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 적응력 향상을 위한 SW 교수.학습 전략

        유인환,구덕회,Yoo, In-Hwan,Koo, Duk-Ho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8 No.4

        The activation of the latest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education has been putting more importance on the education of the application SW(software). By the way, the geometric progression of knowledge and the fast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have continuously created new SW. Accordingly, the previous traditional SW learning paradigm runs into various problems.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problems. In this study, the SW adaptability is defined as the ability that learners can efficiently find and apply the suitable functions of SW to those problems in the problematic circumstances as well as promote retention and metastasis. With these premises, this paper makes an inquiry in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 Besides, This paper explores the SW usability and the principles of UI(User Interface) design and deduces the SW learning strategy. Furthermore, it probes problems of the SW teaching-learning of the demonstration practice method and proposes the inquiring master for SW adaptability teaching-learning model.

      • KCI등재

        타일러의 목표 자원에 따른 초. 중등 컴퓨터 교과 목표 탐색

        유인환,신수범,이철현,이태욱,Yoo, In-Hwan,Shin, Soo-Bum,Lee, Chul-Hyun,Lee, Tae-Wuk 한국정보교육학회 200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3 No.2

        When it is viewed with hierarchy as a constructional element of education of subject-matter, the objectives model of Tyler's propos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which should be decided first in rotational process of curriculum. This is an answer for question of the reason of teaching computer in school and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 for upright establishing of computer educ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general objectives and objectives of subject relevant to computer in the 7th curriculum according to objective resources and searched about What is desirable objectives of computer subject according to Tyler's objective resources. The desirable objectives of computer subject will be basic soil for establishing computer education and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unified computer curriculum. 교과교육학의 구성요소라는 위계에 비추어 볼 때 Tyler의 목표모형에서 교육목표는 교육과정의 순환과정에서 가장 먼저 결정되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학교에서 컴퓨터를 왜 가르쳐야 하느냐에 대한 물음에 대한 대답이며 컴퓨터 교육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가장 중요한 초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총괄목표와 컴퓨터 관련 교과의 목표를 목표 자원별로 분석했고 Tyler의 목표 자원별로 바람직한 컴퓨터 교과의 목표는 무엇인지 탐색해 보았다. 바람직한 컴퓨터 교과의 목표 실정은 컴퓨터 교육을 정립시키는 기반이 될 것이고 이를 토대로 체계적이고 통일된 컴퓨터 교육과정의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

      •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 기반 교육환경의 평가 기준 방안

        유인환(In Hwan Yoo),신수범(Soo Bum Shin),이철현(Chul Hyun Lee),이태욱(Tae Wuk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B

        인터넷은 누구나 쉽게 자료를 올리거나 받을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방대한 자료의 보고이나, 반대로 자료의 신뢰성은 보장받을 수 없다. 교사와 학생은 인터넷 위험을 극소화 하는 반면 활용가능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며, 이를 위한 웹 기반 환경의 평가 기준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웹 기반 환경의 평가 기준은 정보의 원천이 컴퓨터를 포함한 테크놀로지에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가는 자기주도적학습형태에서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의 특징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하여 웹 기반 교육환경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터페이스 분야에서 미적 감각, 링크, 정보의 구조화, 접근과 유용성, 매체선정의 적합성, 학습 유형의 적절성이 있다, 둘째, 컨텐츠분야에서는 내용의 정확성 및 중립성, 교수설계, 저자 확인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웹사이트에서의 내용 접근성 향상을 위한 메뉴 구조 분석

        이병무,고대곤,유인환,Lee, Byeong-Mu,Kho, Dae-Ghon,Yoo, In-Hwa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7 No.2

        In this study, the six types of menu were suggested according to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website about informational structure, depth and width of the menu, method of arrangement, suggesting form of the menu, ease the menu usage. And we design and develop the menu, and test, adapting the six types of menu on the same control condition, for the purpose of test about affective response and effectiveness, efficiency in user's utilizing these menus. As a result, the menu type of upper part drop-down type and left part suggesting after upper part suggesting type were testified as a menu type of high approach and recogni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web site.

