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김해 여성과 이학규의 시 세계

        이강옥(Lee Kang 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2

        이학규는 본처 나주 정씨와 후처 진양 강씨, 금기 옥섬섬을 매개자로 삼아 김해 여성의 삶을 시 세계 속에 적극 담았다. 김해 여성들은 다채로운 풍속 구성의 주체가 되면서도 수탈의 희생자가 되었다. 두 형상은 부자연스럽게 연결되었는데 거기서 이학규의 시적 타자 정약용을 발견할 수 있다. 김해 여인들은 힘든 노동을 감당했으면서도 수탈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었다. 김해 여인들은 한탄하고 울부짖는 소극적 존재였지만 수탈을 직접 문제 삼으면서 수탈자에게 저항하기도 하였다. 이학규의 시는 '풍인지지'의 전통을 계승하여 최고수준의 사실주의를 성취하였다. 그는 정약용의 인식적 동선을 따라서 민중의 현실을 목격하고 민중 생활의 폐단을 직시하여 고발했지만, 더 나아가 민중과 여인의 현실 속으로 들어갔다. 그래서 절실한 동정과 연민을 이루었다. 이학규의 시에서는 청각적 상상력이 다른 요소들을 압도하였다. 그리고 이런 특징이 자연스럽게 여성 취향으로 연결되었다. 공간 경험이 제한되었던 여성들은 청각적 상상력을 확장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학규도 이런 김해 여성들과 비슷한 처지에서 살아가면서 소리에 더 민감해졌고 소리를 문학적으로 승화시켰다. 이학규의 많은 시들이 밤을 시간적 배경으로 한 것은 시각적 영역을 차단하고 청각적 상상력을 발현시키기 위한 시적 포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자연의 소리를 향한 강한 지향성은 여인들이 일상에서 내는 소리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여인들이 일상에서 내는 소리에 대한 강렬한 관심은 여인이 부르는 노래 소리에 대한 관심으로 귀결되었다. 이학규는 어두운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여인의 노래를 듣고서 거기에 자기의 심정을 가탁하였다. 나아가 노래를 좀 더 적극적으로 듣는 단계에 이르렀다. 여인의 노래를 둘러싼 상황을 상상하고 그 노래의 가사를 그대로 옮겼다. 그래서 시적 대상이나 시적 화자를 여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지배적인 정조는 일상의 힘겨움과 슬픔, 그리고 한이다. 시적 자아가 시적 대상 인물들이 가진 슬픔이나 한에 대하여 공감하고 또 일체감을 형성할 때 명실상부한 '우수시(憂愁詩)'가 된다. 이학규는 마음의 슬픔이야말로 우수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 생각했다. 시인이 진정한 우수시를 지어 남을 울릴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시인 자신의 마음이 슬퍼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이학규가 여성의 처지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또 여성 화자를 등장시키며 마침내 여성들의 노래를 한시로 옮기기에 이른 것도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여인들의 정조를 번역하지 않고 여인 자신의 목소리를 그대로 전하려 한 것이다. 여인의 슬픔에 다가간 시인은 그 슬픔이 깃든 그들의 노래를 듣고 그대로 옮겨서 진정한 '우수시(憂愁詩)'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노래는 자세한 사연을 진술하지 않고 서러운 감정만을 일방적으로 토해내었다. 시적 자아와 대상 인물인 여인 사이에 정서적 연대가 이루어져 일체가 되었다. 둘 사이에 타자가 개입할 수 없을 정도로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 인물 사이의 간극은 좁아졌다. 이학규는 이방인의 눈으로 김해 여성의 일상을 관찰하며 시비를 따지기보다는 귀를 열어놓고 소리로 들려오는 김해 여인들의 서러운 넋두리와 노래를 들었다. 이학규의 김해 시들은 청각에 의한 연대와 공감이 그 어떤 지각 작용에 의한 것보다 근원적이고 강력한 것이라는 진실을 보여준다. In this article, I analysed Lee, Hakgu's Kimhae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In his poems, Lee, Hakgu represented the lives of Kimhae women. Kimhae women were portrayed as active participants of various kinds of folk culture. They also became the victims of labor exploitation by the oppressing rulers of the region. Facing these exploitations, Kimhae women only lamented and cried passively. But in some cases, for example at <Seoksinmakjibuhaeng (析薪莫持斧行)>, they attempted to resist against the exploiter. His poems achieved the highest level of realism by accepting the tradition of 'Punginzizi(風人之旨)' Following the worldview of Jeong, Yakyong, Lee, Hakgu paid greate attention to the harsh reality of common people, which were actively incorporated in his poems. In addition to eyewitness account of common people and women of Kimhae, he identified himself with people and women of Kimhae. The distance between poetic subject and object disappeared and the sympathy and pity between them were established. The auditory imagination wa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n his poems. And this tendency betrayed feminine inclination of his poems. His status in Kimhae was very similar to that of women, in that he had to live in the restricted region and was not allowed to go out of Kimhae. As the confinement of space in the life of most women led them to the expansion of their auditory imagination, Lee's confinement to Kimhae area made him extremely sensitive to sound. His particular interest in natural sound made him acutely respond to the sound of women's everyday lives and then to the songs of women. Listening to women's songs from unseen dark places, he wrote his poems to express his feelings triggered by those songs. He then advanced to make efforts to listen to women's songs more actively. He imagined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particular songs and created lyrics best suited to the situation. Therefore women always became both object and subject of his poems. In these poems, the dominant mood was hardship of everyday life, grief, and sorrow. When the poetic subject sympathizes with the sorrow of poetic object, the poet can write the sincere 'Usoosi(憂愁詩)' Lee, Hakgu insisted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Usoosi' was the sorrow of mind. He also stressed that the poet should have sorrow in his mind first in order to make the reader weep. So the poet has to not only sympathize with the poetic object, but also identify with poetic object. Instead of translating the sensibility of women, Lee, Hakgu's poems tried to incorporate the voice of women directly. Delivering the sad songs of Kimhae women, he made excellent ''Usoosi(憂愁詩)' Lee, Hakgu did not observe everyday lives of Kimhae women with a stranger's eyes, but heard the songs of sorrowful women with sympathizer's open ears. Lee, Hakgu's Kimhae poems attest that the bond and sympathy created by auditory imagination is more fundamental and powerful than those created by any other sensory imaginations.

