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쓰기 지도와 상담에 관한 철학적 이해 -대학생의 에세이 쓰기를 중심으로-

        윤대선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3

        This thesis examines what is the desirable educational relationship required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process of writing guidance and counseling, and seeks to find ways to bring about positive results of learning guidance and efficiency of writ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 particular, in college essay writing I would like to note that counseling guidance is the objective of helping learners open their minds and express themselves independently. Counseling for creative writing require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wri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 pragmatics and to guide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writing. In general, essay writing is a reflective act of describing the story of life experienced by the writer’s subject and expressing his judgment an message to the reader. Therefore, guidance and counseling on essay writing that can improve the ability of the writer to communicate with others or the world can expect an educational effect that can positively develop a healthy mental culture and sociality of college students. 이 논문은 글쓰기 지도와 상담 과정에 있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교육적 관계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그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학습지도의 긍정적 결과와 글쓰기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특히 대학에서의 에세이 쓰기에 있어 학습자가 마음의 문을 열고 주체적인 자기 표현을 할 수 있도록 객관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상담지도라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글쓰기를 위한 상담은 글쓴이 입장의 화용론적 관점에서 글의 맥락을 이해하고 글쓰기의 구성과 표현에 대한 지도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에세이 쓰기는 글쓴이 주체가 체험한 삶의 이야기를 기술하며 자신의 판단과 메시지를 독자에게 표현하는 성찰적 행위이다. 따라서 글쓴이가 바라보는타인이나 세계에 대한 소통능력을 넓혀 나갈 수 있는 에세이 쓰기에 대한 지도와 상담은 대학생들의 건강한 정신문화와 사회성을 긍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에 나타난 영혼의 운동과 초월성에 관한 연구 ― 플로티노스의 영혼회귀의 사상과 비교해서

        윤대선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5 No.-

        왜 인간은 영혼의 문제를 사유하고자 할까? 영혼은 인간에게 영원한 생명을 부여할 수 있는 영적인 힘이며 신적인 정신과 소통할 수 있는 근거이다. 우리는 그런 영혼의 존재와 그 속성을 탐구해 나가기 위해 서양철학의 역사에서 영혼의 이해를 형이상학의 중요한 몫으로서 사유했던 플로티노스와 레비나스에게 주목하고자 한다. 플로티노스의 일자사상과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은 이편세계에서 바라본 영혼불멸과 생명의 가치에 대한 경외의 시선을 새롭게 찾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나아가 우리는 플로티노스와 레비나스가 사유한 영혼과 무한성 내지 영원성에 관한 탐구를 통해 서구 사상을 형성해 왔던 두 개의 축이라고 할 수 있는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그리고 지성의 역사 속에서 현대와 고대 사이에서 호흡할 수 있는 정신적 생명에 관한 사상적인 구심점을 이해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플로티노스의 유출설과 레비나스의 분리론에 주목해서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사상적인 연결점을 발견하고자 하며 영혼의 운동과 에로스에 관한 사유를 통해 그들이 제시하고자 하는 영원한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를 성찰하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 could investigate about the concepts of soul, eros and God between Plotinos and Lévinas. I thinks so that they seek truth in human life for the idea of the eternal return of soul. For Plotinos the procession of Intellect from the One is necessary and eternal, as are also the procession of soul from Intellect and the forming and ordering of the material universe by soul. Looked at from the point of view of our own human nature and experience, Intellect is the level of intuitive thought for seeing the things in the visible world. For Lévinas the characteristic of soul is suggested in terms of the mouvement operating from the relation of ‘face to face’ and oriented energetically by eros of God. And in this relation specially eros of other is a power which is able to realize the spiritual energy in human life. I believe so that this is returning of soul for eternal world.

      • KCI등재

        레비나스의 타자철학과 예술적 상상력 ― 시간, 공간, 타자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윤대선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우리가 그의 타자철학과 타자성의 관념으로부터 특화시켜 주시할 수 있는 가치는 에로스에 관한 것이다. 시간, 공간, 그리고 타자의 이미지들 속에서 그런 가치는 생성과 자기정체성의 문제에 관해 나름대로의 해답을 제시해 준다. 레비나스에 있어 타자로 현시하는 무한의 이념은, 그에 따르면, 사유에 의한 재현의 대상이 아니라 활동성 자체를 지닌다. 그리고 그는 형이상학은 타자로 향한다고 말한다. 그 타자에게로 나가는 인간의 에로스는 생명의 원천지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회귀본성과 같이 삶을 지배한다. 우리는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이 세계와 실존 그리고 삶에 대한 이해라는 것에 착안해서 그런 철학적 주제들에 대한 이미지의 표현, 즉 예술적 사유의 길을 시도해 봄으로써 삶의 철학으로서 타자철학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타자철학의 문제와 의미를 시간과 공간 그리고 타자의 이미지의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그 철학에서 암시하는 존재의 정체성과 실천적 가치를 좀 더 명확하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 In this article, we could meet a difficult concept of the other in Levinas’ philosophy that would not be simply explained from a perspective of the ethical problem. I think so that a theme of the other-images in this paper is very interesting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the other. Of course, we can question about the notion of eros in the relation with the artistic thought. For example, I can show a picture of Marc Chagall, titled <My village>, in which we can see two characters, donkey and peasant. Donkey is the other metaphorically. The meeting with the other is the meeting of the revelation or the infinity of God. In this case the other is not a door or the escape, but an ontological exit to realize the self. I think that the other-images in painting could be a philosophical imagination which represent the thought of the other in Levinas.

