of the soil was increased and the ability of the soil in TCE adsorption was decreased.

      • KCI등재

        다종유류 오염 환경매체에서의 유류 분리.정량에 관한 연구(I) - 등유, 경유 정량을 중심으로 -

        이군택,이민효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 지하수토양환경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휘발유, 등유, 경유로 복합 오염되어있는 환경시료에서 등유, 경유에 대한 효율적인 분리.정량 방법을 찾기 위하여 동일 유류의 경우 기준 n-alkane의 면적비는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가설하에 이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과 등유, 경유의 기준 peak의 선정을 위한 회수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설의 입증은 등유의 경우 n-alkane의 기준 peak를 $C_{l3}$, $C_{l4}$, $C_{15}$로, 경유는 $C_{l6}$, $C_{l7}$로 각각 두고 이들 기준 피크에 대한 타 n-alkane의 상대 면적비를 구하여 농도가 다른 시료간에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높은 유의성을 보여 동일 유류의 경우 기준 n-alkane에 대한 타 n-alkane의 면적비는 일정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한편 회수율 실험은 휘발유, 등유, 경유가 일정농도로 혼합된 시료에서 등유, 경유의 기준 peak를 한 쌍으로 하여 이들 기준 피크별 n-alkane의 상대분포비를 적용하여 회수율(%)을 조사한 결과 등유- $C_{l3}$/경유- $C_{l6}$는 107.0$\pm$20.6/86.6$\pm$15.9, 등유- $C_{13}$/경유- $C_{16}$는 99.6$\pm$17.2/86.6$\pm$15.9, 등유- $C_{15}$ /경유- $C_{16}$는 73.9$\pm$14.4/86.6$\pm$15.9, 등유- $C_{13}$경유- $C_{17}$는 109.4$\pm$20.8/75.9$\pm$14.7, 등유- $C_{l4}$/경유- $C_{17}$는 107.4$\pm$17.9/75.9$\pm$14.7, 등유- $C_{15}$ /경유- $C_{17}$는 95.7$\pm$14.6/75.9$\pm$14.7 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등유와 경유의 기준 피크로 위에서 제시된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정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농도변화에 따른 표준편차가 가장 적은 등유- $C_{15}$ , 경유- $C_{l7}$을 기준 피크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된다. 판단된다.로 판단된다.된다.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separa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 for kerosene and diesel in a mixed petroleum fuel (gasoline, kerosene, and diesel) contaminated environmental samples. This investigation was directed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if the source of petroleum fuels were identical, the peak-area ratios of a reference n-alkane to other n-alkane peaks should be a constant even at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In addition, experimental recovery rates were determined to select the reference peaks of kerosene and diesel for peak area ratio measure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ak area ratios were constant among the samples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when the ratios were calculated from areas of $C_{l3}$, $C_{l4}$, and $C_{15}$ peaks for kerosene and $C_{l6}$ and $C_{l7}$ peak for diesel as reference n-alkane peaks. The recovery rate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lative peak area ratios of each reference peaks after making pairs of the kerosene and diesel reference peaks in the samples contained a known amount of gasoline, kerosene, and diesel. The recovery rates(%) Were 107.0$_{{\pm}20.6}$/86.6/ sub $\pm$15.9/ for kerosene- $C_{13}$/diesel- $C_{16}$, 99.6$\pm$$_{17.2}$/86.6$_{{\pm}15.9}$ for kerosene- $C_{14}$/diesel- $C_{16}$, 73.9/$\pm$14.4//86.6$_{{\pm}sub 15.9}$ for kerosene- $C_{15}$ /diesel- $C_{16}$, 109.4$_{{pm}0.8}$/75.9$_{{pm}4.7}$ for kerosene- $C_{13}$/diesel- $C_{17}$, 107.4$_{{pm}7.9}$/75.9$_{{pm}4.7}$ for kerosene- $C_{14}$/diesel- $C_{17}$, and 95.7$_{{pm}4.6}$ /75.9/$\pm$14.6//75.9$_{{pm$}4.7}$ for kerosene- $C_{15}$ /diesel- $C_{17.}$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all of the reference peak pairs of kerosene and diesel are applicable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mixed fuel contaminated samples, but the kerosene- $C_{15}$ /diesel- $C_{l7}$ peaks are recommended since the pair has a lower standard deviation than the other pairs.s..s.s.s..s..s.s.s.s.s.