      • KCI등재

        『동야휘집』의 중국 필기소설 전유와 그 의미

        이강옥(Lee Kang-Ok)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8 No.-

          I would argue that Dongyawhijip appropriated chinese Pilgi-novel, Iwajeon and Haetak. This paper analysed the Dongyawhijip"s appropriation strategy.<BR>  By appropriating Iwajeon, Dongyawhijip shows us the special experience in the geisha house of Peking, which extended the realistic space of Yadam. Lee Wonmeong, the editor of Dongyawhijip, appropriated Haetak by using much more diverse methods. It became possible in the condition that Lee Wonmeong thought the recording of Yadam as a kind of Sadaebu"s writing.<BR>  Two distinctive methods were employed by Lee Wonmeong in his appropriation of Chinese Pilgi-novels. Firstly, Lee inserted the whole or part of Chinese Pilgi-novels into the parts of Chosun Yadam in order to make its theme and characters more impressive. Secondly, Lee Wonmeong appropriated the forms of Chinese Pilgi-novels. By parodying the forms of Chinese Pilgi-novels, Lee Wonmeong widened the appropriation scope of Dongyawhijip.<BR>  Metaphors were hard to find in Chosun Yadam, which presented serious problems to the writers of realistic Yadam. Consequently Lee Wonmeong appropriated Chinese Pilgi-novels to solve this problem.<BR>  Lee Wonmeong attempted to bring serious ideas to the soft and enjoyable Yadam. Yadam was narrated by a realistic rhetoric, because Yadam was rooted in the real experiences of people. However, as public recitation of Yadam grew more and more popular, its realistic rhetoric sounded dull to the people. So Lee Wonmeong tried to find a way to renew Yadam, which made him tum to Chinese Pilgi-novels. In the earlier time, Yadam tended to construct the moralistic themes based on the realistic or historic experiences in rather serious ways. With Lee Wonmeong"s appropriation of Iwajeon and Haetak into Dongyawhijip, satire and allegory became the most important rhetoric of Yadam, which, I would argue, i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Lee"s appropriation of Chinese Philgi-novel.

