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환경으로서 미래교육시설구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이경희,홍경선,유화영,Lee, Gyeoung-Hee,Hong, Kyung-Sun,Yu, Hwa-Young 한국교육시설학회 2012 敎育施設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uge the level of awareness of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teachers regard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and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in current and future school education, thereby providing essential data for seeking future improvement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Towards this end, a survey questionnaire (sectionalized into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and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was developed. Subsequently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random sampling of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teachers in the Kyonggi, Kangwon, and Chonra Provinces.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797 questionnaire responses thus attained, focusing on the teachers'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and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the correlation of the findings of the three areas in ques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os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of this study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hat school administrators take into account the level of awareness of frontline teachers regard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afe and secure learning environment conducive to the synergic interplay of the three areas in question, by realizing true ICT in the classroom. Third, teachers in the classroom must endeavor to achieve a meaningful synthesis between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to serve as harbingers of improvements in the way we conduct the business of education.

      • KCI등재

        교수역량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이경희(Gyeoung Hee Lee),김기홍(Ki-Hong Kim),김지연(Ji-Yo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eaching competencies and components of instructors and develop and validate a tool to measure the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Methods First,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eaching competency groups and competencie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a provisional teaching competency model including teaching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s was derived. Second, preliminary questions to diagnose the derived teaching competencies and components were derived and face validity was conducted. Third,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questions through face validity. Fourth,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fter a preliminary survey using questions derived after content validity analysis. Fifth, a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all professors using the questions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nalysis. Afterwards, the final questions were decided afte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A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F University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he diagnostic tool consists of 3 competency groups, 9 competencies, and 29 sub-competencies, with a total of 77 question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recognition and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eaching capabilities, the use of self-diagnosis and self-development tools to strengthen professors' teaching ca-pabilities, and the need for policies to revitalize teaching capabilities through the use of diagnostic t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tools at other universities.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교수자의 교수역량 및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수역량군과 역량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교수역량과 행동지표를 포함한 잠정적 교수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교수역량 및 구성요소를 진단하는 예비문항을 도출하고 안면타당도를 실시하였다. 셋째, 안면타당도를 통해 수정·보완된 문항의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내용타당도 분석을 하였다. 넷째, 내용타당도 분석 후 도출된 문항으로 교원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예비조사 분석 결과 도출된 문항으로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본조사 후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하고 최종 문항을 결정하였다. 결과 3개의 역량군, 9개의 역량, 29개의 하위역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문항은 77개인 F 대학의 교수역량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교수역량 강화의 중요성 인식 및 공감대 필요, 교수들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자기진단과 자기개발 도구로서의 활용, 진단도구 활용을 통한 교수역량지원 활성화 정책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타 대학의 교수역량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공과대학 학생들의 교육요구수준이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Gyeoung-Hee Lee),임성욱(Sung-Uk L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으로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요구수준이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공능력, 기초교양, 언어능력, 조직 및 커뮤니케이션 등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교육요구수준 설문지 및 학교생활만족도 설문지를 A대학교 공과대학 학생 1,301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최근 5년간의 A대학교 공과대학 GPA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의 교육요구 수준은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교육요구수준 파악의 필요성, 조직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필요성, 각 학과 전공수업에서의 교육요구수준 설정 전략, 학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 교양교과의 중요성 인식, 언어(영어)능력향상을 위한 대학 내 교육프로그램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a university education objectives and contents. To achieve this goal, we surveyed 1,301 students and analyzed recent 5 years GPA of A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One of the survey was consisted of 4 sections such as knowledge and skills in one"s academic area, core competency(creativity, logical thinking skills), language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leadership. The other survey was for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engineering students" educational need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level as well as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negative(-) correlation. Based on this result, this paper suggest following; understanding engineering students" educational needs, the need of improvement on organizing/communication ability, strategy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needs of major academic classes,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liberal art courses, supporting university educational program for language(english) competency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strategy for enhancing satisfaction level of one"s academic area.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연구 - 사례재구성을 통한 중년여성의 학습개념을 중심으로