      • KCI등재

        적용된 분석방법 차이에 따른 토양 중 풍화 경유 함량 비교

        이군택,Lee Goon-Taek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 지하수토양환경 Vol.9 No.3

        본 실험에 사용된 토양은 유류 유출사고가 발생한 후 7년 동안 방치 되어왔던 지역에서 채취되었으며 정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풍화된 형태의 경유로 오염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토양 중 경유의 정량은 1999년 7월에 개정된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 (시험법 1)과 US EPA method 8015b (시험법 2)에 준하여 이루어졌으며, 또한 2002년 7월에 개정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시험법 3)과의 비교를 위하여 일부 추가 시료에 대한 정량분석이 수행되었다. 시험법 1을 적용하였을 때 분석에 사용된 총 46개의 시료 중 4개의 시료에서만 유류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시험법 2를 적용하였을 때는 모든 시료에서 유류성분이 검출되었으며 43개 시료의 농도가 토양오염우려기준인 2000mg/kg을 초과하였다. 시험법 2와 3에 의하여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1차 회귀직선식을 도출해보면, 기울기 값이 0.984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r^2$=0.99)를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로 볼 때 시험법 2와 3은 시험법 1과 비교하여 토양 중 풍화가 진행된 경유를 정량 할 경우 보다 적절한 방법으로 판단되었으며 시험법 2와 시험법 3은 거의 같은 수준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보여주었다. Soil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taken from the site at which diesel spill accident had occurred in 1995.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soil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diesel which was going on weathering. The concentrations of diesel in soils were determined by Korea standard method revised in July 1999 (Method 1) and US EPA method 8015b (Method 2). Some additional soil samples were analyzed with Korea standard method revised in July 2002 (Method 3) to compare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with Method 2. The only four of forty-six samples were determined when the analysis carried out according to Method 1 while forty-three of forty-six samples had the value above criterion (2000mg kg$^{-1}$ ) according to Method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Method 2 and Method 3. Based on these results, Method 2 and 3 were more appropriate than Method 1 for the determination of weathered diesel in soil. Method 2 had almost equivalent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to Method 3.

      • KCI등재

        국제표준(안) 개선을 위한 토양 중 화약물질 추출 효율성 평가

        이군택,정인호,김보현,김동욱,Lee, Goon-Taek,Jung, In-Ho,Kim, Bo-Hyun,Kim, Dong-Wook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2 지하수토양환경 Vol.17 No.1

        The ISO document of ISO/TC/190/SC3/WG11/N11 is a working draft of international standard (WD) dealing with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explosives and related compound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cope of this WD covers the storage of samples, preparing test portion, extraction and instrument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xtraction conditions which were already adopted in the WD. For this purpose, mechanical shaking method could be corresponded up to 18 hours of ultrasonic bath extraction in the WD was tested. Methanol was also tested with the intention of being added as an extracting solvent other than acetonitrile in the WD. According to the results, 16 hours of mechanical shaking method showed statistically the same effectiveness as that of 18 hours of ultrasonic bath extraction. In case of extracting solvent, methanol also showed statistically the same extraction capability as acetonitrile for DNB, TNT, 2-A-DNT and 2,4-DNT. However, the recovery rate of TNB with methanol extraction was 40% higher than that of acetonitrile extraction. Through adding mechanical shaking method into committee draft (cf. the next stage draft of the WD during the process for making international standard), ISO standard of analyzing explosives and related compounds in soil would become more useful in dealing with huge number of field samples in the laboratory. In other aspect, adopting methanol as an alternative extracting solvent would be very effective in the terms of exchangeability with GC-ECD/MS method which is being developed by German experts.