      • KCI등재

        야담집에서의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와 그 의미

        이강옥(Lee, Kang-Ok)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본고는 야담과 야담집의 전개라는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야담과 야담집이 이경류 이야기들을 선별하고 조합하는 양상을 정리한 뒤 그런 양상이 어떤 야담사적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유몽인의 『어우야담』은 우애와 효가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이재의 〈종사이공묘갈〉은 이경류의 행적을 ‘충효’로 갈무리하고 표창하였다. 노명흠의 『동패락송』은 이경류의 혼과 부인과의 사랑 관계를 집중적으로 보여주었다. 부부애가 중심에 있고 자애와 효도가 그를 따라가는 형국이다. 이규상의 『병세재 언록』은 환생을 보여주었으며 그런 점에서 서사적 호기심을 극대화하면서 이념적 검열을 최소화시켰다. 이희평의 『계서잡록』은 이희평이 생존하던 시기까지 한산이씨 가문 이야기판에서 전승된 이경류 관련 이야기들을 선택적으로 집대성한 것으로서 가족질서와 신분질서를 재구성하고 효행을 부각시켰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19세기 야담집에서 이경류 이야기가 어떻게 나타나며 그런 특징이 어떤 의미를 지향하는지를 살폈다. 먼저 19세기 야사집의 선택에 대해 살폈다. 이들은 1784년 경 편찬된 『조야집요』 소재 이경류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였는데, 문헌들에서 산견되는 것들을 모으고 뒷부분은 『어우야담』의 것을 옮겼다. 환생을 간략히 언급한 것은 그것이 중국 사신과 관련되었기 때문이었고 부부애를 무시한 것 역시 야담 편찬자들이 가진 역사서술자로서의 자의식이 작동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19세기 야담집은 19세기 야사집의 선택과 뚜렷하게 변별된다. 19세기 주요 야담집들은 모두 『계서잡록』 이경류 이야기를 전재하고 있다. 여기에는 새로운 모티프의 추가나 창조적 변개는 없다. 19세기 이후의 주류 야담집들이 『계서잡록』 계통의 이경류 이야기를 주로 수용했다는 점은 조선후기 야담집의 귀추와 관련하여 의미심장한 암시를 준다. 그것은 부부간 사랑을 중시한 『동패락송』이나 이념적 검열을 거부하고 호기심어린 환생을 보여준 『병세재언록』 등의 지호노을 19세기 야담집이 수용하지 않았음을 뜻한다. 나아가 〈이생규장전〉에서 비롯한 전기(傳奇)소설의 지향으로부터 19세기 야담집이 더 분명한 선을 그은 것을 의미한다. 조선 후기 정신사의 굵은 흐름은 ‘이념의 구현’과는 반대쪽으로 나아갔다. 그런데 야담의 경우, 야담집 편찬자 개인의 성향에 따라 이념의 구현이 극단적으로 강조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야담은 달라진 현실에 대한 일종의 대안으로서 이념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더 이상 이념이 관철되지 않는 현실을 목도하던 야담 수용자들이 이념이 더욱 강조되는 야담을 선택하여 읽기를 원했을 수도 있다. 『계서잡록』 소재 이경류 이야기는 후자의 관점에서 19세기 야담집으로 들어와서 굳어졌다. 이는 19세기 후반 야담집이 창조력을 잃고 다만 서로를 모방하거나 전재하는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뜻하면서 다른 한편, 야담집들이 전기소설이나 야사집 등 다른 성격의 장르 및 책들을 타자화하면서 야담집 자체의 고유한 속성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더 단단하게 서로 결속되었음을 의미한다. 19세기 이전까지의 야담은 집안일에 대한 미련과 부인과 아들에 대한 애착 때문에 죽어서도 혼이 되어 되돌아온 이경류를 형상화하였다면, 19세기 야담은 그런 이경류 형상을 바탕으로 하면서 국가와 가문의 질서를 재구축하는 열사로, 효행 실천의 화신으로 이경류를 재형상화하였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various approaches to stories about Lee Kyoogryu in each historical reincarnation and their meanings in the history of Yadam. Yoo Mongin’s Uhwooyadam depicts Lee’s story as a harmonious reunion of friendship and filial piety. Lee Jae’s Jongsayigongmyogal describes and commends stories related to Lee Kyungryu as fidelity and filial piety. Noh Myunghum’s Dongpaeraksong foregrounds the love story between the ghost of Lee Kyungryu and his wife, marginalizing the story of grace and filial piety. Lee Kyusang’s Byeongsaejaeuonrok illustrates Lee Kyungryu’s reincarnation, which both intensifies narrative curiosity and minimizes ideological censorship. Lee Huipyung’s Gyeseojaprok stresses familial and hierarchical order, and filial piety, for it was a selective anthology of anecdotes that had been transmitted from the storytelling space of the Hansan Lee family.