        이경희(Lee Gyeoung-Hee),박성희(Park Seong-Hi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의 평생학습은 남성과는 다른 생애사적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무형식으로 이루어지는 평생학습은 삶의 주인공인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위기를 극복하는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성인학습자는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되면서 교육의 목표와 학습의 과정을 자신의 생애사 속에서 스스로 결정하면서 자신을 완성시키는 자기주도적 학습자이다.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제도를 통하여 학위과정을 이수하는 00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에 수학하는 중년여성 10명의 학습개념과 그 동안에 이루어진 생애사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이루어졌다. 내러티브면담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수집된 자료에서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은 자기조직적으로 학습하는 혁신적 행위자이며 자기 재생적인 잠재력을 소지한 학습자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이 나타내는 패러다임은 학교교육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사회화의 개념이 평생교육에서는 생애사의 개념으로 바꾸어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생애사는 개인의 개별성을 중시하며, 인간형성의 과정을 연구한다. 개인은 우연적이며, 비연속적인 교육의 현상을 통하여 그들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의 생활세계인 생애사를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려있는 미래를 준비하며, 자신의 삶을 조직화하고 능동적으로 행위하는 성인학습자 연구는 사회화의 개념대신 생애사의 개념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을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다.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lifelong learning of women is done in the context of biographical way. Their lifelong learning is mad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especially such as overcoming adversities in their daily life environment. The middle-aged women are self-leading adult learners who can control their lifetime and become the master of their own lives.<BR>  This paper researches the biography of 10 middle-aged women learn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to 00 university. The research data are collected by an narrative interview, and the core category based upon the so-called ground theory is derived from these data.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iddle-aged women are found to be self-organized, innovative learners who have self-refreshing potentialities.<BR>  The paradigm represented by these main phenomena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used for explaining school-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to the concept of biography in lifelong education. The concept of biography values personal individualities and analyses the process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building. Through the accidental and intermittent educational phenomena, the middle-aged women have imposed meanings upon their own life and made their biography.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we should study adult learners who are self-organized and positive for the promising future, through the concept of biography, instead of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 KCI등재

        고령자 취업 활성화 방향 연구 - 포천시를 중심으로 -

        이경희(Lee Gyeoung Hee),이혜정(Lee Hae Jeong) 한국노년교육학회 2016 노년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현재 고령자 취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취업알선을 제공하고 있는 11명의 포천시 소재 일자리센터 상담사들에게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고령자 취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취업실태 및 문제점을 서비스 환경, 사회적 환경, 법적 제도적 측면으로 나누어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고령자 취업 활성화를 위하여 첫째, 고용지원프로그램의 통합화·체계화 필요, 둘째, 고령자 적합 직종 개발 및 다양한 형태의 융통적인 일자리 개발, 셋째, 고령자 인력뱅크 및 평생직업교육훈련체제의 제도적 마련, 넷째, 고령 노동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단기 정책 접근, 다섯째, 취업 서비스 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 및 담당자의 노인문제 전문지식 학습의 필요성과 전문 담당자 확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current elderly people seeking employment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elderly to promote employment.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utiliz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o 11 Pocheon job center counselors materials that provide job placement targeting the elderly. The interview data were divided into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mployment situation and problem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elderly employment in the service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As a result, the following is proposed to enable the elderly to work. First, the need for systematic integration 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second, the development of jobs suitable for the elderly and the need for various forms of flexible employment development, third, banks and institutional provision of elderly workers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urth, long and short term policies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the aging workforce, fifth, improvement the quality of services employment services agency, the need of the counselors’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elderly issues, and the expansion of professional staff.