      • KCI등재

        소프트웨어 공학 :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SW 개발 프로세스 탐구

        유인환 ( In Hwan Y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5 No.2

        최근 SW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앱 인벤터는 SW 교육의 도구로써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기반학습 모형에 기반을 두고 여기에 컴퓨팅 사고력 계발을 위한 요소를 통합하여 앱 인벤터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라 학생을 지도하고 학생이 작품을 제작한 과정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학생은 앱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방안을 절차적으로 고안하고 이를 코드로 직접 구현하는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는 모습이 보였다. The importance of SW education is being stressed recent days, and the App Inventor is getting attention as a tool of SW education. In this study, I have developed an app Inventor instruction model, which is based on the Design Based Learning and integrated with elem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I taught the student to apply this model. and then analyzed the app production process and the changes of student. In developing the app, students defined the problem and made a plan to resolve them. And this student had have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confidence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to implement it in their own source code.

      • KCI등재

        초등학교 수행 평가 지원을 위한 다차원 자료 분석 처리 시스템

        김규석,이철현,박종오,고대곤,유인환,Kim, Gyu-Seog,Lee, Chul-Hyun,Park, Jong-O,Yoo, In-Hwan,Kho, Dae-G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7 No.1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being importantly recognized and enforced in the education evaluation recently. It is not able to analyze learners synthetically because learners are assessed separately in every subjects and the other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is problem,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multi-dimensional processing tool. In this tool, the evaluation results of one subject area have an influence on the other related subject areas. In addition, this system helps teachers to establish and process performance assessment plan by providing all subjects database. And all of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as a whole and can be used in the counseling and school record. This system is based upon windows and can be extend to web based system later. We expect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can be simplified by using this system and students' ability can be assessed by various methods. This system will contribute to ensure the confidence of public education.

      • KCI등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재준(Jae-Jun Lee),유인환(In-Hwan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을 매우 중요한 목표로 내세운다. 최근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영재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활용 영재 학습 프로그램은 정보 영재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를 활용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4, 5학년으로 이루어진 초등 수학 영재 1개 학급을 대상으로 모둠별로 앱인벤터를 활용해 수학 퀴즈를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 적용 후 실험집단의 내재적 동기, 자율성, 개방성 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의 사후 검사 값이 유의도 .002이하로 매우 유의하였다. 따라서 앱인벤터의 활용을 통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수학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전 영역에서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rengthe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established as one of the goal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realized in variety of ways as favorable conditions and environments are fostered to provide gifted education utilizing program. in the recent days. But, gifted learning programs for programming are programmed for information gifted student. Therefore, we have analyz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mprovemen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through class utilizing app inventor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ilt up from the 4th and 5th grade to elementary math one class for gifted children complete by making math quiz, we use the app inventor to activity.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survey to less than .002 in the pre-survey in terms of three domains, which are intrinsic motivation, the openness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autonomy which corresponds to sub-elem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 could verify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learning program utilizing app development a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RTOS와 FPGA를 기반으로 한 소형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 구현

        전재민(Jae-min Jeon),서규태(Kyu-tae Seo),오준영(Jun-young Oh),유인환(In-hwan Yoo),이보희(Bo-hee Lee)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10

        This paper deals with the implementation of a small humanoid robot controller on the basis of Real Time Operating System(RTOS) and the FPGA. This controller was adapted to the humanoid robot with 25 DOFs, which are 12 DOFs in each leg, 8 DOFs in each arm, 3 DOFs in waist, and 2 DOFs in head. The robot actuators were used DX -1l7 servo motors that have all of the controller components in one module in order to simplify the control structure.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is FPGA of Virtex4-FX from Xilinx, and ported on VxWorks that is kind of RTOS. It is essential to install this RTOS on the complex control system and to do control activity at the multitasking environments. This paper suggested the method of distributing the computational load in the humanoid robot controller using the FPGA and RTOS concepts. All of the control process was verified through the real action of the humano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