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 탐색

        윤재희,유향선,이효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2

        This paper aims to suggest possible directions for educating young children about human rights. In order to do this, the author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and categorized ke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key contents are respect for self, respect for others, and respect for other living things. Based on the key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 curriculum the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ke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reflected in the five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However, particular domains, for example the domain of social-relationships, were included in the key contents of huma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a greater degree than other domains. Also, respect for living things wa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4- and 5-year-old childre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urrent field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prepared by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In order to properly initiate human righ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pre- and in-service teachers needs to take a course to raise their awareness about human rights. Also, educational materials and instrument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needs to be evaluated in order to evaluate which materials contribute best to tackling prejudices related to minorities in a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유아 인권교육 관련 선행문헌을 고찰한 다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내용 측면에서 분석하여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아 인권교육에 관한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유아 인권교육내용의 분석준거로 ‘나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존중’,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위한 인권교육내용은 인권에 대한 태도와 가치를 기반으로 하며 그 핵심내용을 '자신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존중', 그리고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들 수 있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나와 타인 그리고 생명체에 대한 존중’이 고르게 반영되어 있다. 유아 인권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 교사의 인권감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유아 인권교육에 적절한 교재 및 교구의 평가․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유아의 젠더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윤재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5

        본 연구는 영유아의 젠더와 관련한 문헌에서 발견되는 세 가지 이론적 관점(사회학습 관점, 인지발달 관점,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관점)이 젠더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 논의하고 개별 이론적 관점을 토대로 실시된 문헌을 검토했다. 특히 본 연구는 사회학습 관점과 인지발달 관점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여성주의 후기구조주의 관점을 검토하여 유아 젠더에 대한 유아교육 분야의 인식의 폭을 확장하고자 했다. 사회학습 관점은 젠더가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회화된다고 설명하고 인지발달 관점은 유아가 자신의 생물학적 성과 부합되는 행위와 행동을 하는데 인지가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관점은 젠더를 개인이 참여하는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변형되는 사회적 구성으로 정의했다. 이 관점에서 연구자들은 유아들이 전형적인 젠더를 재생산하는 과정과 이유에 집중하는 사회학습 관점과 인지발달 관점과 달리 젠더의 유동성, 다양성과 젠더화된 권력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젠더에 관한 이론적 관점의 가능성과 제한점을 논의하여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연구자와 교사들에게 자신의 이론적 관점을 재해석하며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유아 젠더를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보다 다양한 이론적 관점으로 유아 젠더를 이해하는 연구자와 교사는 유아가 자신의 생물학적 성과 관계없이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공간으로 유아교육 기관을 재창조하는 노력의 토대가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s that repeatedly appear in inquiries on young children’s gender. They are the social learning perspective, the cognitive perspective and feminist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 Each theoretical perspective provides a different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ng gender. From the social learning perspective, children gradually come to acquire typical or valued behaviors or attributes of their sexes in order to pursue their future roles as adults through repeated interactive encounters with various socialization agents. Cognitive perspectives on gender, cognitive-developmental theory and gender schema theory argue that the central role of cognition is as an organizer and motivator of children’s sex-consistent behaviors and thinking. The feminist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 on gender insists that gender is a social construction in a context. Also, this paper reviews empirical studies shaped by each theoretical perspective. In doing this, I attempt to illustrat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ach theoretical perspective on gender. By exploring the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this paper described that the body of knowledge of the gender of young children has been expanded and deepened.

      • KCI등재

        조직문화와 조직성과간의 관계에서 PMS 이용과 조직학습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윤재희,이상완,김순기 한국회계정책학회 2012 회계와 정책연구 Vol.17 No.3