      • KCI등재
      • KCI등재

        레비나스의 신의 관념과 메시아니즘

        윤대선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3 철학연구 Vol.0 No.26

        우리가 레비나스의 신의 관념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것은 기원적으로 그것이 전통적인 유다이즘의 신 즉 바이블의 신에 기초하며 사유적인 주체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창조의 신, 유일한 신 그리고 역사적으로 계시되는 신의 성격 등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레비나스는 그런 전통 속에서 메시아니즘을 긍정한다. 그런데 무엇보다 그에 있어서 신의 관념은 주체가 타자에게로 무조건적으로 향하게 하는 인격의 본질로서 작용하며 그 향타성은 인간에 남겨진 신의 이미지 때문에 가능하다. 이것은 인간에게 존재하는 신적인 창조성으로서 신의 관념이란 타자를 통해 주체의 타자성으로써 본질적으로 찾아오는 관념이다. 그래서 타자에의 사랑은 신에 대한 윤리를 동시에 함의한다. 유다이즘의 토라가 우주를 생기 있게 하는 창조주의 힘인 것과 같이 그 관념 역시 타인에 대한 의무와 사랑으로써 실현된다. 이와 같이 레비나스는 신의 관념을 인격화시킨다. 신적인 계시의 관념은 ‘나’와 타자간의 인격적인 관계에서 발견되는 것 외엔 아니다. 이런 신의 관념은 우리가 본고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레비나스의 신의 관념이다. 그의 신의 관념은 도덕적인 범주에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유다이즘에서 말하는 메시아니즘의 실현을 궁극적으로 이해시킨다. 즉 인간이 운명적으로 개척해 나가야 하는 유토피아의 실현이 그것인데 이것은 신에 대한 인간의 소명이다. 타인에 대한 사랑은 곧 평화에 대한 명령이며 신에 대한 사랑을 나타낸다. La notion de Dieu chez Le´vinas n'est pas rendue possible par la pense´e du savoir, mais est pre´sente´e dans une axiologie pour Autrui. Dans ce cas, l'ide´e de Dieu, c'est Dieu en moi, mais de´ja` Dieu rompant la conscience qui vise des ide´es, diffe´rant de tout contenu. Enfin, l'immanence radicale de l'a`-Dieu est envisage´ comme visage d'Autrui. Par exemple, ‘Je suis inquie´te´’, ce qui est de´ja` inspire par l'a-Dieu et tourne´ vers le visage d'Autrui qu'est l'expression de l'absolument autre. D'autre part, le concept de Dieu de la Bible chez Le´vinas nous presente les ressources originelles de l'e´thique et de la morale qui font de l'homme un serviteur de Dieu qui recoit la Torah et la transmet parmi des descendants. C'est aussi Lui qui libera les peuples d'Israe¨l du pays d'Egypte et leur attribua la Royaute´ par David. Ainsi l'histoire sainte prophe´tise a` travers le messianisme la re´demption pour les hommes qu'ils doivent attendre dans les souffrances et sur la terre e´trangere, ce qui signifie definitivement le temps du diaspora. Mais ce n'est pas une serie d'e´ve´nements tragiques mais les voies messianiques qui les conduisent spirituellement a` l'Utopie. Dans l'e´re messianique la Torah est le guide spirituel qui re´ve`le l'ide´e de Dieu qui ne se manifeste que par l'expiation d'Autrui. A l'egard de la re´demption, pour Le´vinas, il est temps de ressusciter l'Esprit de Dieu dans la socialite´ qui sera accomplie par la responsabilite´ d'Autrui.