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stories of Lee Kyungryu found in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n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Lee’s stories included in the anthologies of informal history were based on those of Joyajipyo published in 1784 and selected a few stories from several other anthologies including Uhwooyadam. A brief description of Lee’s reincarnation is included due to its relationship to the envoys from China, while conjugal affection is ignored due to the editors’ self-consciousness as narrators of history. There exists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nd the 19th century Informal History anthologies in dealing with the stories of Lee Kyungryu. The major Yadam anthologies of the l9th century directly quoted the stories from Gyeseojaprok. No other creative transformation and additional motifs are found. The fact that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dopted Lee Kyungry anecdotes mostly from Gyeseojaprok suggests a significant implication regarding the eventual development of the late Yi Dynasty Yadam.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did not inherit the values of earlier Yadam anthologies that stressed conjugal affection as in Dongpaeraksong, and resisted ideological censorship and embrassed the curious reincarnation as in Byeongsaejaeuonrok. It also clearly demarcated itself from the Eccentric Novel, such as Yisaengkujangjeon. The zeitgeist of the late Yi Dynasty was the opposite of “implementation of ideology”. However, implementation of ideology was stressed in extremity in the Yadam anthologies of this period, depending on the editors’ personalities. Furthermore ideology was strongly emphasized and idealized, for Yadam was deemed as an alternative to the real world where implementing ideology was no longer possible. Lee Kyungryu stories in Gyeseojaprok represents such a view. This might suggest that the late 19th century Yadam went into a stage of creative stasis by merely imitating and adopting the pre-existing stories. On the other hand it suggest that Yadam recognized and established its own unique generic styles and characterizations as an opposite of Eccentric Novel and Informal History. Prior to the 19th century, Yadam focused on familial side of Lee’s story, portraying Lee’s eventual reincarnation as a direct result of Lee’s affection for his son and wife. Based on the earlier anthologies of Yadam, the 19th century Yadam recreated Lee Kyungryu as a paragon of filial piety, and a patriotic and familial martyr who successfully reconstructed the order of the state and family.