      • 가축전염병에 의한 살처분 가축 처리 방법

        이군택 한국환경농학회 2011 한국환경농학회 워크샵자료 Vol.2011 No.1

        구제역 파동을 거치면서 가축전염병에 의하여 살처분된 가축의 친환경적 처리 방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 대한 개괄적 소개를 주목적으로 본 자료를 준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 그런 방법들이 지속적 연구를 통하여 가까운 장래에 제안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우선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국내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매몰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매몰은 크게 구덩이 매몰 (Trench burial), 위생매립 (Landfill), 다량 매몰 (Mass burial)로 구분된다. Trench burial은 전통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방법으로서 경제적이며 편리한 방법이나 환경과 위생적 측면에서 우려의 소지가 있어 선호도가 낮아진 방법이다. 다른 가용 방법보다 경제적이며 잠재적인 감염성 물질을 이송할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잠재성, 다른 처리에 비해서 유용한 부산물을 생산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Landfill방법은 폐기물 매립에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버지니아에서 1984년, 2002년도에 조류독감(AI), 영국에서 2001년도에 구제역(FMD), 2002년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exotic Newcastle disease(END) 발생시 사용되었다. 기존에 준비되어 있는 시설로서 긴급 상황에 신속히 이용가능하고 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매몰 방법이라는 장점과 매립장 운영 주체에 의한 가축사체 반입 거부 가능성(지역폐기물 반입 용량 문제), 제거 개념이 아니고 고립 개념으로서 장기간의 관리가 요구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은 Mass burial 방법으로서 여러 장소에서 이송되어 온 많은 수의가축을 매몰하는 방법을 말하며 영국에서 2001년도 구제역 발생시 중요한 역할을 한 처리 방법이다. 최대 장점은 많은 수의 살처분 매몰이 가능하고 적정한 부지평가, 계획, 설비를 적용한다면 위생매립과 같은 낮은 환경위해성이 확보되는 방법이다. 영국 경험상 이런 부지의 사용 및 건설에 대한 대중의 반대, 장기간 고비용 모니터링과 관리가 요망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은 소각 방법으로서 노천소각(open-air burning), 고정시설 소각(fixed-facility incineration), 공기막소각(air-curtain incineration)으로 구분된다. 노천소각은 영국에서 1967년과 2001년도 구제역, 1993년 캐나다 탄저균, 2001년 미국 미주리 주에서 범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법률적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긴급 살처분 상황시 법령이 무시될 소지가 있다. 화재위험성 내재, 다량의 재(ash) 처리 문제 광물류 연소에 의한 지하수, 토양 오염 가능성이 높다. 고정시설소각은 화장장, 수의대나 농가의 소규모 소각장치, 대규모 폐기물 소각장, 발전용 소각시설 등으로 다양하다. 북미나 유럽의 경우 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 사체는 소형 소각장치를 활용하여 처리하였고 영국에서 광우병이 출몰한 이후로 광우병 감염가축의 처리에 사용되었다. 대기배출허용기준에 의한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소각에 충분한 온도를 제공 (TSE : 850℃ )한다. 공기막소각은 인공적으로 바람을 강제로 불어 넣어 연소 속도를 증가 시키는 방법으로 노천 소각보다 연소 속도가 6배 빠르며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식 시설 소각과 달리 완전히 닫힌 시스템이 아니므로 여러 가지 (작동기술, 날씨, 지역 사회 선호도) 요건에 좌우된다. 습한 시료의 경우 추천 소각온도 (TSE : 850℃ ) 이하로 온도 저하 가능성이 있다. 