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의 학문적 정체성 제고와 타교과와의 내용 중복성 지양 방안

        윤영돈,정창우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88 No.1

        With a view to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ethical approach and delve into integrative model between disciplines for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such an inquiry, this article intends to present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 and communication &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which serve the foundations of moral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raise the academic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run as follows. Firstly, ethical approach which is stressed since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setting goals, organizing the contents, inquiry method, and organic integration between disciplines of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Secondly,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as an integration model between disciplines for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content overlapping problems, this article presents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 and communication &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according to subject area. The former corresponds to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e latter interdisciplinary approach. Lastly, through analyzing articles of Korean moral education community, this study proposes a proper direction toward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related to subject area such as citizenship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과의 학문적 정체성 제고를 위해 윤리학적 접근의 성격을 명료화하고 도덕과의 배경학문 간 통합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타교과와의 내용 중복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관점의 다각화와 주제영역별 배경학문 간 소통 및 융합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덕과의 학문적 정체성 제고를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덕과에서 윤리학적 접근은 도덕과 교육의 목표설정, 내용구성, 공부방법, 윤리학과 다른 배경학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의 측면에서 해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덕과의 배경학문 간 통합 모델과 관련하여 다학문적 접근과 간학문적 접근의 성격과 의미를 밝혔다. 타교과와의 내용 중복성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관점의 다각화와 관련하여 논의했는데, 이는 일종의 다학문적 접근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내용 중복성 해소에 보다 중요한 방안으로 도덕과의 주제영역별 배경학문 간 소통 및 융합의 문제를 다루었는데, 이는 간학문적 접근과 친화력이 있다. 끝으로 도덕과 교육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환경교육, 통일교육 등의 주제영역별로 도덕과의 배경학문 간 소통 및 융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적 가치의 재정립을 위한 인문치료적 접근

        윤영돈,유병열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4 No.1

        This study started from inquiries of Korean core values which has regulated Korean thinking and conduct. In order to reconstruct Korean core values, we considered two aspects. One is Korean traditional values through diachronic perspective, the other is future-oriented values needed in Korea’s future society. Humanities therapy as methodology of this study, we think, holds effective to scrutinize prototype & transformation of Korean values, and elucidate the point of distortion in Korean values system, futhermore, reconstruct Korean core values in future prospect. This study suggested one mind(一心) as an prototype of Korean core values, and harmony(和), filial piety(孝), loyalty(忠) as examples of reconstructed Korean values. One mind(一心) rooted in Korean deep consciousness can be looked upon as immanent Buddhahood(佛性), benevolence(仁), returning to origin and becoming one(同歸一體) etc, which is a kind of cultural gene to unite Korean people. Harmony(和) enables us to make an propper relationship with others, group, society, and nature as a principle of symbiosis and coexistence. Filial piety(孝) which is the foundation of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beyond thoughts and religions paves the path for learning and communal responsibility. Loyalty(忠) connotes integrity towards oneself, fidelity one’s duty, faithful attitude, rightness & fairness,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and patriotism.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삶과 행동을 이끌고 규정하는 한국인의 가치관과 한국적 가치의 탐구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통시적 관점에 근거한 한국의 전통가치와 미래 한국사회에 요구되는 미래 지향적 가치를 살펴보고, 양자 간의 소통과 융합의 맥락에서 한국적인 핵심 가치의 일부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인문치료적 접근을 원용하였는데, 이는 한국적 가치의 원형과 변용(변형), 더 나아가 왜곡된 지점을 확인하고 미래지향적인 전망 속에서 한국적 가치를 재구성하는 데 친화력이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일심(一心)을 한국적 가치의 원형 중 하나로, 화(和)와 효(孝)와 충(忠)을 한국적 가치의 재정립 사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인의 심층의식에 뿌리내린 ‘일심’은 불성(佛性)이자 유교의 인(仁), 동학의 동귀일체(同歸一體)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것은 한국인을 하나 되게 하는 문화적 유전자로 간주될 수 있다. ‘화’의 가치는 타자와의 올바른 관계 맺기라는 원론적 의미로부터 시작하여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더 나아가 자연과의 관계에서 상생과 조화의 원리로 기능할 수 있다. ‘효’의 가치는 사회생활과 인간관계의 근본이자 공부와 학문의 출발점이며,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 원천으로서 효는 사상과 이념과 종교를 넘어선 인간관계의 근본 원리이다. ‘충’의 가치는 자신에 대한 성실, 맡은 일에 대한 충실, 올곧은 태도, 올바름과 공평함, 불의에 대한 저항, 나라사랑을 지향한다.

