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딜레마 집'을 해석한 그림자 추상기계

        유송희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7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11 No.-

        이 논문의 주제는 "추상으로 건축하기"이다. 건축의 추상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존 헤이덕 (John Hejduk)의 <딜레마 하우스(Dilemma House)>를 탐구하면서부터이다. 헤이덕의 작품들 중 <딜레마 하우스>는 '딜레마'라는 작품의 제목과 도면으로 인해 특히 매력적이며 지적 호기심을 끈다. <딜레마 하우스>는 헤이덕이 자신이 시도했던 일련의 작업들 중 가장 추상적인 것이라고 서술하는데 이 논문은 바로 그것 곧 '헤이덕이 말하는 추상이란 도대체 무엇이며 그것은 건축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라는 물음으로 촉발되어, 그것을 해명하는 일련의 탐구와 그에 따른 건축적 작업으로 구성 되었다. 헤이덕의 '딜레마 집'의 본질이자 그의 전성기 작품 대부분을 관통하는 핵심개념인 추상을 탐구하여, 그가 욕심했지만 미제로 남은 '그림자의 건축'을 다각도로 실험해본 것으로, 내부에 있는 음적(혹은 부정적)인 것을 드러내어 양적인 것과 공존시켜, 추상을 환원이 아니라 잠재성의 힘으로 제시한다. This Project is to build 'an abstract machine of shadow' based on the inquiry into Hejduk's <Dilemma House>. Hejduk himself has once desired to make 'an architecture of shadow' himself yet left untouched afterward until his death. This work, then, may be said to attempt to render his desire realized by delving into what he might have in his mind by the concept of abstract in architecture. The final output is to propose four small abstract machines by which 'an architecture of shadow' may be produced, suggesting the concept of abstract not as reduction, i.e., subtraction of reality, but as a potentiality out of which something is brought about, i.e., actualized in reality.

      • KCI등재

        지방정부 도시재개발 정책 변동의 원인에 관한 분석

        유송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1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1 No.1

        Sabatier & Jenkins-Smith의 옹호연합모형을 통하여 고려대 정문 앞 재개발을 둘러싼 12년간의 정책변동과정을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지방정부의 도시 재개발 정책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조명하였다. 본 사례를 통해 기존의 개발위주의 정책, 재산권 보장 등과 같은 안정적인 변수들이 문화도시 추구라는 서울시 시정방향의 변화, 여론의 동향 등 역동적인 변수들의 영향을 받아 정책이 변동하게 됨을 볼 수 있다. 특히 도시정책에 있어 교육문화특구라는 새로운 신념의 등장이 정책 변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방정부의 도시재개발 행정절차상 구(區)에서 시(市)로 권한이 이전되고, 그에 따라 정책중개자가 동대문구에서 서울시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해당 사례를 통해, 구(區) 지방정부에서 시(市) 지방정부로의 정책중개자의 변동이 정책변동에 미치는 파급력 또한 분석해 볼 수 있다. 본 사례를 통해 하위 또는 중간 권력기관의 중재에서는 옹호연합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하는데 집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반면 최종권력기관에서는 각 옹호연합들이 중재를 따르면서 자신들의 의견을 어필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동대문구(區)보다는 서울시(市)와 같은 상위결정기관의 중재가 책임성 및 객관성이 강조되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그에 따라 최종정책중개자의 책임성이 더욱 커지고, 최종 정책중개자의 결정에 대한 정책옹호집단들의 계획이 전략적으로 변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지방재정의 이웃효과 포착 및 유형분석: 복지예산을 중심으로