세 가지 방법을 비교해 보면 노천소각은 저비용이지만 TSE 감염사체 처리에 부적합하며, 기후 조건에 좌우되며, 환경적 문제 야기, 대중의 기피 등의 문제를 않고 있으며, 고정시설 소각은 TSE 사체를 완전히 처리하고 생물학적으로 매우 안전한 방법이다. 다만, 고비용 설비와 각종 규제 지침에 맞게 가동 및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공기막소각은 이동성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친환경적이나 연료 소모가 많고 TSE 감염사체 처리의 안전성이 검증되지 못하였다. 다음은 퇴비화(Composting) 방법으로서 호기적 조건에서 일어나는 자연적 생물분해 과정이다. 살처분가축의 퇴비화에는 탄소원, 팽화제, 바이오필터 등 다양한 재료가 요구된다. 방식에 따라 굴착퇴비화법(Windrow method), 상자퇴비화법(Bin method)로 나누어지며 굴착퇴비화법은 선정된 부지 (cf. 최고 수위에서 최소 90cm, 주거지 90m 이상 이격, 경사도 1-3% 등)의 가장 높은 지점에 만드는 것이 적절하며 바닥면의 플라스틱라이너(두께 0.6cm)를 수분 차단막으로 사용한다. 라이너 위에 보조퇴비화재료를 놓고 팽화제를 그 위에 쌓은 상태에 사체를 넣고 다시 팽화제로 덮는다. 이런 방식을 되풀이하여 약 1.8m 높이가 되도록 한다. 상자퇴비화 방식은 1000kg 사체에 10m3 용량이 요구되며 성숙돈, 소 등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콘크리트, 나무, 건초가마니 등으로 된 상자에 퇴비단을 넣어서 퇴비화하며 포식자, 쥐, 유거수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연 평균강우량이 1000mm가 넘는 지역은 비가림 시설이 필요하다. 다음은 렌더링 방법으로서 동물 사체를 단백질 고형물, 수지류, 수분 세가지 형태로 변형 시키는 과정으로 기계적처리(분쇄, 혼합, 압축, 분리 등), 열적처리(가열, 증발, 건조 등), 화학적처리(용매추출)를 이용한다. 고온렌더링(HTR)과 저온렌더링(LTR) 방법으로 구분되며 최종 부산물의 유용성으로 볼 때 저온렌더링이 선호된다. 렌더링 최종 부산물인 MBM(meat and bone meal)은 칼슘(7-10%), 인(4.5-6%), 기타 미네랄, Vitamin B12, 아미노산 등의 좋은 재료가 되며 사료, 퇴비, 대체연료 등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재오염이 일어나기도 하며 광우병이 프리온(prion)으로 감염된 MBM을 사료로 먹인 것에서 기인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US FDA (2001)은 반추동물(소 등되새김질 하는 동물)에 포유류 단백질(MBM 등)을 먹이는 것을 금하고 있으며 종종 살모넬라균이MBM에서 검출되고 있어서 이들 부산물의 활용 측면에서 안전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유산발효 방법으로서 살처분 가죽을 25주 동안 보관하는 방법이며 병원성미생물의 박멸 및 영양성분이 풍부한 최종 산물을 만드는 방법이다. 유산발효는 렌더링 적용 전까지 사체를 보관하는 방법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낮은 pH 영향으로 사체 분해에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탱크, 분쇄기 등 간단한 장비 요구된다. 분쇄된 사체에 탄수화물(lactose, glucose, sucrose 등), 배양균 등을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의하여 유산으로 발효되며 이는 살모넬라를 비롯한 많은 박테리아를 파괴한다. 다음은 알카리가수분해 방법으로서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을 사용하여 사체의 가수분해를 촉진함으로써 살균된 액상 부산물로 만드는 방법이다. 신속한 처리를 위하여 약 150℃의 열을 가해주는 과정이 요구되며 유일한 알칼리가수분해 부산물은 뼈와 치아로서 사체 중량 및 부피의 2% 수준이며 살균되었고 분쇄가 용이하여 토양 개량제로 사용될 수 있다. 처리 후 발생하는 액상 물질의 하수 처리시 온도(약 190℃), pH(10.3-11.5), BOD(약 70,000mg/L) 등을 고려해야 한다. 장점은 살균과 분해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폐기물의 부피와 무게가 약 97% 감소하고, Prion을 포함한 병원성 미생물의 완전 사멸, 악취와 대중의 혐오감 저감, 방사능으로 오염된 조직의 제거 등이 있다. 단점으로 처리 용량의 한계성 있으며 최종 액상 부산물의 처리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최신 개발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열봉을 이용한 원위치탄화공법 등이 국내에 소개되어 적용성 평가 과정에 있다.