      • KCI등재

        오세암 설화와 동자의 수행득도

        이강옥(Lee, Kang-ok) 한국어문학회 2015 語文學 Vol.0 No.128

        This paper proposes that a wide variety of modifications in each version of Oseam tales results from people’s own experience of enlightenment and Buddha and Bodhisattva’s miracles, and thus seeks people’s wisdom in them. This paper first explores the images and implications of by in Buddhist Scriptures and Buddhist discourse and their materialization in Oseam tales. Based on each version of Oseam tales, the basic form of Oseam tales is reconstituted. From characteristics of each version, search people’s thoughts and inclinations. The most prominent image of boy in Oseam tales is that of sympathy. By showing Oseam boy fulfilling his maternal deprivation, Oseam tales respond people’s worldly interests. Some versions of Oseam tales represent Bodhisattva’s eccentric miracles and people’s belief in his religious teachings. Other versions illustrate the practice of Buddhist prayer chanting and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Particularly each tale that foregrounds Buddhist prayer chanting and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stresses the fact that belief is the corner stone of the ascetic practice. Similarities are abound between Oseam tales and the tales that depict “people who succeeded in going to heaven by faithfully chanting wrong prayers.” Protagonists of these tales are mainly grandmothers, dim-witted people, and boy. They full-heartedly accept and practice prayer chanting without any suspicion. They all are free from the discrimination by not discerning or not being able to. Particularly the five-year-old boy at the Oseam is so innocent as to listen to and believe no matter what other people say. Even when it is evident people are telling him lies, he would not judge them for not telling him truth. Oseam tales teach the great wisdom on the enlightenment practice by having the boy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pursue enlightenment practice and achieve enlightenment prior to everyone else. However, Oseam tales does not solely focus on the practice and acquirement of enlightenment. They also reflect ordinary people’s worldly expectations. The process of the five-year-old boy’s fulfillment of maternal depravation at his most desperate moment proves that Oseam tales satisfy ordinary people’s desire to pursue happiness in their every lives. These two different narrative inclinations either coexist in a varying degree in individual versions of Oseam tales. People are equally and sometimes lopsidedly interested in both fulfillment of maternal depravation and religious enlightenment through prayer chanting. Coexistence, sometimes lopsidedly, of these two inclinations help expand the empathy of Oseam tales and disseminate the wisdom of Buddhist enligthenment practice.

      • KCI등재

        송와잡설(松窩雜說)의 서사적 재현과 이기(李墍)의 의식시계

        이강옥(Lee, Kang-ok)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20

        This paper attempts to interpret the view of the editor Lee Ki by analysing Songwajapseol. Lee Ki was a member of Hansan Lee family. Lee Saek, Lee Gaerin, Lee Gaejon, and Lee Gae were the ancestors of Hansan Lee family, but they showed opposite attitudes in King Sejo’s usurpation of the crown. Lee Ki was agonized by those conflicting attitudes of the ancestors of Hansan Lee family. His internal conflict and search were reflected in Songwajapseol. Lee Ki experienced power struggle between Parties a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made him fall into deep despair. The feeling of hopelessness became the basis of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of Songwajapseol. Lee Ki groped for four ways to overcome the despairing reality. First, heaccused and lampooned the problematic reality. Second, he searched for the ideal type of person. Third, he paid respect to the loyal subjects of the late Koryeo dynasty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Fourth, he confirmed the way the destiny was realized and colored the world mysteriously. Lee Ki captured the Chosun reality of the time by incorporating the narrative principle of contrast. But he looked for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exclusion and collapse. Lee ki emphasized and represented the paradoxical coexistence of Lee Saek and King Taejo, and Won Chonsuk and King Taejong. While Lee Ki criticized King Sejo’s usurpation of the crown and mourned the tragic end of King Danjon, he also excused Sin Sukjoo who turned against his friends and joined King Sejo’s rebellion. Lee Ki’s conflicting attitude was rooted in his hope to transcend the extreme dualism. Lee Ki’s desire to transcend dualism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Whanghi anecdotes. By stressing the fact that Whanghi was educated by the subjects of the fallen Koryeo dynasty, he emphasized Koryeo as an ideal past. This Ideal past became an alternative time which could overcome dualism and glorious past shedding light of hope for present despair.