        유송희 경인행정학회 2022 한국정책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studies the neighbor effect of welfare finance that occurred among local governments. Specifically, this study has two research themes. The first theme is to capture the neighborhood effect of welfare finance. And the second theme is to analyze neighborhood effect type. This study analyzes whether neighborhood effects occurs among local governments in the welfare policy by using proportion of welfare policy budget. Looking at the methodology, the study of 'capturing the neighbor effect' was analyzed through Moran's I analysis, and the study of 'analysis of the type of neighbor effect' was analyzed using LISA analysis and the Cluster Map. The budget data of the local government used in this research is from 2003 to 2014.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eighbor effect of welfare finance among local governments was continuously and strongly occurring. In the neighborhood effect type analysis, the type of cohesion among neighboring governments was mainly det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of the welfare budget decreas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view of local finance research. In addition, it will also have special meaning in the field of local government research as a study analyzing intergovernmental relations through neighborhood effects. 본 연구는 지방재정 가운데 복지재정에서 발생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이웃효과를 포착하고 그 유형을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복지예산에서 발생하는 지방자치단체들 간 ‘이웃효과를 포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고, 두 번째로 ‘이웃효과 유형’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 229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의 전체 예산대비 복지예산의 비중값을 공간분석을 활용하였다.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 이웃효과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Moran’s I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웃효과 유형분석은 LISA분석의 The Cluster Map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정부 간 이웃효과가 포착되었는데, 2007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 동안의 복지예산의 이웃효과 유형은 복지예산의 비중값이 경쟁적으로 감소하는 LL유형으로 확인되었다. 2007년의 경우는 복지예산의 비중값이 경쟁적으로 증가하는 HH유형이 주요 유형이었는데, 이는 2007년도에 있었던 3차례의 선거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재정관련 연구에 이웃효과라는 개념을 접목하여 공간분석으로 결과를 풀어낸 본 연구는 지방재정관련 연구를 보는 시각을 넓혀줄 것이다. 무엇보다 이웃효과를 포착하고 분석하는 이웃효과 일반화 연구에 큰 보탬이 될 것이며, 지방자치 시대에 정부 간 관계를 재조명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숙인의 관점에서 본 노숙과 자활: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유송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0 行政論叢 Vol.58 No.2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homelessness and self-support separately, this study analyzed people who succeeded in self-support after experiencing homelessness using the life history methodology. This study focused on 'Big Issue Korea', a social enterprise that employs homeless people as magazine sales agents in order to find research subjects. Pre-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ose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six months were selected. The reason was that they had experienced homelessness, but had then been self-reliant for at least six months. Four peopl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hear their life stories. As a result of their analysis of life history, three reasons were found why they had become homeless. These were economic problems, physical problems, and mental problems. Furthermore, how they had succeeded in self-support was also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y found some interesting elements that previous studies were not able to discuss. First, homeless people get policies or information through the homeless community, not through government agencies. They gain social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after deciding to become self-reliant. Moreover, they maintain mental self-support through the self-support community, such as families that support each other. Government is missing the role of the homeless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and self-support communities. The government should use these communities to prevent the homeless from becoming homeless again and to maintain self-support. As a result, the government should devise a sustainable self-support policy using those communities.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분리되어 연구되고 있는 ‘노숙에 들어선 이유에 대한 연구’와 ‘자활의 성공에 대한 연구’를 통합하여, 노숙에 들어섰다가 자활에 성공한 사람들을 생애사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노숙인들에게 잡지를 판매하게 함으로써 판매수익을 바탕으로 자활로 들어설 수 있게 도와주는 사회적 기업인 ‘빅이슈 코리아’의 판매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빅이슈 판매사원 가운데 최소 6개월 이상된 사람들로서 거리노숙 생활에서 벗어난 사람들을 프리뷰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4명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생애사 분석결과, 이들이 노숙에 들어선 이유는 크게 경제적 문제, 육체적 문제, 가족 해체 등의 정신적 문제로 분석할 수 있었다. 다시 일어설 의지 자체가 사라진 상태에서 이들이 어떻게 자활로 들어서게 되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노숙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노숙인 관련 정책 및 정보를 얻고, 잡지 판매 등 경제활동을 하면서 사회적 지지를 얻으며, 자활 공동체 속에서 정신적 자활을 공고히 해왔음을 알게 되었다. 우리 정부의 정책이 놓치고 있는 것은 바로 노숙인 공동체와 지역 공동체, 그리고 자활 공동체의 역할이 크다는 것이다. 놓치고 있던 것들의 활용을 통해 노숙인들이 노숙에 재진입하는 것과 노숙에 젖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이들을 지속성 있는 자활로 이끄는 선순환 과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우리사회 저변에 깔린 노숙인에 대한 인식전환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