      • KCI등재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CP-MS)를 이용한 토양의 총 우라늄 정량에 요구되는 적정 산분해 전처리 방법 개발

        신건환,이군택,강지영,윤정기,김현구,노회정,김지인,김계훈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8 지하수토양환경 Vol.23 No.6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instruments for metal analysis,was used to determine total uranium in soil. The method was named as “Modified ASTM C1345-96”. When comparingwith ASTM C1345-96, digestion time (2~3 days) was shorten to 7 hours and the treatment in furnace was eliminated. Inanalyses of 26 field soil samp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uranium betweenmodified ASTM C1345-96 and ASTM C1345-96 (F : 6.22 > Fc : 4.03, significance level : 0.05, n=26). The averageconcentration of modified ASTM C1345-96 was 1.8 times larger than that of ASTM C1345-96. In addition, modifiedASTM C1345-96 was compared with other acid digestion methods for soil including ISO 11466, Modified ISO 11466,US EPA-3051, US EPA-3051A and US EPA-3052 using a certificated reference material (SRM 2711a, NIST) and fieldsoil samples with different level of organic matter content (1.6%, 5.8%, 10.6%). Modified ASTM C1345-96 showed thebest accuracy of 93.01% for SRM 2711a. Also, modified ASTM C1345-96 showed the higher extraction rates than otherdigestion methods by 11~45%.

      • KCI등재

        두 가지 추출제를 이용한 광산지 인근 농경지 토양 중비소, 카드뮴, 구리, 납의 용출 특성 평가

        권지철,이군택,정명채,김정욱,윤정기,김현구,김지인,이홍길,김인자,김태승,강지영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9 지하수토양환경 Vol.24 No.6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ve extraction ratio (RER) of As and heavy metals (Cd, Cu and Pb) in paddy soils using thetwo types extractant, 0.05 M EDTA and 0.43M HNO3. The RER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oncentrations of metalsobtained by 0.05M EDTA or 0.43 M HNO3 extraction by those obtained by aqua regia extraction. The RER of 0.43MHNO3 was larger than that of 0.05M EDT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0.001) between the concentration in aqua regia and 0.05M EDTA or 0.43 M HNO3. Especially, Cd showed the highercorrelation than other metals.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soil pH, CEC, organic matter content,and soil texture all influenced the metal extraction rates and bioavailability of the metals.

      • KCI등재

        유류 오염 토양 중 산화방지제 정성 분석을 통한 항공유(JP-8) 유종 판별

        김용훈,이군택,장한전,조윤주,김문건,최재호,강지영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2 지하수토양환경 Vol.27 No.4

        Accurate analysis of petroleum hydrocarbons in soil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proper source tracking ofcontamination. Identification of petroleum compounds is commonly carried out by peak pattern matching in gaschromatography. However, this method has several technical limitations, especially when the soils underwent biological,physical and chemical transformation. For instance,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jet fuel (JP-8) from kerosene becauseJP-8 is derivatized from secondary reaction between chemical agents (e.g. anti-oxidants, antifreezer and so on) andkerosene. In this study, an alternative method to separately analyze JP-8 and kerosene in the petroleum hydrocarboncontaminated soil was proposed. Qual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for representative phenolic antioxidants [2,6-di-tertbutylphenol (2,6-DTBP), 2,4-di-tert- butylphenol(2,4-DTBP), 2,6-di-tert-butyl-4-methyl phenol (2,6-DTBMP)] using atwo dimensional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2D GC×GC-TOF-MS). This qualitative analysis of antioxidantsin soil would be a useful complementary tool for the peak pattern matching method to identify JP-8 contamination in so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