      • KCI등재

        우울증 상담에서의 자기서사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4 No.-

        우울증 상담에서 자기서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먼저 우울증 상담에서 자기서사를 활용할 때의 유의사항을 정리했다. 자기서사는 말하게 하기보다 쓰게 하는 것이 좋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기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추게 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편하게 자기서사를 쓰고 그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야 한다. 내담자가 반론할 기회를 보장해주면서 상담자도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해야 할 것이다.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대해 상담자가 특별히 착목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자기서사가 지리멸렬한 것은 내담자의 서툰 글쓰기 혹은 기억망실 현상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나열의 구조는 내담자가 자기 삶의 특별한 부분을 알지 못한 데서 비롯하기도 한다. 또 자기 상처부분을 의도적으로 숨기려거나 아니면 상처부분을 자각하지 못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반복은 상황이나 사고 등에서 비슷한 대목들이 거듭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내담자의 실제 상황이 그러한 데서 비롯하기에 `부정적 상황의 반복`이라 할 수 있다. 우울증 환자들이 `자동화된 부정적 사고`를 하기 때문에 자기서사에 특정 서술 구조가 되풀이되기도 한다. 삶의 구조가 아니라 삶에 대한 관점과 해석이 반복되는 것이다. 대조는 내담자의 자기 부정으로 귀결된다. 우울증 자기서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철되는 것은 `시간적 대조`이다. 초점화 부분은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내담자가 자기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이고 또 그것을 드러내고자 한 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상담자가 그 중심이나 정점의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의 과정은 자기서사의 수정 보완 과정이기도 하다. 상담 중 회상이나 자기 최면, 자기 진술의 절차를 통하여 내담자는 먼저 쓴 자기서사의 내용과 시각을 조정하면서 새로운 자기서사를 써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초 자기서사가 문제적인 것이라면, 그 문제성을 밝히고 극복함으로써 마침내 `대안적 자기서사`를 창출할 수 있다. 대안적 자기서사는 자기의 위대성을 발견하고 인정하는 쪽으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미래의 밝은 자기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되며, 이미 그 속에 미래가 배태되어있다고 하겠다. 이상과 같은 자기서사의 다시쓰기 과정은 우울증 극복의 과정이기도 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ethods of applying self-narrative to depression therapy and foreground some problems in utilizing self-narrative. Writing is a better method for self-narrative than narrating. The counselor should provide some methods to help patients form a positive perspective on their own experiences. Counselors should also encourage patients to write self-narrative and talk about it in relaxing environment. While guaranteeing patients a right to object, counselors should actively express their own opinions. The paper suggests several points for counselors to pay special attention to. Incoherence of self-narrative is closely related to either patients` lack of ability to write or their amnesia. Parallel structure of self-narrative is due to patients unawareness of their own lives` special events. It is also related to patients` intentional cover-up of the painful experiences or their inability to take notes of them. Repetition of similar circumstances and incidents in a self-narrative reflects patients` own lives, resulting in `a repetition of negative circumstances`. Since the patients of depression tend to have `automated negative thinking`, certain types of narrative structure repeat themselves. What`s exposed is not the structure of their lives but the repetition of their perspectives of and interpretations on their lives. Contradictions in self-narrative are led to their self-denial.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spect in depression patient`s self-narrative is “time contradiction.” Foregrounded are moments patients consider significan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ose moments. The process of therapy is complementing and amending of the problematic self-narrative. It is desirable for patients to write a new self-narrative, while negotiating with their previous perspectives and contents through the process of retrospect, self-hypnosis, and self-narration. Exposing and overcoming of problems in self-narrative would help create `an alternative self-narrative`. This alternative self-narrative should lead patients to discovery and recognition of their greatness. It will be the source of creating a brighter self for future. Such process of rewriting self-narrative is also that of overcoming depression.

