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성은 사람들의 혁신 수용성을 높이는가?

        유정민(Jung Min Ryu),최영준(Young Jun Choi)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3

        과학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여러 사회적 변화가 발생되고 있다. 누군가에게는 이러한 변화가 기회로 여겨지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위협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개인의 인식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핵심은 개인이 소득 및 고용의 불안정성을 경험했는지 여부가 미래에 대한 예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2018년 기준 19~69세의 한국인이 응답한 서베이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77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 및 고용 불안정성을 경험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지는 안정성이 기술혁명 사회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예측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숙련도가 높은 업무를 하고 있다고 느낄수록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달리 자신의 직업이 반복적인 것은 기술혁명 사회의 예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인이 경험하는 불안정성이 현재의 삶뿐만 아니라 기술혁명으로 인한 미래의 삶에 대한 인식 및 수용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연관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caused important socio-economic changes. These changes are seen as an opportunity for some, but regarded as a threat for others. Then, which factors affect people’s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ical change and innov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whether experiences of income or employment instabil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individuals’ forecast of the future. For the analysis, we use the survey data on 774 Koreans aged 19 to 69 in 2018. The result shows that people without experiencing income or employment instability tend to have a positive prediction for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hange on their lives and job. Also, people who felt that they were doing highly skilled work are likely to be more positive about the fu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securities experienced by individuals affect not only their own lives, but also the acceptance of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hanges. Therefore, we draw policy implications that inclusive social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innovation without societal conflicts.

      • KCI등재

        양악전돌증 환자에서 하악 6전치 후방 이동 시 치료 방법에 따른 하악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 하악 전방분절골절단술과 발치 교정 치료

        김영주,김경아,유용재,유경선,유정민,오주영,김수정,김성훈,이백수,Kim, Young-Joo,Kim, Kyung-A,Yu, Yong-Jae,Ryu, Kyung-Sun,Ryu, Jeong-Min,Ohe, Joo-Young,Kim, Su-Jung,Kim, Seoung-Hun,Lee, Baek-Soo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2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 in bimaxillary protrusion (BP) patients by comparison between the mandibular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from orthodontic treatment and ASO. Methods: All 4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BP in Kyung-Hee Medical Center. Orthodontic treatment with teeth extractions were underwent by 23 patients (Group A) and 21 patients underwent ASO (Group B). Mandibular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which were based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ference line in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hanges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measure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amount of B point movement was lesser than that of the lower incisal tip (LIT) retraction, and LIT was tilted lingually in group A. The posterior movement discrepancy between LIT and B point was insignificant, and the inclination of lower incisor was not changed in group B. The soft tissues, including the lower lip, showed a posterior movement and reduction in the depth of mento-labial groov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lower lip in group A,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at of the movement of lower lip, B point and Pog in group B. Conclusion: The orthodontic treatment in BP patients results in posterior tilting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but ASO results in the bodily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Consequently, ASO is more effective in BP cases because it ensures the controlled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s.

      • KCI등재

        기술혁명과 미래 복지국가 개혁의 논점

        최영준(Young Jun Choi),최정은(Jung Eun Choi),유정민(Jung Min Ryu)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1

        기술혁명은 긍정적인 변화와 동시에 수반될 부정적인 우려가 항상 공존해왔다.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기술혁명은 더욱 파괴적인 방식으로 생산성 혁명을 가져올 것이며, 고용 및 노동시장에 미칠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현재 복지국가의 ‘쓸모’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본소득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혁명의 속성과 기술변화가 고용과 복지국가에 미칠 영향에 대해 포괄적이고 다면적인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혁명의 내용을 검토하고 기존 문헌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기술혁명이 고용과 복지국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문헌검토를 통해서 기술혁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후에는 현실사례인 우버와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 등 미국 사례와 독일의 ‘Work 4.0’ 사례의 경험을 통해서 논의를 보강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의를 종합하면서 미래 복지국가 개혁의 주요 논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술혁명으로 인한 변화와 고용 및 사회보장 변화에 미칠 압력은 심대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그 영향이 어떠할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높음을 지적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혁명에 따른 복지국가 개혁보다는 현재 복지국가를 형성하는가에 따라서 기술혁명의 영향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주장한다. 기술변화에 적응력이 높고 창의적인 인적자본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투자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면서 개인에게 안정과 행복을 보편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보호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digit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both positive expectations and negative concerns. Many experts predict that the current technological revolution,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vity in a disruptive wa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on 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n subsequence, the possible demise of the traditional employment system could markedly undermine the comtemporary welfare state. As a result, basic income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However, little welfare state research has conducted the systematic review on the impact of the present technological revolution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s. In this paper, we will start to review the gist of the digital revolution and critically review recent studies on its effects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s together with actual case studies. In particular, we will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latform economies of Uber and Amazon Mechanical Turk, and the German experience from "Work 4.0". Finally, we will discuss key issues of future welfare state reforms.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effects of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 policies would be enormous, but they will be most likely to be mediated by domestic political and policy institution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social investment that would enable individuals to flexibly adapt technological changes and support creative human capital resource. But, high-quality social investment could not be sustained without the decent social protection system that universally provides security to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