        Public institutions have recently been striving for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PMS")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Many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utilizing the PMS mostly for diagnostic use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evaluation, but not so much for interactive use for achievement of their visions and goals. In addition, the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of public institutions may restrain the use of the PMS, and such use of the PMS has not been able to connect with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at preceded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is respect, the organizational culture was used as the antecedent variable of the PMS, an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erformance were used as its consequent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been studied in this research.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first, the diagnostic purpose of the PMS has been the basic use in both control culture and flexible culture, and the PMS has been used more frequently for diagnostic as well as interactive purposes in flexible culture than in control culture. Second, the interactive use of the PMS has positively affecte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but the diagnostic use of the PMS has not. Third, organizational learning has positively affected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novation, i.e.,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Furthermore, the interactive use of the PMS has positively affect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its diagnostic use has positively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only. Fourth,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s been found to be higher in flexible culture than in control culture.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indicate that organizations with flexible culture may achieve higher financi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control culture, and that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on may be improved through the interactive use of the PMS an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research has empirically prov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the use of the PMS in public institutions, that flexible culture contributes to the balanced use of the PMS by increasing its interactive use as well as diagnostic use, and that the P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organizational learning for successful performance. 최근 공공기관들은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성과측정시스템(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이하 PMS)의 구축과 활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많은 공공기관들은 PMS를 조직통제와 성과평가와 같은 진단적 이용에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비전과 목표달성을 위한 상호작용적 이용은 부족하다. 또한 공공기관의 경직된 조직문화는 PMS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고, PMS의 이용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행되는 조직학습과의 연계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직문화를 PMS의 선행변수로 고려하고 조직학습과 조직성과를 PMS의 후행변수로 고려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MS의 진단적 이용은 조직문화가 통제지향 조직이든 유연성지향 조직이든 모두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조직문화가 통제지향적인 조직보다 유연성지향적인 조직이 PMS를 진단적으로 그리고 상호작용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조직학습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MS의 진단적 이용은 조직학습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조직학습은 비재무성과인 고객만족/혁신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에 각각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MS의 진단적 이용은 오직 직무만족도에만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제지향 문화를 가진 조직보다 유연성지향 문화를 가진 조직이 조직성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유연성지향 문화를 가진 조직이 통제지향 문화를 가진 조직보다 재무성과,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도에서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과 조직학습을 통해서 고객만족/혁신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서 조직문화는 PMS의 이용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며, 유연성지향 조직문화는 PMS의 진단적 이용과 더불어 상호작용적 이용을 증가시켜 PMS의 균형적 이용을 도모하며, PMS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조직학습의 역할이 중요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여자유아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기 이성애에 대한 연구

        윤재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heterosexuality is constructed in kindergarten classrooms. Such construction had long been regarded as nonexistent in early childhood. This study moves beyond the more narrow conceptualization of heterosexuality, which is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gender-specific acts or behaviors, and instead, examines heterosexuality as a social construction. It specifically describes how the five-year-old girls in the study took part in a variety of heterosexual practices and how they resolved conflicts which occurred in those heterosexual practice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research journ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at the girls actively constructed, normalized and legitimized heterosexuality in the classroom. First, the girls voluntarily circulated many cultural texts that included heterosexual elements. Second, among the girls, heterosexual marriage was considered the norm for being female. Next, some girls in the research setting publicized their taking of the subject position as girlfriend in relations. Finally, taking a position within heteronormativity, the girls projected heteronormativity onto others. That is, the girls tended to perceive mixed-gender dyads as romantic. However, the girls’ construction of heterosexuality was not fixed; rather it was repeatedly negotiated and reconstructed depending on the subject positions in which the girls were positio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discussions by theoriz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heterosexuality in childhood. 본 논문은 유치원 교실에서 구성되는 이성애를 탐색하고자 만 5세 여자유아들이 참여하는 이성애적 실제와 이성애적 존재로서 여자유아들이 직면하는 갈등에 기술했다. 자료는 서울의 유치원의 한 학급에서 참여관찰, 면접과 연구자기록 방식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는 만 5세 여자유아들이 자신들에게 허용된 범위 내에서 적극적으로 이성애를 구성하여 무성애적 공간으로 여겨지는 유치원 교실에서 이성애를 정상화하고 합법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여자유아들은 이성애적 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화적 텍스트를 교실에서 읽고 즐겼다. 이들은 이성애적 결혼을 정상화하며 자신의 미래와 연관시켰다. 또 여자유아들은 이성애적 관계의 주체 혹은 객체로 참여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자신의 주변에서 발견되는 이성 또래 사이의 관계를 이성애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여자유아들이 구성한 이성애는 이들이 어떤 주체적 지위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맥락에서 협상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을 반복했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이 다루지 않았던 유아의 실제를 개념화하여 유아교육 분야의 학문적 논의의 폭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H.-R. 히치코크와 P. 존슨의 저서 『국제양식: 1922년 이후의 건축』의 도해와 기술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국제양식의 시각적 특질과 그 조형어휘