      • KCI등재

        학교급별 인성 수준과 고교 인성교육의 방향설정 : 고교 인성교육 창의융합 과제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윤영돈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의 시행과 더불어 인성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의무적으로 부과됨에 따라 학교급별 인성 수준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 표로 한다. 학교급별 학생들의 인성 수준을 진단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의 인성수준이 가장 높고, 중학교의 인성수준이 가장 낮으며, 고등학교의 인성수준은 중학교에 비해 높지만 초등학교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고교 인성교육의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야 하지 않는가’라는 문제의식을 견지하면서, G고등학교 학생연구원이 수행한 인성교육 창의융합 과제연구(R&E) 결과에 근거하여 고교 인성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Enforce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shows directly us how national ․ social demands for character education are great. This paper delves into diagnosis of character in school and possibility & ori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 school. According to surveys diagnosing the actual state of character by school grade, charact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is first, that of high school is second, and that of middle school is third. With research problem that student should become active subject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established orientation of high school charact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creative convergence R & E about character education

      • 일반연제(포스터) : P-30 ; Mycoplasma hominis, Ureaplasma urealyticum 의 항균제 감수성

        윤영돈,이우인,강소영,김명희,장부순,김선인,김은희,이승훈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경: 사람의 비뇨생식기에서 흔히 분리되는 Mycoplasma속으로 Mycoplasma hominis와 Ureaplasma urealyticum이 있는데, 이들은 기회감염균으로 남성에서는 비 임균성 요도염, 전립선염, 고환염, 불임의 원인이 되며, 여성에서는 불임, 습관성 유산, 골반염, 자궁 경부염, 자궁 내막염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M. hominis와 U. urealyticum의 감염률을 조사하고 감염된경우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9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진단검사의학과에 M. hominis와 U. urealyticum 검체1273건 중 양성 721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M. hominis와 U. urealyticum의 동정과 항균제 감수성검사는 Mycoplasma IST-2 Kit (bioMerieux, Marcy-I’Etoile, France)를 사용하여 접종 48시간후 결과를 판독하였다. 결과: 전체 1273건 중 721검체(56.6%)에서 Mycoplasma 배양 양성을 보였다. 양성인 721검체 중M. hominis는 23검체(3.2%)에서 분리되었고, U. urealyticum은 534검체(74.1%), 두 균주가 혼합분리된 것은 164검체(22.7%)였다. M. hominis는 23검체 모두 doxycycline, josamycin, pristinamycin및 tetracycline에서 모든 균주가 감수성을 나타낸 반면 azithromycin, erythromycin 및 clarithromycin에서는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U. urealyticum은 ciprofloxacin에 대하여 63.3%의 내 성률을 보인 반면 나머지 약제들에 대해서는 대부분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두 균주가 혼합 분리된 경우에는 ciprofloxacin, clarithromycin, erythromycin에 대해서는 높은 내성을 보인 반면 doxycycline, pristinamycin, tetracycline은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고찰: Mycoplasma의 분리율은 56.6%였고, 대부분의 균주는 U. urealyticum이었다. U. urealyticum은 macrolide계 항균제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인 반면 ciprofloxacin에서는 63.3%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M. hominis의 경우 quinolone계 항균제에서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zithromycin, clarithromycin, erythromycin에서는 가장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M. hominis와 U. urealyticum두 균주가 동시에 분리된 경우에는 macrolide계와 quinolone계 항균제에서 높은 내성률을 보인반면 tetracycline계 항균제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M. hominis와 U. urealyticum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균제 처방에 앞서 정확한 균 동정 및 약제 감수성 검사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약제를 선택하여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 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사상 이해