      • KCI등재

        서거정『필원잡기』와 구양수『귀전록』의 비교 연구

        이강옥(Lee, Kang-o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8 No.-

        서거정은 사관이 되기를 거부하고 남의 악을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구양수의 기본적인 서술방침을 수용했다. 『귀전록』의 일부 모티프들이나 일화들은『필원잡기』에 그대로 들어오거나 전유되었다. 『필원잡기』는 대조라는 ?귀전록?의 독특한 서술방법을 활용하되, 주로 긍정적인 쪽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였다. 『필원잡기』에서 가장 두드러진 서술방식은 말대꾸에 의하여 웃음과 설득력, 감동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런 서술방식이 『귀전록』에서도 구사되지만 그것이 주도적 자리에 있지는 않는 반면 『필원잡기』에서는 두드러졌다. 그런 웃음은 기존 질서나 기존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하거나 더 돈독하게 한다. 이것은 『필원잡기』의 탈 이념적 낙관적 지향을 가능하게 주도적 서술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필원잡기』는 『귀전록』을 응용하면서도 새로운 영역을 혁신적으로 만들어내었다. 『필원잡기』는 한자의 동음이의어의 활용하는 범례를 제시하였다. 『필원잡기』의 한자 동음이의어 활용은 구어의 동음이의어를 활용할 기반을 마련해주어 갖가지 재미난 텍스트들이 생산되게 해주었다. 『귀전록』과『필원잡기』은 편찬자가 자기 경험을 서사적 단편에 활용하는 길을 보여주었다. 구양수가 매우 소극적으로 자기를 개입시키며 사건이나 상황에 개입할 때도 다소 경직된 자세를 보인 반면, 서거정은 개인적 경험과 견문이 해당 단편 속에 긴밀하게 깃들게 하였다. 서거정은 자기 경험을 활용함으로써 서사와 교술이 융합된 필기적 글쓰기의 역동적 영역을 개척하였다. 『필원잡기』가 나라의 제도와 규범과 맞물려 상층 사대부들의 특별한 생각과 행동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귀전록』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필원잡기』는 그런 틈에다 하층관원과 민중의 일상을 위와 같이 집어넣었다. 『필원잡기』는『귀전록』의 범례와 자료를 적극 참조하고 활용하였지만『귀전록』의 수준과 범위를 훨씬 넘어섰다. 『필원잡기』는 과거 역사와 당대 현실, 상층 사대부와 민중, 타자의 경험과 자기의 경험을 두루 포괄하는 역동적 글쓰기의 범례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ogeojeong(徐居正)’s Pilwonjapgi(筆苑雜記), Pilgi-anthology of Early Chosun, and Kuyangsu(歐陽脩)’s Gyijeonrok(歸田錄), Pilgi-anthology of Sung dynasty. Kuyangsu refused to be an objective historian. Seogeojeong accepted that attitude of Kuyangsu who refused to criticize other people’s evil doings while focusing on their positive sides. Pilwonjapgi adapted the motifs and anecdotes of Gyijeonrok. Pilwonjapgi accepted the narrative method of contrast from Gyijeonrok and tended to make relatively positive conclusions. The most prominent narrative strategy of Pilwonjapgi is word play which induces laughters, resulting in moving persuasion. In Gyijeonrok word play is not as prominent as in Pilwonjapgi. Instead, Pilwonjapgi created a innovative narrative strategy, based on the models of paronomasia in Chino Korean. The paronomasia of Pilwonjapgi became the source where many interesting texts could be produced. Pilwonjapgi and Gyijeonrok paved the way for the later editors to apply their personal experience to the narrative works. While Kuyangsu applied his personal experience very passively, Seogeojeong actively incorporated his personal experience to penetrate into the narrative works. By applying his personal experience, Seogeojeong developed a dynamic writing style where didactic and narrative modes blended. Pilwonjapgi and Gyijeonrok resemble each other in that they both represent the thought and action of the upper class. But unlike Gyijeonrok, Pilwonjapgi includes the shapes of everyday life of the lower class in the narrative works. Pilwonjapgi could encompass wider world views by embracing the life and thought of both the upper and lower class. In conclusion, though Pilwonjapgi actively adapted examples and materials of Gyijeonrok, Pilwonjapgi exceeded Gyijeonrok in the sense that it produced a more dynamic writing style that embraces past and present, upper class and lower class, and oneself and the other.