        윤재희,이화인 광주대학교 2000 産業技術硏究 Vol.14 No.-

        국제양식은 192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서 전세계에 광범위하게 유포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유형의 건물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그 개념이 모호하기 때문에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히치코크와 존슨의 저서를 자세하게 분석함으로서 그 개념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 뉴욕 근대미술관에서 개최된 국제양식전과 함께 출판된 저서 『국제양식 : 1922년 이후의 건축』의 내용, 즉 기술내용과 도해를 분석하여 국제양식의 시각적 특질과 그 조형어휘를 연구한 것이다. 『국제양식: 1922년 이후의 건축』에 관한 기술내용과 도해를 분석하여 국제양식의 시각적인 특질과 그 조형어휘를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한 결과 저자인 건축사가 히치코크와 존슨이 제시한 국제양식의 3가지 원리는 1) 상자형의 건축 2) 평탄한 표면 3) 수평성 강조 4) 규칙성 5) 무장식성 이라는 5가지의 시각적인 특질을 지닌 건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재규정할 수 있다. 히치코크와 존슨이 정의한 바 있는 국제양식의 3가지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시각적인 특질을 통하여 국제양식의 건축을 재정의하면 이러한 5가지의 시각적 특질을 지니고 있는 건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울러서, 이러한 시각적인 특질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조형어휘로는 구조체의 분리, 필로티, 캔틸레버, 평지붕, 수평창과 코너창, 전면 유리창, 평탄한 벽면, 수평띠, 간결한 프레임 등이 있다. The term "International Style" was first used by Hitchcock and Johnson as the title to the accompanying book of the first international exhibition of modern architecture, held at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in 1932.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Styl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rinciples elaborated in the examples presented by Hitchcock and Johnson. Their principles are "architecture as volume", "regularity rather than axiality", and "avoidance of applied decoration". But because of an abstract and vague notion of these principles, first of all, I made an detailed analysis of the table of contents in 「International Style : Architecture since 1922」, a book written by Hitchcock and Johnson.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national Style marked by several visual characteristics and formal vocabularies. And then I will define the concrete concept of the International Style with the aid of these visual characteristics and formal vocabul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y means of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original texts and illustrations in 「International Style : Architecture since 1922」, written by Hitchcock and Johnson, I can redefine the concept of the International Style on the basis of their three principles as the modern architecture having the five visual characteristics.

      • 한국의 경제교육에 대한 고찰

        윤재희 안양대학교 복지행정연구소 1998 福祉行政硏究 Vol.14 No.-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경우의 경제문제에 직면하게 되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로든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런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수 있는 능력은 타고날 때부터 갖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려면 경제의 기본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만 터득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사회는 올바른 경제교육을 위해서 항상 노력을 해야 한다. 교육은 한 나라의 국민을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느냐 하는 나라의 장래를 결정해 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우선 경제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학교경제교육과 사회경제교육으로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고, 둘째로 현재 IMF 경제위기의 원인 중의 하나는 과소비라는 측면에서, 미래의 주 소비자가 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소비자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 실태를 파악했다. 셋째로 미국과 일본의 대 국민경제교육의 현황을 파악해 봄으로써 우리와의 차이를 알아봄과 아울러 이들의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해 보았다.

      • 도매배송업의 물류관리실태 및 개선방안

        윤재희,이재학 한국물류학회 2002 물류학회지 Vol.12 No.1

        The recent change of distribution environment requires the necessity of wholesale delivery business. The reason is that small and medium size shops want to be supplied various products with little capacity. The efficiency of logistics on small and medium size shops are very important and it may make better condition for the their competition. However most suppliers don't recognize the wholesale delivery business and futhermore wholesale delivery businesses themselves are also very small size with management difficulty.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e present situation of logistics management on wholesale delivery business. Also,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s.

      • KCI등재

        유아기 자녀 부모의 아동관과 아동기 경험이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를 중심으로

        윤재희,김선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학논집 Vol.27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and relationships among the conception of children, childhood experiences, and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of fathers an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he effects of the conception of children and childhood experiences on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420 parents (210 mother-father pairs) of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Daegu, Gyeongbuk Province answ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ather and mother's child-centered conception and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dult-centered conception and childhood experiences. Second, both pare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centered conception but not with the adult-centered conception. Additionally, childhood exper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Third, fathers' child- and adult-centered conceptions and childhood experiences all impacted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In contrast, mothers' child- and adult-centered conceptions affected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whereas childhood experience did not.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아동관, 아동기 경험 및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의 차이와 관계를 알아보고, 아동관과 아동기 경험이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기 및 대구ㆍ경북 지역의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부모 420명(210쌍)이 응답한 설문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아동중심 아동관과 인권친화적 양육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인중심 아동관과아동기 경험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아동관 중 아동중심 아동관은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나, 성인중심 아동관과는 유의한상관이 나타나지 않았고, 아동기 경험은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아동중심 및 성인중심 아동관과 아동기 경험은 모두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아동중심 및 성인중심 아동관은인권친화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아동기 경험은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의 외환위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윤재희 안양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8 社會科學硏究 Vol.6 No.-

        ABSTRACT Korea's economy has experienced so called 'IMF period' for about one year. For this period many people have tried to find the exact causes why Korea's economy was faced with IMF period from the end of 1997. However, there were still no clear and arranged answers for the question. Therefore this study first shows the exact causes for the foreign exchange risk. Because exact analysis of the cause might be helpful for the solutions or counterpanes.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exact cause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counterpanes for the IMF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