        윤영돈 한국윤리학회 2023 倫理硏究 Vol.142 No.1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사상은 그가 살았던 로마시대의 철학적 경향과 종교적 상황 및 신학적 견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고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사상을 『고백록』, 『신국론』, 『자유의지론』등을 중심으로 논구하고자 한다. 신의 선한 창조와 악의 문제와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니교의 선악이원론을 비판하며, 악은 의지에 속한 문제로 보았고, 선의 결핍으로서의 악을 해명한다. 인간의 타락 및 신의 은총과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는 펠라기우스와의 논쟁을 통해 자유의지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구하고, 인간의 도덕적 완성과 구원을 위해 신의 은총이 필수불가결함을 제시한다. 신국 시민을 위한 실천윤리에서 두 국가에 속한 존재로서 인간은 신의 은총을 통해 왜곡된 사랑의 질서나 죄악으로 기울어지는 의지를 회복할 수 있으며, 최고선인 신 안에서 행복과 평화에 이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끝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사상에 대한 비판적 논의 및 현대적 의의에 대해서 다룬다. Augustine's ethical ideas are rooted in the philosophical trends, religious circumstances, and theological views of the Roman era in which he lived. This researcher aims to discuss Augustine's ethical ideas, focusing on his works Confessions, The City of God, and On Free Choice of the Will. Regarding the issues of God's good creation and the problem of evil, Augustine criticized dualism of good and evil, explaining that evil is a problem of will and regards evil as the absence of good. In relation to the corruption of humanity and God's grace, Augustine engaged in a debate with Pelagiu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free will, asserting that God's grace is indispensable for human moral fulfillment and salvation. Concerning practical ethics for citizens of the divine city, Augustine argued that humans, as beings belonging to both earthly and divine realms, can restore their distorted will, inclined towards the disorder of love and sin, through the grace of God. He claimed that within God, who is the highest good, humans can attain happiness and peace. Lastly, this paper delves into a critical examination of Augustine's ethical philosophy and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 KCI등재

        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학의 소통을 통한 자기실현에 이르는 꿈 분석

        윤영돈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Human beings are both rational and emotional beings. With a view to fully reading the text of mankind, it is necessary for us to look into not only the rational, but also into the irrational or unconscious dimension, and then to interpret the results in a healthy way. According to depth psychology, dreams are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e unconscious. But how can we understand our dreams? On the basis of Pinar’s autobiographical methods, I investigated the path that leads one to find his or her authentic self through dreams. In order to garner the full meaning of our dreams, I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the views of Freud’s psychoanalysis theory,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Following this, I applied it to the case analysis of dreams related to the search for academic identity. Finally, I suggested that by using psychoanalysis and analytical psychology in an integrated way, we can understand our dreams more fully, live more meaningfully lives in the present, and eventually come nearer to realizing our authentic selves. 인간은 이성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존재이다. 인간이라는 텍스트를 온전히 읽어내기 위해서는 이성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무의식과 충동까지도 들여다보고 이를 건강하게 해석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 심층심리학에서 꿈은 무의식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중요한 통로이다. 꿈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본연구는 파이너의 자서전적 방법에 근거하여 꿈을 통한 참된 자기에 이르는 길을 탐구하였다. 꿈에담겨진 온전한 의미를 이끌어내기 위해 정신분석학(프로이트)과 분석심리학(융)의 관점의 통합 필요성및 가능성을 살펴보고, 학문적 정체성 탐색과 관련한 꿈의 사례 분석에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연구자는 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학을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무의식의 상징인 꿈을 보다 온전하게이해할 수 있고, 한 개인의 과거와 미래가 현존하여 소통하는 의미 충만한 현재를 살아갈 수 있으며, 참된 자기에로 근접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