      • KCI등재

        군 전역 복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이경희(Lee, Gyeoung Hee),강경리(Kang, kyu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군 전역 복학생을 위한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현황과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군 전역 복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발전방향이다. 이를 위해, 2018학년도 1 학기 경기도 소재 D 대학교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19명의 군 전역 복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현황및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프로그램의 개선방향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활 적응지원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개인․정서 적응, 학업 적응, 사회 적응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은 정규 강좌 와의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 체계화, 대학 각 부서와의 연계 운영을 통한 프로그램 전문화, 군 전역 복학생 중심 동아리 구성을 통한 프로그램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이경희 ( Gyeoung Hee Lee ),이정례 ( Jung Rye Lee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논문집 Vol.29 No.3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에서의 대학수학교과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를 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수학교과 학업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교과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A대학교 2014학년 1학기에 개설된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한 이과대학 및 공과대학 신입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성적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 대학생의 90%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 시 수학교과 선행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행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교과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신등급과 대학학업성취도 간 및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 수학교과성적 간에는 미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만 있었다. 넷째, 고교성적(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the high school records, mathematics grade in the KSAT(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grade point average) of college freshmen. It analyses how much mathematics capacities in the time of high school affect mathematics achievement of college freshmen. This study surveyed 193 freshmen, attending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taking the ‘basic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lecture, which was opened for the first semester of 2014 in the A university. The data processing was fulfilled by means of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test, ANOVA, ex post facto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outcomes of this survey are followings: Firstly, over 90 percent of college freshmen underwent prior learning of mathematics when they attended high school. Secondly, their perception of effectiveness for prior learning is founded to be meaningfully lower than their perception of its needfulness. Thirdly, while there is hig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GPA in the college, there is littl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records and GPA in the college. Also, there is littl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grade in the KSA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college. Fourthly, the accomplishments in the high school(The high school records, mathematics grade in the KSAT) and the efforts, satisfaction, necessity, etc. for prior learning had littl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academical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 KCI등재

        고교성적, 수능성적, 대학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찰 :

        이경희(Gyeoung h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 대학학업 성취도 분석을 통하여 입학사정관제 활용 및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의 2005~2009학년도 신입생 6,679명의 고교 학 생부성적 등급평균, 수능시험 영역별(언어, 수리, 외국어) 등급평균, 대학 1개년간의 대학학업성취도 평점평균이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시모집 학생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부성적은 높으나 수능점수는 떨어지는 수시모집 학생들 의 경우, 대학학업성취도의 평점평균은 정시모집 학생들의 평균평점보다 낮았다. 둘째, 학생부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상호간 그리고 수능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상 호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중 학생부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상호간의 관계가 더 높았다. 셋째, 학생부성적과 수능성적이 대학 1개년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력을 회귀분석한 결과, 학생부성적이 수능성적보다 더 영향력이 컸다. 이러한 연 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각 대학이 입학사정관제를 활용하기 위해 학생부 성적은 높으나 수능성적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학생들에 대한 맞춤식 교육프로그 램을 준비해야 하며, 개별 고등학교와 학생 개개인에 대한 포트폴리오적 접근과 다 양한 전형자료 및 전형요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doption and strategy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through analysis among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CSAT) grad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freshmen in the university. The object and data of research comprises several averages among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CSAT grades(linguistics, mathematics, English) and the first year s academic achievements of 6,679 freshmen enrolled during 2005-2009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outcomes resulting from this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he average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of students accepted through nonscheduled admission, who got relatively superior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but inferior CSAT grades to students accepted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dure, is lower than that of students admitted during the regular application period. Secondly, there are correlations not only between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between CSAT grade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The correlation of the form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Thirdly,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both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and CSAT grades o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shows also that the former is more influential.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makes some suggestions; To take advantage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each university should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customized for students who got relatively superior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but inferior CSAT grades. It should implement portfolio approach suitable for individual high schools and students. Also, the development of diverse factors and materials for screening is required.

      • KCI등재

        산업 교육에 있어서 교수 매체 활용을 위한 시설·설비에 관한 연구

        이경희(Lee, Gyeoung-Hee) 한국교육시설학회 1996 敎育施設 Vol.3 No.1

        In industrial education which would meet both ends to offer adult-learner (employee) the opportunity to develop himself and to accomplish business aims, it is very important to use instructional media and to prepare the prop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s. Therefore, this paper would investigate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optimal training method of industrial education as an adult-training. Secondly, the meaning of instructional media. Thirdly the contents of prop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s to apply instructional media.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investig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instructional media and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industrial education should be utilized integratedly and systematically as component factors of total educational program. And then, the basic directions and ways to establish the most desirabl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