      • KCI등재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강옥(Kang-Ok LEE),신정아(Jeoung-A SHIN),한복환(Bock-Hwan HAN)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0 기업과 혁신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광주ㆍ전남지역에 있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23일부터 11월 20일에 걸쳐 설문지를 작성 배부하여 셀프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재검증하고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첫째,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요인은 자기설정 목표, 자기존중, 자기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의 유지적 몰입에 미치는 요인은 자기설정 목표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하위변수들은 모두 비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이타주의에 미치는 영향은 리허설과 자기설정목표로 나타났으며, 넷째, 셀프리더십 중 양심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셀프리더십 중 정정당당한 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비판과 자기설정목표, 자기보상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셀프리더십이 호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비판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곱째, 셀프리더십 중 참여적 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설정목표, 자기존중, 자기보상이었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셀프리더십의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의 경우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aradoxical role of the external leaders of self-managing work teams. Observation, interviews, group elicitations, and a literature search were used to identify salient leader behaviors in a medium-sized manufacturing plant that had been operating for several years under a system of self-managing work teams. Correlations with overall leadership-effectiveness ratings generally indicated that the external leaders' most important behaviors are those that facilitate the team's self-management through self-observation, self-evaluation, and self-reinforce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23rd and November 20th. The self-leadership involves employee self-influence through cognitive strategies that focus on individual self-dialogue, mental imagery, beliefs and assumptions, and thought patterns. Results suggested that individuals who received the thought self-leadership training experienced increased mental performance, positive affect (enthusiasm),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d negative affect (nervousness) relative to those not receiving the training. Additionally, the trainees reported a strong and positive reaction to the training. Finally, those who received the training experienced enhanced perceptions of self-efficacy and more optimistic perceptions of the organization's bankruptcy condition than those not receiving the training.

      • KCI등재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에서의 자기 최면 · 생각 바꾸기 · 수행법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1 No.-

        우울증은 과거의 상처와 현재의 열악한 처지, 그리고 부정적 생각 등에 의해 초래되었다. 본고는 먼저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자기 최면을 활용하는 법을 구안하였다. 자기 최면은 내담자가 자기 과거로 되돌아가서 상처를 그대로 관찰하여 아픔을 경감시키고 치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최면이란 말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치부를 드러낸다는 우려를 하게 할 수 있다면, 완곡한 다른 표현으로 그런 방법을 설명해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의 느낌과 기분을 바로 그대로 직시한 뒤 그런 기분과 느낌에 휩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광반조법을 구안하였다. 회광반조법은 지금이 자리에서의 느낌과 기분을 직시한 뒤 곧바로 그 느낌과 기분이 온 곳을 비추어보고 그런 느낌과 기분을 일으킨 주체가 누구인가를 되돌아보는 것이다. 결국 그 출발점에는 아무 것도 없고 그 주체도 없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그 결과 현재의 느낌과 기분은 그 근거가 없는 것이고 실체도 없는 것임을 인정하게 된다. 생각 바꾸기는 부정적 생각을 긍정적인 쪽으로 전환하게 한다. 긍정적인 생각은 부정적인 느낌이나 기분을 극복하게 할 뿐 아니라 긍정적 현실을 가져다 준다. 생각은 강력한 형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각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준다 하더라도 그런 생각에 집착한다면 또다른 망상을 불러일으켜 내담자를 흔들리게 한다. 그래서 어떤 결과를 가져다주리라고 기대되는 생각까지도 넘어서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어떤 결과를 기대하며 떠올리는 생각에 내담자가 휘둘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두 참선법을 응용한 수행법을 제시했다. 자기 최면법, 회광반조법, 화두 수행법은 독립적 회기를 구성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기존 DTKB 프로그램의 제2회기와 제3회기를 제2회기 자기 최면법, 제3회기 회광반조법, 제4회기 화두 수행법 등으로 확장한다. 그 결과 총 9회기였던 DTKB 프로그램을 10회기로 조정한다. This paper designed a self-hypnosis to cure the scars of patients` mind. The self-hypnosis enables the patients to come back to the past and investigate their scars and cure them. This paper applied Whyekwangbanjo(回光返照) to gaze at the present mood and feelings. This enables the patients not to be swept away by their present mood and feelings. Whyekwangbanjo(回光返照) asks patients to investigate where the mood and feelings came from and who are the subjects of their mood and feelings. At last the patients realize and accept the fact that the present mood and feelings don`t have any grounds and subjects. Thinking-changing makes patients change their thinking attitudes from negative to positive. The positive thinking enables the patients not only to overcome the negative mood and feelings but also to establish positive reality. That means that thinking has great formative power. Although positive thinking brings about positive results, patients should not cling to the results of positive thinking. If the patients cling to the results of positive thinking, delusions spring up. Then the patients become upset again. This paper proposed a new Zen meditation, applying Hwadu practice. That will help patients overcome the discriminating thought and rediscover their own true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