      • KCI등재

        죄란 무엇인가? : 레비나스와 도스토예프스키 - 그 타자성의 문제와 인류애를 중심으로 -

        윤대선 아시아교정포럼 2023 교정담론 Vol.17 No.3

        인간의 죄란 무엇인가? 이 글은 여기에 주제를 두고 인간의 죄와 죄의식, 죄와 벌, 정의 등의 문제와 관련해서 그것들에 대 한 철학적ㆍ문학적 성찰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죄 의 발생과 그 연관성을 타자성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며 타 인의 죄에 대한 주체의 책임과 인류애의 관점에서 정의, 속죄, 용서 등의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레비나스와 도스토 예프스키는 그와 같은 주제 탐구에 대한 적절한 예시를 보여주 고 있다. 전자는 그의 타자 철학에서 타자성에 의해 초래되는 타 인에의 무한 책임, 모두가 그의 고통을 인내해야 하는 사랑과 용 서의 메시지를 제시하는데 여기서 타인을 위한 정의론을 발견할 수 있다. 후자는 그의 작품에서 구원과 용서의 방법이 죄에 대한 양심의 가책, 그 고통의 단서를 통해 열려 있다는 인륜적 방식을 선택하고 있으며 여기서 그의 정의론을 이해할 수 있다. 레비나 스와 도스토예프스키는 인류애의 보편적 실천과 그 회복에서 죄 에 근본적으로 대처하는 새로운 사회적 정의를 제시하려고 하지 않았을까? What is human sin?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method of philosophical and literary reflection on issues such as human sin and guilt, guilt and punishment, and justice. As a result, we will discuss the occurrence of sin and its conn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ness, and also examine the meaning of justice, atonement, and forg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s responsibility for the sins of others and humanity. Lévinas and Dostoevsky provide appropriate examples of such topic exploration. The former, in the philosophy of the other, presents a message of infinite responsibility for others brought about by otherness, love and forgiveness in which everyone must endure their pain, and here we can find a theory of justice for others. In his works, the latter chooses a humanistic approach in which the method of salvation and forgiveness is opened through remorse for sin and the clues of its pain, and this is where his theory of justice can be understood. Didn't Lévinas and Dostoevsky try to present a new social justice that fundamentally deals with sin in the universal practice of humanity and its restoration?

      • KCI등재

        레비나스의 『존재와 다르게』에서 주체의 문제와 그 실천적 윤리 - 주체의 타자성에서 대신함의 타자 윤리로 -

        윤대선 새한철학회 2023 哲學論叢 Vol.114 No.4

        이 글의 목적은 『존재와 다르게』에 나타난 레비나스의 주체 이해에서 타자성에 근거한 주체의 고유한 문제들을 찾아 타자와의 가까움에서 파악할 수 있는 주체의 실천적 윤리를 검토하는 것에 있다. 그 저서는 사랑, 속죄 등과 같은 종교적 윤리를 다분히 내포하고 있지만 실제로 그 실천을 가능케 하는 주체의 본질이나 그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게 되면서 그의 저서들 가운데 현대적 주체 이해에 관한 가장 많은 철학적 논쟁들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의 사유를 발전시키고 있는 타자성은 사심 없음, 서로 마주 향하기, 본의 아니게, 대신함 등과 같은 주체에 관한 논쟁적인 개념들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그의 주체성은 가까움을 토대로 특히 ‘서로 마주 향하기’(l’un-pour-l’autre)에서 타자에게 조건 없이 향하는 필연성을 수반한다는 것도 지적할 수 있는데 이것은 타자에의 심령주의를 실천하며 주체 너머로 초월적인 통시성을 열게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대신함의 윤리적 행위는 이것을 구체적으로 실천한다. 그의 주체 윤리는 다분히 유일신에 대한 종교적 실천을 강조하고 있지만 타인과의 관계를 떠나 그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책임 있는 주체로서 인류애를 실천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the unique problems of the subject based on otherness in Lévinas'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Autrement qu’être and to examine the practical ethics of the subject t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proximity to the other. Although this book contains a lot of religious ethics such as love and atonement, it focuses on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the issues that make its practice possible, giving rise to the most philosophical debates regarding the moder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mong his works. The otherness that develops his thought introduces controversial concepts about the subject such as selflessness, facing each other, unwillingness, and substitution. In particular, it can be pointed out that his subjectivity entails the necessity of turning unconditionally to the other in facing each other based on proximity, which practices spiritualism toward the other and opens a transcendent diachrony beyond the subject. His subject ethics largely emphasize religious practice of the one God, but he also clearly states that he must practice love for humanity as a responsible subject, as such ethics is not possible regardless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에 나타난 무한의 읽기와 초월성 - 분리의 경제와 생산성을 중심으로 -

        윤대선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8

        『전체성과 무한』은 타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그 형이상학과 윤리를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레비나스의 주저이며 글쓴이는 그 독특함을 더하는 것이 유대주의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조명하고자 한다. 원천적으로 부여된 분리의 삶에서 거주, 노동, 향유를 통해 주체 자신을 실현하고 타자와의 관계에서 초월적인 생산성을 지향하는 인간 중심적인 메시아주의는 그 책에서 주체성의 문제를 재점화하고 무한의 관념과 그 존재 방식을 중요하게 논의할 수 있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그 책에서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는 분리의 삶을 이해하고 그 반대편에 있는 전체성에 의해 편입될 수 없는 삶의 주요 요소들, 즉 거주, 노동, 향유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 중요한 점은 그와 같은 분리의 삶을 배경으로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종말론적 시간관에서 이른바 생산성을 통해 드러나는 무한과 초월성의 출현방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무한과 초월성의 영역은 이미 자아를 떠나 초월해서 존재한다. 죽음, 출산 등은 새로운 미래로 나가도록 하는 생산성과 미지의 가능성을 열게 한다. 그에게 그 미래와 세계는 신의 보호와 구원이 존재하는 메시아적 역사관을 확인해 주지만 그 초월의 역사가 인간과 타자의 관계를 떠나 출현할 수 없다는 점에 특히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